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서삼경 사서 대학 (유교 산문) 대학 大学 (儒家散文)
출처:바이두백과 소스:이페어케이
대학 (유교 산문)
《대학》은 유가 수신제가치국평천하의 사상을 논한 산문으로, 원래부터이다.《소대례기》42편은 춘추전국시대 증자(曾子)가 지은 것으로 전해지는데, 사실은 진한(秦漢) 시대 유가의 작품으로 중국 고대 교육 이론을 토론한 중요한 저서다.
북송의 청호·정이를 거쳐 극진히 존숭하였고, 남송의 주희는 또 《대학장구》를 지었다.'중용' '논어' '맹자'와 함께 '사서(四書)'로 불린다.송·원 이후 '대학'이 학교 관정의 교과서와 과거시험의 필독서가 되면서 중국 고대 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대학지 3강령(분명히 덕(德)·친민(親民)·지선(至善)에 그친다항목(격물, 치지, 성의, 정심, 수신, 종가, 치국, 평천하)은 자신을 고치는 것이 사람을 다스리는 전제임을 강조하고 있으며, 자신을 고치는 목적은 나라를 다스리기 위해 천하를 평정하고 개인의 도덕 수양의 일관성을 설명하는 것이다[1].
《대학》의 전문은 문장이 간결하고, 내포된 내용이 깊으며, 영향이 심원하여, 주요 개괄하여 총결하였다.선진 유가의 도덕 수양 이론과 도덕 수양에 관한 기본 원칙과 방법은 유가의 정치 철학에 대해서도 체계적인 논술을 가지고 있으며, 인간, 처사, 나라를 다스리는 데 깊은 계발성을 가지고 있다[2].
작품명 대학 작자 증자 창작연대 춘추말기 작품출시《예기》에 문학 장르의 산문에 처하다.
카테고리
1 역사 연혁
▪ 성서시대
▪ 역대 개황
▪ 역대 버전
2 작품 원문
3 주석 번역문
▪ 어구 주석
▪ 백화역문
4 작품감상
▪ 전체상 분석
▪ 역대 리뷰
5 가치영향
▪ 기여 가치
▪ 작품 영향
6
저자 소개
역사 연혁
성서 시대
《대학》과 사서 관계.
《대학》과 사서 관계.
《대학》은 《예기》에서 나왔다.원래는 《예기》4였다.19편 중 42편예기의 원래 제목은소대례기'는 '소대기'라고도 한다.한선제 때 성근을 썼다역사적으로 남아 있는 실명된 유가의 저서를 합쳐서 편찬한 것이다.단대 사학자 반고가 '기(記)' 31편 '하자주운(下自注雲)' 70자후(後) 학자들에 의해 기록된 바에 따르면 예기(禮記) 각 편의 성서(成書) 연대는 전국 초기부터 서한(西漢) 초기까지 주로 분포한 것으로 보인다.
청대의 최술은 "범문"이라고 주장했다.그때 …했기 때문에…《대학》의 글이 번잡하여 이루어졌다., 又 多 排语 , 计其지금은 전국시대다.(수사고신록·전록)을 종합하여 논하다.『대학』의 성서시대는 대체로 공자·증자에 이어 맹자·순자 이전의 전국 전기인 기원전 5세기경에 증씨유(曾氏)의 유교 일파에 의한 순수 유가 작품이었다."즉 『대학』의 성서연대가 전국 초기이어야 하고, 그 저자가 '증씨유(曾氏之) 일파(一派)', 즉 현재 학계에서 비교적 인정받는 전국 초기 증참작(曾參作)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3] [4]
역대 개황
《대학》은 지금까지 이미 2,000이 전해졌다.다년간, 중국에서 역사위의 각 시기에는 모두 독특한 점이 있다.특별한 학문적 특징.수술적 성과와 사회적 지위.
●
한당 시대
송대 이전에 《대학》은 줄곧예기에 종속되다.비록 《대학》에서 《비록》을 따지지는 않았지만예기'에서 독립되다그러나 서한의 동중서 동한나라 정현, 당나라 공영달한유와 더불어 그들은 《대학》의 전승과 발전에 중요한 공헌을 하였으며 《대학》의 학술적 지위에 영향을 주었다.
동중서의 《대학》에 대한 공물헌는 주로 장군과 유가에 있다경학을 민간 사상에서 제고하다.국가 이데올로기의 높이도, 유학이 관학이 되고현학과 국학의 시초.
정현장 서한 후기 전해지는각종 《예기》 초본.서로 교열하고 주해를 놓다예기를 크게 하다세상에 행하여 오늘까지 전해지다.그의 저서《삼례주》 중의 《예기》.『대학』은 현재 시험할 수 있는 최초의 『대학』 연구 저술이다.
공영달은 '대학'을 읽고,'성의'를 중점적으로 강조하다관건이 되는 역할. 그가 '대학' 텍스트를 둘로 나누다.대절, 주희를 위해 '대학'을 나누다경전 양부를 위해 포장을 하였다.깔다.
인의는 '인의'를 '로 정했다.'도'의 근본, 그리고 '《대학》을 근거로 제기하다."성심성의껏 해라.수신일제가치국일치천하"의 유교적 도덕의 수련 경로그는 『강원도』에서 『대학』을 인용하면서 "천하에 덕이 있는 자"를 인용하여 유가통임을 증명하고, 『대학』 『맹자』 『역경』을 "경(經)의 중요성"으로 간주하여 『대학』의 유가도통(遺家道統)에서의 위상을 높였다. [3]
●
송대 시대
청호·정이장 《시》.책'《예》《역》.《춘추》를 "대경"이라고 부른다.대학교 중용'《논어》《맹자》를 부르다.《소경》은 유생을 계속 존숭한다.가경학의 정통성은 대학, 공씨의 유서, 초학입덕의 문이라고 한다.
주희, '대학'에서 '례'로'기'에서 뽑아서,《대학》《중용》을 위해 하다.장구, 《논어》.《맹자》를 집주하여 그것들을 편찬하였다.함께 《사서장 구문집》을 짓다.이에 따라 '대학'은 '중용' '논어' '맹자'와 함께 '4서'로 불리며 '사서의 우두머리'로 자리매김했다.송(宋) 이후 '대학'은 과거시험 과목의 선정 과목이 됐다. [3] [5]
●
원명청 시기
태원 인종은 황경 2년(1)에 있었다.313년)11월"시험 절차"를 반포하다.확실히 《대학》을 규정하다.중용주희《사서장구 집주》작과거를 위해 책을 추천하다.
科明代는 중국 과거 제도의전성기 때 고향을 규정하다.시회시초장필수시험8주문합은 8개, 문합은 4개이다.서오경 중의 경문에 제목을 달다.대부분의 독서인들은 왕왕 일생을 쏟아붓는다사서오경(四書五經)과 팔주문(八股文)을 연구해 유교에서 대학의 위상을 드높였다.
필경대에는 한학 부흥을 고취하였다.대학'의 지위는 여전히 높다.네. [3]
●
현 시대
대만은 《대학》을 보에 포함시켰다.고교 필수 과목에 정통하다.
《대학》이 일부 대학교가 되었다.관련학과 학부생필수업 [6-7] 。
필필대학이 일부 대학이 되다관련 전공 박사과정 학생 필수업 [8]
《대학》의 학습 형식에 나타나 있다.다양화, 국학경전여전히 굳건합니다 [9-]12] 。
역대 버전
●
《예기》의 주석본(최고본))
●
한희평석경본
●
위정시석경본
●
청하오 개본.
