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방서예[2716]포은선생5율 楊州食枇杷(양주식비파)
포은집 제1권 시(詩)
楊州食枇杷 (양주식비파)- 포은정몽주
枇=비파나무 비, 수저 비, 참빗 비.
杷=비파나무 파. 써레 파(농기구의 일종)
枇杷= 비파(枇杷)는 중국 후베이(湖北)성 및 쓰촨(西川)성 남부가 원산지다.
비파 열매는 '폐기(肺氣)를 치료하며 오장을 윤택하게 하고 기를 내리며
구역과 소갈증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한방에서 설명하고 있다.
그래서 해수 토혈, 조갈(燥渴, 입술이나 입 안, 목 따위가 타는 듯이 몹시 마름),
구역 등을 치료한다. 몸의 모자라는 진액을 만들어내거나 청량(淸凉)작용을 위해
쓰며 폐결핵으로 인한 기침을 멎게 하고 토혈, 코피를 그치게 하는 약효도 있다.
비파 잎은 한방에서 폐를 맑게 하고 위를 조화시키며 기를 내리고
담을 삭이는 효능이 있다. 위열을 내리므로 구토에 효과가 있고,
멎지 않는 딸꾹질을 치료하는 작용도 있다.
비파 열매가 한방에서 작용하는 부위에는 비(脾)와 폐가 들어가며
또한 간(肝)도 들어간다.
稟性生南服。품성생남복
稟= 천품(天稟). 타고난 성품. 녹 품, 곳집 름. 여쭐 품.
服 = 옷, 의복. 입다. 일용품(日用品). 항복하다, 복종하다.
'익숙해지다', '일하다', '생각하다', '먹다'(복용), '가지다'(착복) .
貞姿度歲寒。정자도세한
葉繁交翠羽。엽번교취우
翠= 물총새 취. 푸를 취.
子熟蔟金丸。자숙주금환
蔟= 누에섶 족, 모일 주, 태주 주, 작살 착.
藥裹收爲用。약리수위용
冰盤獻可飡。빙반헌가식
嘗新楚江上。상신초강상
懷核種東韓。회핵종동한
核= 씨 핵. 풀뿌리 해.
양주에서 비파를 먹다〔楊州食枇杷〕
타고난 성품이야 남방에 자라는 것이나 / 稟性生南服
곧은 자태는 추운 겨울도 지낼 수 있네 / 貞姿度歲寒
잎이 무성하여 물총새 깃 섞인 듯하고 / 葉繁交翠羽
열매가 익어서 금 탄환이 모인 듯하네 / 子熟蔟金丸
약봉지에 넣어 두면 소용이 있을 테고 / 藥裹收爲用
얼음 쟁반에 담아 올리면 먹을 만하리 / 氷盤獻可飡
초나라 강가에서 새 비파를 맛보고는 / 嘗新楚江上
씨를 품고 가서 동한에다 심어 보려네 / 懷核種東韓
[주-B001] 유성룡(柳成龍) : 1542~1607. 자는 이현(而見), 호는 서애(西厓),
본관은 풍산(豐山),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문인이다.
1566년(명종21) 문과에 급제하여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고,
임진왜란 때 영의정으로 군무(軍務)를 총괄하여 국난을 극복하였다.
저서로 《서애집(西厓集)》, 《징비록(懲毖錄)》 등이 있다.
1584년(선조17) 선조가 유성룡에게 《포은집》을 교정하고
발문을 짓도록 명하였다. 이에 관한 전말은 유성룡의
〈포은집발(圃隱集跋)〉에 자세히 실려 있다. 《西厓集 卷18》
ⓒ 한국고전번역원 | 박대현 (역) |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