화암사와 수바위
위치 : 강원도 고성군 토성면 신평리
창건년도 : 신라36대 혜공왕5년 진표율사가 창건(약1210여년전)
화암사는 금강산 최남단의 절로서 지금으로부터 약1216년전(서기769년) 신라 36대 혜공왕 5년에 진표율사가 설악산 북쪽기슭에 창건하고 화암사라 이름하였다. 화암사 기록에 따르면 이절은 다섯차례나 화재를 입었다고 전한다.
이절 남쪽에 있는 수바위와 북쪽에 코끼리모양의 바위가 있는데 바위의 맥이 서로 상충하는 자리에 절터가 있어 수바위가 뿜어내는 열기를 이겨내지 못하여 여러차례 화재를 겪었다고 전한다. 이런 이유인지는 몰라도 지금의 절은 창건당시 위치에서 남쪽으로 100m쯤 떨어진 장소에 있다. 지금의 화암사는 고종원년에 또 화재로 소실되어 그해 9월에 수봉으로 이전하여 건립하고 수암사라 이름하였다. 그런데 지금으로부터 70여년전 임자년 1912년에 "화암사"라 개칭하였다.
화암사 남쪽 300m지점에는 수바위라는 왕관모양의 우람한 바위가 있다. 이 바위에서 화암사 창건자인 진표율사를 비롯한 이절의 역대스님들이 수도장으로 사용하여 왔다.
계란모양의 바탕위에 왕관모양의 또 다른 바위가 놓여 있는데 윗면에는 길이 1m, 둘레 5m의 웅덩이가 있다. 이 웅덩이에는 물이 항상 고여있어 가뭄을 당하면 웅덩이 물을 떠서 주위에 뿌리고 기우제를 올리면 비가 왔다고 전한다. 이 때문에 수바위 이름의 '수'자를 水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으나 바위의 생김이 뛰어나 빼어날 秀자로 보는 사람이 많다.
수바위의 전설을 보면 화암사는 민가와 멀리 떨어져 있어 스님들은 항상 시주를 구하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그러던 어느날 이 절 두스님의 꿈에 백발노인이 나타나 수바위에 조그만 구멍이 있으니 그 곳을 찾아 끼니 때마다 지팡이로 세번 흔들라고 말하였다. 잠에서 깬 스님들은 아침 일찍 수바위로 달려가 꿈을 생각하며 노인이 시킨대로 했더니 두 사람분의 쌀이 쏟아져 나왔다. 그 후 두 스님은 식량 걱정없이 편안히 불도에 열중하며 지낼 수 있게 되었다.
몇 년이 지난 어느날 객승 한사람이 찾아와 이절 스님들은 시주를 받지 않고도 수바위에서 나오는 쌀로 걱정없이 지냈다는 사실을 알고 객승은 세번 흔들어서 두 사람분의 쌀이 나온다면 여섯번 흔들면 네 사람분의 쌀이 나올 것이라는 엉뚱한 생각을 하고 다음날 날이 밝기를 기다려 아침 일찍 수바위로 달려가 지팡이를 넣고 여섯번을 흔들었다. 그러나 쌀이 나아야 할 구멍에서는 엉뚱하게도 피가 나오는 것이었다. 객승의 욕심에 산신의 노여움을 샀던 것이다. 그후부터는 수바위에서는 쌀이 나오지 않았다고 전해진다.
삼정사지오목의 유래
고려때 어느 원님이 관직에 오래 있으려면 3곳에 우물을 파고 4곳에 연못을 만들고 5가지의 나무를 심으면 관직에 오래 머물 수 있고 장수한다는 말을 듣고 간성골에 3곳의우물과 4곳의 연못을 파고 은행나무 등 5가지의 나무를 심었다 한다.