●
정이 수정본.
●
주희 대학장구본(최)통행)
●
왕백 개본
●
계본개본
●
남의 권세를 등에 업고 자기의 근본을 바꾸다
●
최선개본
●
갈인량 개본 [13-1]4]
작품 원문
대학('예기·대학'의 옛본)
대학지도1, 재명덕2재친민 3 재중더할 나위 없이 좋은 것은 4이다5번을 정하면, 그 다음에 조용히 할 수 있다.6. 조용하면 7, 편안해진다여덟 번을 생각하고 아홉 번을 생각해라.사물에는 본말이 있고, 일에는 끝이 있다.전후 사정을 알면 길이 가깝다.
고욕은 천하에 덕을 갖춘 자이고,먼저 그 나라를 다스리고, 그 나라를 다스리려 하다.나랏일이여, 먼저 그 집 10을 제하라.그 집안을 맞추려는 자는, 먼저 수리한다.그 몸 11. 그 몸 고치려는 자, 먼저마음을 바로잡다. 마음을 바로 잡으려는 자가 먼저그 뜻을 말하라. 그 뜻을 이루려고 하는 자는 먼저 그 뜻을 알려라.지적재격물13.물격은 나중에 알고, 지지는 후의진성함, 뜻은 성실하지만 후심은 정직하고, 후신은 수리하고, 수리는 후가가 다 하고, 가정은 제후국치하고, 국치는 천하가 평화롭다.
천자부터 서인 14까지첫째는 모두 수신을 근본으로 한다.15.본란과 말치자아닐세.얇은 사람은 17, 얇은 사람은 18. 미유 19.이것을 지본이라 하고, 이것을 지지지라고 한다.
소위 그 뜻을 따르는 사람이라고 하여, 스스로 인정하지 마라.업신여김도 21. 악과 같다냄새 22, 색칠하기 23이것을 자겸24라고 한다그러므로 군자는 반드시 25를 삼가야 한다.소인은 한거하면 나쁜 놈이 되고, 나쁜 놈이 아니면 26이 없으면 안오지 않는 자는 군자를 보고 27을 싫어하고, 선한 일을 하지 않는 자를 가려낸다. 사람은 자신을 생각하는데 그 폐가 간연하면 무엇이 유익하랴.이 가운데 30를 서술형은 성 밖으로 31도 특유의 신중하면 반드시 그런 까닭이다. 증자는 말하기를, "열목은 보고, 열 손으로 가리키는 것은 엄하니 32!"부윤옥은 33번, 덕윤은 34번, 심광체는 35번 살이 쪘으니 군자는 반드시 그 뜻을 따를 것이다.
《시》운36: "첨필기호주 37, 녹죽이38. 피군자 39가 있고,40년을 함께 연구하고 토론하다다듬기는 맷돌 41. 꼬슬꼬슬 4둘, 셋, 휘영청.아들딸이 있으니 절대로 44.'여절여담(如切如 磋 磋)'자, 도학(道學)도 45. "마치 다듬는 것과 같이" 자는 스스로 수련한다.'슬슬슬슬'한 자, 공리도 46.赫兮喧 者 者는 위풍당당한 경치이다.'비로운 군자가 있으면 결국 떠들 수 없는 자' 도성의 덕과 덕행을 국민은 잊지 말아야 한다.'시' 47운 " "희48, 전왕불망49!"군자는 현자를 현자로 여기고 친하게 지내며, 소인은 그 이익을 즐기며 51를 얻으면 평생 잊지 못할 것이다.'강고'는 53 "크밍더 54"이다.《대갑》은 55: "고승천의 명명 56."이다.《제전》은 57: "극명준덕58"이다.모두 자명야59. 탕의 《반명》은 60: "茍日新61,일일일신,일일신"이라고 한다.'강고'는 '작신민 62'. '시'는 63을 가리켜 '주(周)는 구국 64를 가리키며 유신 65를 명한다'고 했다.고군자(故君子)는 뭐든지 극66을 썼다.'시' 운67: "본기 천리68, 유민소 69."《시》운70: "관만황조71, 큐우 72에 그친다." 공자는 "어지73그가 하는 것을 알면 사람이 될 수 있지만 그렇지 못하다.새호74? 시운75: 무무문왕76, 지희경지77!군주가 되면 인에 그치고, 신하가 되면 경에 그친다.아들아, 효에 그치고, 사람됨이 되다.부친은 자애에 그치고 나라 사람과 사귀는 것은 믿음에 그친다.자왈 "송사를 듣는 것은 78이고, 우리 역시 79이다.무송호 80으로 하리라"고 말했다.몰인정한 사람은 할 수 없이 81, 82를 두려워한다.이를 지본(知本)이라고 한다.
이른바 수신재정기 83화가 나 84만일 그 잘못을 바로잡지 않으면, 두려울 것이 있다두려워하면 그 정수를 얻지 못하고, 좋아하는 것이 있으면 85세에 이를 수 없다.바로 근심할 것이 있으면, 그것을 할 수 없다.정. 마음은 딴 데 가 있고, 보고도 못 본 체하고, 듣고도 못 보고, 먹고, 냄새도 모른다.이를 수신재정이라고 한다.
그 집안을 다스리는 자,사람은 그가 사랑하는 만큼 벽적이 된다.어찌 86이요, 그가 천악하도다.배석자가 87세이다.경의를 두려워하여 벼슬을 얻어 88세의 비애를 받다교만하여 이를 89로 만들었고, 그가 이를 자랑하였다.게으름으로 90을 구한다. 그러므로 좋고 나쁨을 알면 91이고, 악하면 그 아름다움을 알면 천하가 드물다.옛 속담에 "사람은 그 아들의 악을 알지 못하고, 그 묘의 석조는 92"라는 말이 있다.이것을 수리하지 않으면 제집안을 이룰 수 없다고 한다.
나라를 다스리기 위해서는 먼저 그 집안을 다스려야 하고,그 집은 가르칠 수 없어 능히 가르칠 수 있다인간이란,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임금은 그렇지 않다출가하여 9월에 교편을 잡았다3. 효자, 그래서 임금님도, 아우님도자94. 그러므로 그 일은 자애롭다자95 그러므로 회중이다.'강고'는 '바오치쯔96'이다.간절히 원하면 비록 97이 되지는 않지만, 멀지 않다.양자를 배우지 못한 후에 시집가는 사람이 있다.한 집안은 인을 하나 흥하게 하고, 한 집안은 98을 양보하며, 한 사람은 99를 탐하고, 한 나라는 난을 일으키는데, 그 수가 이렇게 100이다.이것을 일언반사로 101인이 나라를 망친다고 합니다.요와 순이 천하를 다스린 자는 인 102요, 백성은 그를 따랐다.걸왕과 주왕이 천하를 장악하여 103을 폭행하고 백성이 이를 좇다.그 명령은 그 호의를 거스르고, 백성은 그 호의를 무시한다.따르지 않는다. 고인이 된 후에 자기를 위해 구하라 104로 자기보다 낮으면 105가 된다.숨겨 둔 몸으로는 106을 용서할 수 없으나 제자들에게는 107이 있다.옛 통치국이 제 집에 있다.시운 108: "복숭아 109는 잎이 우거져 110이 된다.그 아들은 111이고, 그 가족은 112다."그 가족에게 적당하고 그 후에 국인을 가르칠 수 있다.시운 113: 의형의제 114.의형은 의제하고, 이후에 국인을 가르칠 수 있다.'시' 운115: "의(儀)가 틀리지 않고 116, 4개국 117" 그는 부자형제 족법이다118. 그 후 민법.이를 치국재택이라고 한다.
평천하가 그 나라를 다스리는 자란상로이민흥효119.윗사람은 길고, 백성은 동생이 흥하다.120.상휼고이백성은 121배로, 군자가 있는 법이다.크랭크의 길도 122다.악한 것은 위에서, 악한 것은 아래와 같이 하지 말아야 하며, 악한 것은 앞에서부터 시작하지 말아야 하며, 악한 것은 뒤에 있는 것은 이전과 같다.시운 123: "락지군자 124, 백성의 부모."백성이 잘 사는 곳 125번, 백성이 악한 곳 126번, 이를 백성의 부모라 한다.시운 127: "절남산 128, 유석암 129.혁혁한 사윤 130,민구일첨131"이라고 썼다.나라를 가진 자는 조심하지 말고, 벽하면 천하에 악한 132가 된다.시운 133 "은지미상사 134, 하느님 135"의감은 은136에 준명하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도득중이득국138, 실중이면실국한다.
그러므로 군자는 덕을 먼저 삼가야 한다.덕이 있으면 이 사람이 139요,흙이 있으면 흙이 있고, 흙이 있으면 재물이 있다.부자는 140. 덕은 본디이고, 재물은 마지막이다.외본내말 141, 민시를 다투다142. 그러므로 재물이 모이면 백성이 흩어지고 재물이 흩어지면 백성이 모인다.고언반려자 143, 반도반입자 144, 반도반입자 144.'강고'는 '상장 145에 목숨이 달려 있다'고 말한다.도선(道善)은 146을 얻었고, 선하지 못하면 실점했다.초서는 147을 가리켜 "초나라는 보물이 없고, 보물이 148이라고 선량하게 여겼다.외숙범은 149 "망인은 보배로운 것이 없고, 인친은 보배 150"이라고 말했다.
진서 151: "만약일개 신하가 있으면, 끊을 수가 없다.무타기 152, 마음만 먹으면잠시 153, 그처럼용감무쌍 154약기유지;인지언성155.마음만은 156.실로 157을 수용할 수 있으니, 우리 자손을 여생을 보호할 수 있거늘, 그것도 유리하구나!사람이 기량이 있으면, 악을 질투하는 것이 158이다.유인방류의 161은 사이 162로, 중국과는 163이 아니다.이것을 사람만이 사람을 사랑하고 악인을 능하다고 한다.현자를 볼 때 164를 들 수 없고, 먼저 16을 들 수 없다.5. 팔자도 166, 못 보면 167로 물러설 수 없다.호인의 처소는 169이고, 악인의 처는 사람을 거역하는 성질 170이라 하며, 농사를 지을 때는 반드시 남편을 붙잡는다.옛 군자는 큰길이 172번 있으니 믿고 얻으라, 교태는 173번 놓치리라.
돈을 버는 데는 큰 길이 있고, 돈을 번 사람은 많다.74.식지과175. 이를 위한 176 질병177, 쓰는 사람 슈 177자, 그러면 재물은 항상 충분합니다. 인자는 재물로 부자가 됩니다.178세, 불륜의 몸재물. 좋은 사람과 의리가 없는 자, 좋은 의가 없는 자도 179, 부고가 없는 자도 180입니다.맹헌자는 181에 이르기를 "축마는 182를 곱하면 복어를 관찰하지 않으며, 벌빙하는 집 183은 소와 양을 축내지 않으며, 백승이 있는 집 184는 모집을 하지 않는 신하 185이다.모이는 신하보다 차라리 도신이 186이었다"고 말했다.이를 가리켜 국가는 이로운 것을 이로운 것으로 여기지 않으며 의로운 것을 이로운 것이라고 한다.나라를 잘 다스리고 재물을 잘 쓰는 사람 187은 반드시 소인배에서 나온 것이다.그것은 선의 188이요, 소인의 사신은 나라의 189이며, 재해를 병합한 것이다.비록 선한 사람은 있어도, 그보다 못한 것은 190이다!이를 가리켜 국가는 이로운 것을 이로운 것으로 여기지 않으며 의로운 것을 이로운 것이라고 한다. [15]
《대학》의 서법.
주석 번역문
어구 주석
1.대학지도:대학문의 취지, 대학의 최종 목적.대학:고대에는 그 의미가 있었다.두 가지: "박학"지'초등학교'에 상대하는 '어른의 학'이다.8세 때 초등학교에 입학한 어린이들은 주로 '살소, 대응, 진퇴, 예악사어서수'와 같은 문화 수업과 기본적인 예절을 배웠다.15세 이후엔 대학에 진학해 윤리 정치 철학 등 '궁리정심(宮理正心) 수기치인(修機治人)'의 학문을 공부한다.두 가지 의미에는 분명한 차이점이 있지만 박학(博學)의 의미가 담겨 있다.도:본지는 길을 말하는데,여기에서 말하는 것은 정치,철학을 공부할 때 습득한 법칙과 원칙을 말합니다.명명덕: 첫 번째 '명'은 동사이다.두 번째 '명'은 형용사로 고상하고 빛나는 뜻을 담고 있다.
2.명명덕:첫 번째"明"은 동사로, 표현·발달한다.날리는 뜻. 두 번째 '명'은형용사, 고상한 뜻을 내포하고 있다.빛나는 뜻.
3.친민: 말 그대로'신민'은 낡은 것을 버리고 새 것을 얻는다.악을 버리고 선을 행하다. 사람을 인도하고 교화하다.민의.
4. 처분에 그친다.
5.알아보기:명목표소가 있는 곳.
6.정:마음이 움직이지 않는다。
7.안:소처이안。
8.걱정:일처리가 상세하다.。
9.수: 성과를 얻는다。
10.제가족:장자기 가정이나 가족의 업무 안배질서 정연하게 사람과 사람을 관리하다.그 사이 사이 사이 어울리고,가업이 번창한다는 뜻.
11.몸을 다듬는다:단조자신의 품행과 인격을 만들고 수련하다.。
12.알아주기:양스스로 지식과 지혜를 얻다.
13.격물:연구세상만물을 안다.
14.서인:보통백성.
15.일시모두이수신위본 : 일: 전부가 다 그렇다.의.본:본원,근본.
16.말: "본"과"상대적으로 말절의 뜻이다.
17.두꺼운 사람:이것후한 대접은 태만하다.
18.보송보송한 사람:이것푸대접은 오히려 후하게 대접한다.
19.미유야:목적어가 앞에 놓이면, "미유지야"이다.그런 적 없으셨다는 말씀이시네요.방법이나 일.
20.진심:지생각이 진지하다.
21.무:싫어요.
22.악è) 악: 나쁜 것을 가리킨다구린 냄새.
23.좋아요)좋아요(hǎo)색: 애용외모가 출중한 여자.
24.겸:마음이 흡족하다.족제비 모양.