그 후 이 우물과 연못, 나무 등을 가르켜 三井 四池 五木이라고 불러왔는데 지금 三井과 四池는 개화되면서 점차 외지에서 찾아 들어온 사람들에 의해 매몰되고 집들을 짓고해서 모두 없어졌으나 五木중에 하나가 현재 군청 입구에 있는 은행나무로 고목이된 이 은행나무도 지난 1964년 가을 썩은 곳에서 불이나 연 3일동안 타다 남아 지금은 봄이 돼도 잎이 절반 밖에 피지 않고 있다.
오목 중 은행나무 2그루는 1950년 6.25동란 전까지 남아 있었으나 암은행나무는 6.25때 폭격으로 없어지고 현재는 숫군청입구의 은행나무가 유일하게 살아있다.
삼정(三井)
현재 2개소 보존되고 있음
- 군청앞 현존, - 천주교입구 중앙여관앞 현존, - 현 산림조합과 하리사무소 부근
사지(四池)
현재는 전부 매몰되어 없음
- 상리 460번지 함희조씨 대지 부근, - (구)경찰서 앞 길 건너편, - 간성우체국 대지, - 하2리 사무소 부근
오목(五木)
오목중 은행나무 2주는 6.25동란시까지는 있었으나 그중 암은행나무가 폭격으로 없어지고 현재는 숫은행나무 1주만 군청앞에 잔존하여 있음, 다른 3주는 모두 없어짐.
빈대와 적곡사지
위치 :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오봉2리 서북쪽 3Km 지점
창건연대 : 고려초
고성군 죽왕면 오봉2리에서 서북쪽으로 3Km쯤 오르면 흩어진 기와조각만이 나뒹구는 적곡사의 절터가 폐허로 남아 있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적곡사지는 고려초 한 고승이 이곳을 지나다 온천을 발견하여 절을 세웠다 한다.
이곳에 절을 세우자 인근 부락인 탑동, 화정, 평촌, 적동 등에서 신도들이 찾아와 절이 점점 번창해 갈수록 절에서승려들은 게을러 지고 수도에 힘쓰기보다는 허영에 들떠 타락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천하정과 천혜장
위 치 :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 금수리 뒷산
고성군 간성읍 금수리 강릉 함씨 장손인 구나무(큰참나무)집 앞에 큰 우물과 발방앗간이 있었다. 어느날 이 집에 늠름한 한 아이가 태어나 가족들이 무척 좋아했었다. 그런데 하루는 이집 안방에 아이를 눕혀놓고 방앗간에 갔던 할아버지가 갑자기 담배를 피우고 싶어서 집으로 돌아와 평소 담배를 올려 놓았던 선반에 손을 뻗혀 더듬다가 물컹하는 물체가 잡혀 놀라 살펴보니 안방에 눕혀 놓았던 이 아이가 선반 위에 드러누워 있는 것이 아닌가? 분명 안방에 뉘운채 잠재워 놓고 방아를 찧으러 갔는데 이 아이가 실겅 위에 누워 있었던 것이다. 집안에서는 이일이 심상치 않다고 판단하고 문중사람들을 모아 회의를 했다
이 아이가 분명 장수가 틀림없다고 생각한 가족들은 나라에서 장수가 태어나면 그 집안의 삼대를 멸종시킨다는 속설에 미리 겁을 먹고 이 아이를 돌을 달아 우물에 집어 넣기로 했다. 그래서 돌을 그 아이에게 달아 우물 속에 넣고 그 우물을 메우게 된것이다. 그날 밤 자정무렵 마을 뒷산넘어 방추골이라는 연못에서 벼락치는 소리가 나서 이튼날 아침에 동네 어른들이 나가 살펴보니 장수를 태울 용마가 죽어 있었다. 용마를 묻어주고 그 안장을 집안에서 보관했었으나 6.25동란때 소실되어 지금은 그 흔적을 찾을 길 없다.
우물은 옛날 이곳 땅 속에서 용마가 솟아나와 하늘로 오르면서 생긴 것이라 한다. 이용마는 금수리 구나무집에서 날개 달린 장사가 태어났는데 이 장사를 등에 업고 가기 위해 나왔다고 전해지고 있다.