25.독자를 조심하라:혼자 있을 때는 신중해야 한다.
26.한거:단독집에서 혼자 지내다.
27.염연:자막숨기고 피하는 뜻.
28.벙커:숨겨라의.작.
29.익점: 이점,좋은 점.
30.중:속마음.
31.외:겉모습。
32.엄:심각하다.차가운 사람은 경외한다.
33.윤옥: 데코레이션주소
34.윤신:수련자신
35.마음이 넓고 몸이 뚱뚱하다(pán):마음이 넓고,몸이편안하다. 뚱뚱하다: 편안하다는 뜻이다.
36. '시: 이《시경·위풍·기오》를 가리킨다.
37.기:고대의수명은 지금의 하남 북부에 있다.파묻다점.
38.녹.: '녹색'으로 통한다.:아름다움이 넘칩니다.
39.피: 점잖다.
40.절과 반상:맞음뼈다귀를 절단하고 광택을 내다.
41. 다듬기, 맷돌: 조각구슬을 다듬어 다듬다.학문을 연구하다.
42.슬:장엄하다.시옹, 위엄.
43.ㅎㅎㅎ:혁혁한 모습.
44.시끄럽다:또 만들다잊지 않으리라'는 망각의 뜻을 담고 있다.
45.도:말,말논하다.
46.손 공손(xnn)栗:공포하고 두려워하는 마음.
47.<시>:이《시경·주송·열문》을 가리킨다.
48.와우 hoh):감탄사.
49.전왕:지주문왕과 주무왕입니다.
50.현기현:존어질고 총명한 사람이 있다.근친상간.
51.즐거움:안그의 쾌락을 누리다.
52.이 때문에:3.세상을 떠나:살아남는 뜻.몰, 몰.
53.강고:《상서·주서》 중의 한 편.오경 중의 하나인 《상서》는 기억이다.고대사사건과인물의 저서는 《우서》《하서》《상서》《주서》의 4대 부분으로 나뉜다.
54.g:할 수 있다.
55. '대갑' :태갑, 상서상책' 중의 한 편.
56.고:고민지의미. sh(shì):이것.명명: 정의의 품성을 솔직하게 털어놓다.
57.제전:즉 《요전》은 《상서·우》이다.책' 중의 한 편.
58.극명준덕:《요전》의 원구는 "극명준덕이다."". 준, "준"과 통하다.숭고한 뜻.
59.자명:자신빛나는 덕성을 발양하다.
60.탕:역사상의 상탕. 반명: 금속기에 새긴다.그릇 경고언어 혹은 잠언.금속그릇 손가락상탕의 목욕탕이다.
61.茍:그렇다면.신:본 의미는 목욕할 때 몸을 제거하는 것이다.더러워진 물건, 몸을 깨끗하게 하고여기서는 정신적인 측면입니다.낡은 것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버리고 새로운 것을 창조하자.
62.작:격발.신민:사민신구(使民新)의 뜻.새 것을 버리고, 악을 버리고 선을 따르다.
63.<시>:이《시경·대아·문왕》을 가리킨다.
64.주:주조.구방: 구래의 국가.
65.기명:여기 있다안에서는 주나라가 받드는 천명을 가리킨다.유: 도움말, 의미가 없다.
66.고인: 그러므로극: 완벽, 극치.
67.'시'를 가리킨다《시경·상송·현조》.
68.경기(jī): 도성과 주변지역을 말한다.
69.제: 정지,서식, 여기서는 거주의 의미입니다.
70.'시'란 뜻《시경·소아·면만》.
71.관(mín))만: 새소리.
72.우:구석지의.지:서식.
73.어지:에 대해거처하는 곳.
74.할 수 있다: 바로 무엇에 왜.
75.<시>:이시경·대아·문옥을 가리킨다.
76.무목:옹용점잖은 모습.
77.삐: 감탄사. 박: 이어.희:밝고 밝다.쉼:도움말,무의미.
78.송무감사:심리소송 사건.
79.유다인: 화별사람과 같다.
80.필 :꼭.
81.무정자: 있음실정에 어긋나는 사람. 말: 감언이설。
82.민지:지민마음
83.슬림핏: 손가락의수양이 잘 된 덕목이다.
84.분홍(zh)ì): 분노의 뜻.
85.좋은 음악:취향선호하다.
86.지: "맞습니다"라는 뜻입니다. 자기: 친근하다, 편애하다, 편애하다뜻.
87.악:혐오.
88.무서워:무서워.
89.애긍: 동정연민의 뜻.
90.오타:오:교만, 오만. 게으름: 게을러.
91.좋아:좋아.
92.석:크다.
93.출가하지 않고 성공하다어국: 집밖으로 나가지 않고 가르칠 수 있다.나라까지 문화적으로 추진하다.
94.제: 通"悌""라고 말한다. 동생이 형을 존중해 주는 것을 말한다.부터
95.자애:어른께서아랫사람의 사랑.
96.보적자:《상서·주서·강고》에서 나오다.예를 들면, '약'과 같은, 마치국군으로서의노백을 보호하려면 자신의 영아를 보호하는 것과 같아야 한다.
97.중:이란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다.
98.장: 양보.예의를 갖춰 사양하다.
99.욕심:욕심포악하다.
100.기계:고대활과 화살의 기관, 여기서 가리키는 것은관건이 되다.
101.이n): 망가진다는 뜻.
102.요순: 옛대인군의 대표.솔:리더이끌다.
103.걸왕 주왕: 걸왕하대의 마지막 군주, 잔폭도가 극에 달하다.한 명의 군주. 두 사람과요순 상대방은 고대 폭군의 대표였다.
104.제:지어'의 합음어. 이런 것을 가지고 있다.선덕.
105.비: 비난。
106.용서:용서하세요라는 뜻입니다. 공자가 말했습니다.욕심은 남에게 베풀지 말라"고 했다.그러니까 하고 싶지 않은 거,다른 사람에게 시키지도 마라.이런 자기 자신과 사람을 밀어내는 품성이 바로 유교가 제창한 용도이다.
107.유:알아알겠어.
108.'시:이 말은 《시경。
109.요절:선아름다운 모습.
110.더부룩하다(zhēn) : 풍성하고 무성한 모습。
111.의 아들:와 "여자여귀"는 같은 뜻으로, '여귀여'와 같이 말한다.여자가 시집가다.
112.의:적합화목하다.
113.'시:이 말은 《시경·소아·요소》를 가리킨다.。
114.이형제:형님을 존경하고 형제를 아끼는 것입니다.뜻.
115.'시:산비둘레。
116.의:의용tu(tu) : 에러.
117.정:광정【교정】사방 각 국.
118.법:효법。
119.노인:제'늙다'는 동사인데, 이것은 '늙다'를 가리킨다.노인을 노인 대시의 의미로 삼다사. 늙은이. 늙은이. 존경하오.인의.
120.긴 길이:경웃어른의 뜻을 중시하다.
121.티셔츠:티셔츠동정의 뜻. 외롭다: 유년기를 가리킨다.아버지를 여읜 고아."이반, 배반대뜻.
122. 가늠(xi)é) : 도량의 의미.직사각형: 직사각형을 그리는 데 사용되는 자자, 규칙이요 법도이다.이 뜻. 크랭크의 도: 유가의 윤리사상으로, 한 마디 한 줄에 모범이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123.'시:이것은 《시경·소아·남산》에 있다.'대'.
124.락:신난다、기쁨의 뜻. 다만, 도움말, 없음의의
125.좋다(hà)o):좋아.
126.악): 역겨워.
127.'시:이 말은 《시경》。
128.절:통'절'하고 높이 솟은 모습이다.
129.웨이: 말투단어, 무의미하다. 암석: 험준한뜻.
130.혁혁:현혁, 눈에 띄는 모습.사윤: 태사윤을 가리킨다.씨, 태사는 주나라 사람이다.삼공 중의 하나.
131.구:통모두."우러러보는 뜻.
132.욕(lù)):살육의 뜻.
133.시:이 말은 《시경·대아·문왕》을 가리킨다.。
134.상사:상민심을 잃다.
135.g: 할 수 있다.배 : ...와 부합하다.
136.의: 응당감:경계,감계.
137.준:크다.불가 : 보유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138.도: 말한다.
139.이:재.
140.용:용도。
141.외본내말: 본말이 전도된 것을 가리킨다. 외: 소원하다.경시. 내: 친근한, 중시하다.
142.쟁민:민여럿이 서로 싸운다는 뜻.시탈:재부를 빼앗다.
143.패.i):역(逆)
144.물건:재。
145.상:항상한쪽에 머무르다.
146.도: 말한다.
147. 초서초소왕 때 편찬한 사서이다.
148.초나라무위보배,유선인보: 초나라에서 왔구나.책'을 썼다. 왕손은 초소를 받았다.사절로 진나라에 가다. 진나라로 가다.조간자가 초나라의 보물과 보미옥의 일을 묻다.왕손은 초나라가 미옥을 보배(寶寶)로 여기지 않고, 관사부(觀射父)와 같은 신하들을 보배(寶寶)로 여길 뿐이라고 응수했다.
149.외숙범:네진문공중귀의 외삼촌.'글자 범법자범'.
150.고인은 어쩔 수 없다보물을 위하여 어버이를 위하여, 어버이를 보배롭게 여기다: 죽은 사람:도망가는 사람은 특히 귀에 거슬린다.자범은 중이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역사의 경우 진희공 4년, 진헌공은 참언을 듣고 태자 중생을 목매달아 죽도록 핍박했다.다시 귀로 피신하여 적나라에 망명할 때에 진헌이 공명을 바쳐 세상을 떠났다.진목공은 중이에게 귀국하여 집권할 것을 권했다.자범은 이 일을 알고는 돌아갈 수 없다고 판단, 즉시 다시 이런 말을 들었다
151.진서:상서·주서 중 한 편.
152.단단:마음이 성실하다는 뜻입니다.
153.휴식: 아량이 넓다.
154.유용: 사람을 포용할 줄 안다.
155.언성:덕과 재주를 겸비했다는 뜻.언:아름답다.명
156.더 이상(ch) : 그뿐만이 아니다.
157.실:네.
158.mào질: 질투의 의미.
159.위:저해한다는 뜻입니다.비키(bǐ) : 할 수 있다.
160.약:위험하다.
161.방류:방류.
162.빠져나가라: 추방하라.4이: 동남서북각지이오랑캐는 고대 동방의 백성이다.
163.중국: 국가의 중심부를 말합니다.
164.거:추천.
165.먼저:우선.
166.명: 느림의 오자입니다.거만한 뜻.
167.퇴:퇴.
168.과:실수.
169.호(hào)인의 소악(wù) : 선호중혐오스러운.
170.스물:역,위반.
171.제초농사(zāi) : 동재.逮:기다리는 뜻.부:도움말, 의미가 없다.
172.대로: 상식적으로 바른 길.
173.교태:방자하고 사치스럽다.
174.생:생.
175.식:음식을 즐겨라.
176.질: 신속.
177.슈: 느리다.
178.발신:심신 수련.발:발의.
179.불종:불성공.
180.부고 : 국가의 귀중한 기물을 보관하는 곳.
181.맹헌자: 노나라의 대부, 성은 중손이며, 이름은 모멸입니다.
182.승(shèng) : 네 마리의 말이 끄는 차, 옛날대의급의 대우.
183.벌빙의 집: 장례를 치를 때 시체를 얼음으로 보존할 수 있다.경대부 이상의 고관이 즐길 수 있는 집대우를 하다.
184.백승의 집: 집에 있는 백대의 차는 고대시대 큰 것이다.가족은 통상 봉지가 있는 제후왕이다.
185.가렴지신: 백성의 재물을 모은 가신.
186.도신: 공가의 재물을 훔치는 가신을 말한다.
187.장(zhǎng)의 나라: 한 나라의 장이 되다.임금님을 말합니다. 무:노력하다.
188.그:여기는 국군을 가리킨다.
189.다음. 통치합니다.
190.그것만 다를 것이 없다:그것으로 어쩔 수 없다. [16-19]
백화역문
《대학》의 종지는 고상한 덕을 발양하는데 있으며, 사랑에 있다.인민은 최고의 경지에 도달하는 선에 있다.'지선'의 경계에 도달해야 비로소 목표를 정할 수 있음을 알다목표의 뒤를 정하면 마음이 평온하고 마음이 평온할 수 있다.조용해야 안정되고 혼란스럽지 않아야 사려가 깊고 주도면밀해야 비로소 도달할 수 있다'지선'에 이르러서는 모든 물건에 근본이 있으면 끝이 있고 모든 일에 종말이 있다.모두 단말유시단, 알아그것들의 선후를 보면, 바로 《대학》의 취지와 같다.거의 다 됐어요.
고대에 고매한 덕을 천하에 떨치려는 자는 먼저자신의 나라를 잘 다스려야 한다.자기 나라 사람은, 먼저 자기 집안을 잘 정리해야 한다.법정, 자기 가정을 잘 다스리려는 사람은 먼저자기의 품성을 잘 수양해야 한다.자기 마음을 바로 잡고 싶은 사람,그러면 먼저 자기의 생각을 진실하게 해야 한다성심성의껏, 자신의 의사에 진실하게 하려는 사람은, 먼저 얻어야 한다.지식을 얻는 방법은 사리를 탐구하는 데 있다.사리를 탐구한 후에야 정확한 인식을 얻을 수 있다.정확한 것을 인식한 후에야 진실과 뜻을 의식할 수 있다.성정을 읽은 후에야 마음을 바로 잡을 수 있고, 마음이 바른 후에야 품성을 닦을 수 있고, 품성을 수강한 후에야 마음을 가다듬을 수 있다.가문, 가문이 조정을 잘해야 나라도 다스리고 나라도 다스린다잘 정돈한 후에야 천하를 태평하게 할 수 있다.
천자부터 일반 백성까지 수양과 덕목을 근본으로 삼아야 한다.근본은 썩어도 끝은 고친다이건 불가능해. 내가 남을 후대하듯 말야, 그 사람사람은 도리어 나를 푸대접한다.나를 후대한 적은 아직 없다.이것으로 근본을 알 수 있다.바로 인지의 최고 경지입니다.