당시 마을 사람은 이 우물이 얼마나 깊었는지 온동네 명주실을 끌어다 넣어도 끝이 없었다고 전한다.
천혜장은 장사가 용마를 타고 군사훈련을 하던 곳으로 현재는 고성군 공설운동장이 되었다.
노인산과 노총각
위 치 :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산학리 마을뒷산 해발 400m 되는 우뚝 솟은 산
이 산은 강한 바람과 심한 경사로 나무들이 살지 못하고 벌거숭이 인데다가 돌바위가 영을 덮어 그 모양이 마치 늙은 노인의 머리처럼 보인다해서 노인산이라고 불러지고 있다.
이 산밑에는 옛날에 절이 있었으나 조선시대 초기에 불교 탄압으로 불타 없어졌다고 한다. 그런데 마을 사람들은 이 절터를 찾아 기도하며 소원성취 되기를 빌어 왔다고 하는데 어느해 이 마을에 사는 5대 독자인 노총각이 마흔살이 되도록 장가를 못가 백일동안 노인산과 절터를 찾아 기도 끝에 어여쁜 아내를 만났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후 이 부부사이에 1년이 넘어도 아기가 없자 또 이곳을 찾아 기도를 올려 아기를 낳게 되었는데 아기 팔 밑에 날개가 달린 장사를 낳았다. 그러나 온 마을 사람들이 이상히 여겨 두 부부는 마을 사람들의 눈을 피해 날개를 인두로 지져 없애 버렸다. 청명한던 날씨가 갑자기 흐려지면서 심한 비바람과 함께 번개와 천둥소리가 천지를 진동하였다.
이에 놀란 두 부부는 아기가 잠자고 있는 방으로 급히 달려갔다. 이 어찌된 일인가? 잠자던 아기는 오간데 없었다. 하늘에 오를 날개를 없앤데 하느님이 노하시어 날개대신 용마를 보낸 것이이다. 이 용마는 화진포에서 나와 아기를 업고 하늘로 승천했다는 전설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향로봉3부처
위 치 : 강원도 고성군 수동면
옛날 진부령을 가는 길에 향로봉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간성에 어떤 부자가 살고 있었는데 어렵게 자식을 하나 두었다. 이 아이가 7살에 글을 배웠는데 하루는 어떤 개나리봇짐을 한 사람이 오더니 "이녀석 나긴 잘 났다."고 하는 것이었다. 그 아이는 얼른 뛰어 들어가서 아버지에게 그 사람의 이야기를 전했다. 아버지는 그 이야기를 듣고 뭔가 이상한 생각이 들어 그 개나리 봇짐을 한 사람을 불러 세웠다. 그 사람은 "왜 가는 사람 붙잡고 그러냐?" 라고 했다. 아버지는 그 사람을 끌어 들여 술상을 차려 놓고 "가는 손님이 그래도 내가 여기서 밥술이나 먹는데 그냥 가실 수 있는냐?
하면서 술을 권하고는 "아까 우리 아이가 저기에서 놀았는데 걔보고 뭐 한 얘기가 있습니까?" 라고 물으니 나그네는 "저놈이 나긴 잘 났는데 단명한다."고 했다. 그 얘기를 들은 아버지는 다급한 마음에 " 단명하면 저걸 어떻게 하냐? 어떻게 푸는 방법이 없겠는가?"라고 물었다. 그 사람은 " 이 아이를 십년만 어디 한데 나가 고생시키라." 고 했다. 하지만 아버지는 이 어린 아이를 객지에 보내 십년을 혼자 살게 할 수 없다는 생각이 들어 "딴 방법이 없소?"라고 물었더니 나그네는 "향로봉사를 찾아 가든가"라고 했다. 여러가지로 향로봉사라는 절은 이미 들어 알고 있지만 혼자는 못보내니 십년을 다니며 빌어 먹을 판이었다. 다행히 늙은 하인이 "난 이제 죽을 날이 며칠 안 남았으니 내가 델구 나가서 사는대로 살겠습니다." 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