생각의 진실이란, 자신을 속이지 말라는 뜻이다.고약한 냄새를 싫어하고 예쁜 여자를 좋아하듯,자신의 만족을 구하는 것이다.그래서 군자는 혼자 있을 때 신중해야 됩니다.소인은 집에서 빈둥거릴 때 어떤 나쁜 일도 할 수 있다.그들은 군자를 본 후에야 숨길 수 있다번개, 그들의 나쁜 행위를 감추고, 겉으로는 착한 체하다.공손하게. 다른 사람이 널 보면,너를 볼 수 있는 오장육부처럼 투철하고, 허세를 부린다.샘플은 어떤 좋은 점이 있을까?이게 바로 말하는 마음이 어떤 건지겉으로 드러난다는 것.그러니까 군자는 혼자 있을 때 꼭신중하라. 증자는 "한 사람이 뭇사람에게 보여지고 뭇사람의 비난을 받는 것은 무서운 것이다."라고 말했다.부자는 집을 화려하게 하고 덕은 사람의 품성을 고상하게 하며, 도량이 넓고 재치가 있게 한다.마음이 편안하기 때문에 군자는 반드시마음을 진정하게 가져라.
《시경》에 "저 굽은 기수안변을 보니 녹죽이 우거져 있다.문질빈빈한 군자여, 절차탁마하듯,옥기처럼 학문을 닦고 심신을 닦아야 한다.그는 장엄하고 위엄이 있어 과시하는 빛이 역력하다.그 곱고 고운 군자여,잊을 수 없다"고 말했다.이른바 "골격구상"이란 학문을 닦는 방법을 말하는 것이다."옥기를 궁리하는 것 같다"고 하는 것은, 자신의 품성 수양을 말하는 것이다.'장엄하고 위엄이 있는''빛의 빛'이란 군자가 겸손하고 조심하는 것을 말하며,군자의 풍채와 위엄을 말하다."그 점잖은 군자가여, 사람을 웃긴다.잊지 못한다'는 것은 군자를 말하는 것이다.품성이 완벽하여, 최고의 경지에 이르렀다.선은 백성이 잊지 못할 것이다.《시경》에서 "아이고, 선현왕은 잊혀지지 않을 것이다."후대 군자는 선대의 현왕을 존경하고, 선대의 현자를 존경한다.왕이 친척을 두는 경우, 후대 백성이 먼저이다.전현왕이 안락을 누리며, 수익을 얻다.선대의 현왕은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다.《상서·주서》 중의 《강고》편"미덕을 발양시킬 수 있다.상서(尙書·상서) 중 태갑(太甲) 편은 "하늘의 고상한 품성을 그리워한다"고 했다.《상서·우서》 중의 《제전》 편.中은 "위대한 덕행을 선양할 수 있다"고 했다.이 말은 모두 스스로 미덕을 발양하자는 것이다.상탕의 반명에 하루만 씻으면깨끗이 씻으면, 매일매일 깨끗이 씻어야 한다."강고 편에서 "자신을 권면한다"고 말했다.《시경》에 "주나라가 비록 구국이기는 하지만그러나 문왕이 천명을 받드는 것은 새롭다"고 말했다.그래서 군자는 어디서나 지선의 경계를 추구한다.《시경》에 "경성은 사방이 천 리에 달해 모두 백이다.성이 거처하시다.나무가 많은 언덕에 서식한다"고 말했다.공자가 "아아, 꾀꼬리는 다 안다.자신의 서식처를 말하는데 사람이 오히려 새보다 못하단 말이냐"《시경》에 "표정이 단정하고 장중하다.아름다운 문왕이여, 덕행이 고상하여 흠모하지 않는 이가 없다."군주로서 인정을 베풀어야 하고, 신하로서 군주를 존경해야 한다.사람의 아들은 부모에게 효도하고, 사람의 아버지는 자애로운 마음을 가져야 하며, 내국인과 교제할 때는 성실하고, 신용이 있어야 한다.용. 공자가 말했다. "쟁송을 심리하고 나의 능력과 타인을 판단하라.그러나 나는 소송이 아예 일어나지 않도록 노력했다.실정에 어긋나는 사람이 변명만 늘어놓아 민심의 외면을 받아서는 안 된다.근본이 무엇인지 알고 있다는 뜻이다.
품성을 닦으려면 먼저 마음을 바로 잡아야 한다.마음이 울적하면 반듯함을 얻지 못하고, 두려움이 있으면 불안함을 느낀다.반듯함을 얻지 못하면, 마음에 편향이 있으면 얻지 못한다.바르게 하고 마음에 우환이 있으면 바르게 하지 못한다.일단 정신을 딴 데 팔고 나면, 보고 있는 것이지, 아무것도 볼 수 없다.들을 수도 없고, 먹을 수도 있지만, 맛을 구별할 수 없다.그러니까요. 품성을 수양하는 것은 우선입니다.마음을 바로잡다.
가족을 잘 조정하려면 먼저 품성을 수양해야 한다. 왜 그럴까?사람은 흔히 그가 친하고 좋아하는 사람에 대해 편파적이기 때문이다.견, 그가 경시하고 싫어하는 사람에 대한 편견이 있다.그가 두려워하고 공경하는 사람은 편견이 있어, 그에 대해 동정을 느낀다.동정을 아끼는 사람에게는 편견이 있고, 교만하고 태만한 사람에게는 편견이 있다.그래서 한 사람을 좋아하지만 단점을 인식하고, 한 사람을 싫어합니다.사람은 그의 장점을 인식한다.사람도 드물어요. 그래서 속담에 "사람은 보면 안 돼요.제 아이가 잘못하면 제 곡식이 좋다는 걸 깨닫지 못한다"고 했다.이것이 바로 좋은 품성을 수양하지 않고,가문의 이치를 잘 조절하지 못하다.
나라를 잘 다스리려면 먼저 자신의 가족을 잘 다스려야 하기 때문이다.자기 집안을 잘 가르치지 못하는 사람은 오히려 잘 가르칠 수 있다한 나라의 백성을 위한다는 것은, 종래 있을 수 없는 일이다.그래서 군자는 집 밖에 나가지 않고 나라를 가르칠 수 있다.민.효.군주를 섬기는 원칙.존형.장관님을 섬기는 원칙.인자함은 민중을 통제하는 원칙이다.'고구'는 "아기 사랑처럼."아기의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성심성의껏 보호하자.아, 그 정도밖에 안 된다. 애부터 배워서 시집가는 사람은 없다.야! 자애로운 소개팅 한 나라.한집안은 겸손하게 양보하고, 한집안은 인심을 베풀어 풍토가 되는 법이다.한 나라가 겸손하게 양보하면 바람이 불고, 탐욕스럽게 굴면 나라가 대란한다.이렇게. 한 마디로 큰일을 망칠 수 있는, 혼자인.국가를 결정할 수 있다.어진 정치가 천하를 통치하니, 백성이 따라간다.그들에게서 자애를 베풀다.걸왕과 주왕은 폭정을 이용하여 천하를 통치하고 백성들을 다스린다.그들을 좇아 포악하고 잔인하게 굴었다.그들이 모두에게 명령한 것은, 그 자신이다.자신이 좋아하는 흉포와는 반대로 백성들은 복종하지 않는다.그러므로 군자는 스스로 품위를 갖도록 요구한다.덕후가 남에게 요구하면, 자신은 먼저 하지 않는다.나쁜 일은 그 다음에 다시 남에게 요구합니다.자신에게 불협화음을 숨기고, 남에게 시치미를 떼지 마라.너그러운 행위는 다른 사람에게 오히려 이해시킬 수 있다도, 있을 수 없는 일이다.따라서 국가의 통치는, 우선 조정하는 데 달려 있다.훌륭한 가문. 《시경》에 다음과 같이 쓰여 있다."복숭아꽃은 현란하고, 가지와 잎이 무성하다.시집가는 처녀, 온 가족이 즐겁다"고 말했다.온 가족이 서로 화목하게 지내야 한 나라의 사람들을 가르칠 수 있다.《시경》에 "존형아제."라고 쓰여 있다.형제가 서로 화목하게 지내야 한 나라의 국민을 길들일 수 있다.《시경》에 "그의 의용은 착오 없이 사방의 나라의 준칙이 되었다"고 쓰여 있다.아버지·아들·형·동생이 각자 자기 자리를 도모할 수 있어야 백성들이 법을 지킬 수 있다.이를 곧 좋은 나라를 다스린다고 한다.집은 먼저 가정을 잘 다스려야 한다.
천하를 평정하려면 먼저 자신의 나라를 잘 다스려야 한다.윗사람이 윗사람을 존중하면 백성이 그 노인을 존중하기 때문이다.윗사람이 형을 존중하면 백성은 이를 존중하게 된다형님, 윗사람들이 외로운 자를 동정하면 백성이 이를 것이다.그래서 군자의 언행은 모범이 됩니다.상급자가 하는 짓이 밉다면, 같은 방법으로 대하지 마라.등급; 하급자의 작곡소를 혐오한다.상사를 같은 방법으로 대하지 말라.내가 전에 한 짓은, 같은 방법으로 취급하지 마라.뒤에 있는 사람은 나를 싫어한다.그 후의 행적은 그렇지 않다.같은 방법으로 내 앞에 있는 사람을 대하고, 내 오른쪽에 있는 사람이 하는 일을 싫어한다면, 같은 것으로 하지 마라.나의 왼쪽에 있는 사람을 싫어합니다.사람이 하는 짓은, 쓰지 마라.같은 방법으로 오른쪽에 있는 나의 사람교제. 이것이 바로 말하는 모범적인 역할이다.《시경》에 다음과 같이 쓰여 있다.즐거움이여, 국군여, 너는 백성이라"백성이 사랑하는 그이사랑하면 백성이 미워하는 그가 미워하는 것이 백성의 부모라 하였더라《시경》에 "높은 남산아, 겹겹이 이어진 산이다.첩첩이 우뚝 솟은 윤태사여, 모두가 너를 우러러본다.'국가를 통치하는 사람은 신중하지 않으면 안 된다.신중, 실수하면 천하의 백성들에게 살해당한다.시경에는 "은조에는 없다.민중을 잃었을 때, 하늘에 닿을 수 있다.의지는 서로 맞아야 한다.천명은 천명을 얻었는가, 멸망한 것을 거울로 삼아야 한다쉽죠." 민중의 포옹을 했다는 얘기다.보호는 국가를 얻고, 민중의 옹호를 잃으면 잃게 된다
그래서 군자는 신중하게 덕행을 수양해야 됩니다.덕행이 있어야 민중을 얻고, 민중이 있어야 국토가 있고, 국토가 있어야 부도 있고, 부도 있어야 누릴 수 있다.근본적이고 부(富)가 끝이다.본말이 전도되면 민중이 서로 치고받고 싸운다.그래서 국군의 손에 부가 모이면 백성이 뿔뿔이 흩어지고, 그 부가 백성에게 소개되면 백성이 국군의 곁에 모이게 된다.그래서 남이 하는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하고, 남이 하는 말도 안 되는 말로 너라고 하고, 또 부정한 방법으로 부를 빼앗기도 한다.'강고'에서 "천명은 시종일관하지 않는다"고 했다.덕이 있는 자는 천명을 얻고, 덕이 없는 자는 천명을 잃는다.초서(初書)에는 "초(草)나라가 보배(寶寶)로 쓸 만한 게 없고, 덕행(德行)만 보배(寶寶)로 여긴다"는 내용이 나온다.외숙범은 "망명하는 사람들은 보물이 별로 없고 그저 사랑하는 가족을 보배로 여길 뿐"이라고 말했다.
진서(秦誓)는 "그런 신하가 있었다면 재능은 없었지만, 다른 사람을 수용할 만큼 솔직하고 관대한 마음씨를 지녔다.다른 사람은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과 같은 재능이 있고, 다른 사람은 덕과 재주를 겸비하고 있으며, 그는 말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성심성의로 좋아한다.이 사람을 남겨 두면 내 자손을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이것이 얼마나 백성들에게 유익한가.다른 사람이 재능이 있으면 질투를 하고, 덕과 재능을 겸비하면 실력 행사를 막는다.그런 사람을 남겨둘 수도 없고, 내 자손을 지켜줄 수도 없고, 그런 사람은 정말 위험하잖아요."덕이 있는 사람만이 현인을 질투하는 이런 인파를 변방으로 몰아내 국가의 중심부에 머물지 못하게 한다.덕이 있는 사람만이 사람을 사랑하고 미워할 수 있다.현인을 보고도 추천하지 않고, 추천했는데도 빨리 쓰지 않는 것은 태만이다.나쁜 사람을 보고도 버리지 못하고, 버리면 먼 곳으로 추방하지 못하는 것은 잘못이다.사람이 싫어하는 것을 좋아하고, 좋아하는 것을 싫어하는 것은 인간성을 거스르는 것이며, 피해는 필연적으로 그에게 닥칠 것이다.그래서 군자의 모든 고상한 덕행은 충성스럽고 정직해야 얻을 수 있고 교만방자하면 잃게 됩니다.
부자가 되는 원칙은 있다:부자를 생산하는 사람은 많아져야 하고,부자를 소비하는 사람은 적어야 한다.빨리 하고,사용이 느리면 영원히 풍요를 유지할 수 있다.덕이 있는 자는 재물을 버리고, 덕이 없는 자는 재물을 내놓는다.상위에 있지 않은 사람은 인자한 것을 좋아하며, 하위에 있는 사람은 충의를 좋아하지 않으며, 충의를 사랑하지 않아 자신의 일을 완성하지 못하는 사람은, 국고가 없는 사람은 결국에는 국군의 것이 아니다.맹헌자는 "사마(四馬)를 가진 사람은 닭 한 마리, 돼지 한 마리 재물을 따지지 말아야 한다"며 "경대부 집에서는 소와 양을 사육하지 않고 마차 백 대를 가진 집에서는 부를 축적한 가신을 매수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백성의 재물을 모은 가신이 있는 것보다 도둑 같은 가신이 있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국가가 재물을 이익으로 여기지 말고 인의(仁義)를 이익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국가의 중대사를 관장하는 사람들이 부를 축적하는 데만 주력한다는 것은 소인배들의 주장일 것이다.만약 이런 방법을 좋은 것으로 여기고 소인이 국가를 위해 봉사하는 데 사용된다면재해가 함께 오게 되는데 현신이 있다고 해도 소용이 없지요!국가가 돈보다 인의(仁義)를 이익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20]
작품을 감상하다.
전체적인 감상 분석.
●
총체 사상
여덟 개 항목의 관계
여덟 개 항목의 관계
《대학》은 개인의 수양을 높이고, 양호한 도덕성을 배양하고, 천하를 다스리는 중요한 관계를 중점적으로 서술하였다.중심 사상은 '수기이안(修機以安) 백성'으로 요약되며, 3강령인 '분명히 덕(德)·친민(親民)·지선(至善)'과 '격물(格物)·치지( 致知)·진정성(誠)·정심(正心)·신수(身)·제가(齊家)·치국(治國)·평천하(平天下)'를 주제로 한다.
《대학》이 제시한 인생관은 유가 사상과 천만 가지 연관이 있으며, 기본적으로 유가 인생관의 진일보한 확장이 있다.이런 인생관은 개인의 수양을 중시하고, 적극적인 분투 목표를 가져야 한다는 수양과 요구는 유가의 도덕관을 주요 내포하고 있다.'명덕(明德)' '지선(至善)' 모두 봉건주의의 군주에 대한 정치적 요구와 윤리적 기준, '격물(格物)' '치지(知知)' 등 8개 항목은 수양 문제에서 3강령의 정치이념과 윤리사상의 결합을 요구한다.
'대학'은 공자의 인정학설과 맹자(孟子)의 민본론을 이어받아 '대학'의 통치자는 모두 '존장' '민(民)의 부모'로 자처하지만, 실제 이들은 착취자의 입장에서 말했습니다.그래야만 그들의 생산능력 없는 착취생활이 공고해질 수 있다. [21]
●
구조 구분
《대학》의 기본 내용은 주로 공자가 대표하는 원시 유가사상에 대해 체계적이고 구조적인 개괄과 묘사로, 유가의 학습 내용과 목표, 학업을 위한 순차적 경로를 천명함으로써 유가의 군자수덕지학과 성왕의 치정을 기리는 데 목적이 있다.
전문은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1부('대학의 도(道)'에서 '지이지야(知之至)'로 이르는 말)는 대학의 도(道)다.
먼저 '대학'은 유학에 대해 '분명히 덕(德)하고, 친(親)인민적이며, 지선(至善)에 그치고 있다'는 세 가지 항목, 즉 송(宋)대 유교들이 말하는 대학 '3강령'을 제시했다.이 요약은 유학의 기본 정신을 정확하게 제시하고 대학의 취지를 설파한 것이다.대학은 나라의 평천을 다스리는 학문이지만 공자의 사상으로 사람에 대한 논사가 아니라 사람의 정신의 고양과 품성의 수양을 우선시한다.'명명덕'은 자기 고유의 덕성을 발양하는 것이며, 학자에게 자기 자각성을 보완하도록 하는 것이지, 어떤 외적·고정적 도덕규범으로 자신을 속박하는 것이 아니다.'친민(親民)', 즉 '신민(新民)'은 자각적으로 자기 수양을 할 뿐 아니라 전체 인민의 도덕성 향상에 힘쓰는 것으로, 유교에서 볼 때 치국평천하의 위업을 위한 정신적 토대이다.'지선(至善)에 그치다'는 말은 자신의 도덕성과 사회·국가의 통치를 최상으로 끌어올리는 것이다.이상적인 경지는 결코 멈추지 않는다, 사실은 무한한 완전 과정이다.
다음으로 '대학'은 천하의 덕을 보려는 자로 격물·치지·성의·정심·수신·제가·치국·평천하의 8단계(주희가 말하는 대학 '팔조목')를 제시했다.그중에서도 수신 이상, '격물, 치지, 성의, 정심'의 4자, 심성수양에 전념하는 유가의 '내성'에 속하는 학, 수신 이하 '제가, 치국, 평천하', 군자의 행위 규범 및 정치하는 일, 유가의 '외왕'에 속하는 학은 유가의 '정위덕'이라는 관념과 도덕을 정치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물건에는 본말이 있고, 일에는 끝이 있고, 일의 전후를 알면 가깝다"고 했다"는 것이다.'대학'은 8개 항목에 대해 순서를 정했는데, 이는 시행 중인 시간의 순서를 정하는 것이 아니라 8개 항목의 관계를 정하는 것이다.그것은 가정과 봉지를 질서정연하게 관리해야만 경험을 얻을 수 있고, 나아가 국가를 통치할 자격이 있으며, 잘 다스려야 함을 명시하였다.가정, 봉지, 먼저 스스로 모범을 보여 자기 수양을 해야 한다. 자기 수양을 하려면 사상을 바로 해야 한다. 외적인 행동 준칙을 준수하는 체면만 해서는 안 된다. 사상을 바로 세우면 진실하고 마음이 순결해야 하며, 각종 사심과 잡념을 배제해야 한다. 그러나 의식이 성실해야 한다면 지식을 배우고 인식을 높여야 하며, 우매와 편집에 빠져 맹목성에 빠지지 않아야 하며, 지식을 장악하고 인식 능력을 높이면 다른 사람이 사물을 연구당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대학'은 명명덕(明明德)과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와 관련된 주요 측면을 자세히 보여주고, 관계를 깊이 있게 조명해 유가의 학설을 체계적이고 분명한 사상 체계로 만들었다.
다시 한 번 '격물(格物)'의 개념을 처음 제시하고 격물치지를 유가윤리학·정치학·철학의 기본 범주로 지정함으로써 정신·심리적 과정과 사회·국가를 다스리는 실천활동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했다.이것은 유학의 중대한 발전이다.
마지막으로 '대학'은 수신을 천자부터 서인까지 이르는 모든 활동의 근본으로 규정하고, 이는 수신을 위한 특권이 없는 내일자를 가리키며, 일반 백성들이 자신에 대한 요구를 낮추어 수신을 대수롭지 않은 일로 여기지 않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수신( 修身身)은 자아에 관심을 갖고, 자아를 인식하고, 자아를 돌아보고, 보완하고, 발전시키는 것이다.수신을 기본으로 하여 자기자신의 완전하고 발전된 자각성을 배양하는 것을 중요한 지위에 두는데, 이러한 사상은 개체의 자강불식(自强不 精神)하고 내재된 정신의 생명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2부(이른바 '성의자'부터 '이것을 수신재정기심'이라 한다)는 성의신독(誠 。獨)이다.
2부는 '대학'의 '3강령·8조목'을 한 구절씩 해석하는 것으로, 많은 전고를 인용하며 발휘했다.성인의 도(道)를 구하는 열쇠는 자기 자각성을 높이는 것이라는 '대학'의 속뜻을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풀어냈다.
우선 자기자신의 완성은 '자명'이다.인증을 받은 『상서』의 3단 어록은 『대학』의 첫 문장인 "명분덕"이 옛 성인의 책에 출처가 있음을 증명하고, 그 사상을 "모두 자명야"라고 정리한다."자명"이란 "자각"이란, "분명히 덕"은 자기 자각이며, "내부"라는 뜻이다.스스로 보완하고 발전시켜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자명(自明)이란 표현은 또 '명분덕(明明德)'이 외형적인 행동 규범을 한 사람에게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 고유의 선성(善性)을 발양하고 발전시키는 것임을 적시하고 있다.
둘째, 도덕수양은 자아를 변화시키는 무한한 과정이다."신민"은 인민을 교화하기 위한 것으로, 이것은 타인의 품질을 갱신하려는 의도이다. 그러나, 상탕이 욕조에 새겨진 자기 경찰 명문 "茍日新, 日日日新, 又日新, 又日新, 又日新"을 인용하여 《대학》《신민(新民)》의 개념을 천명한 것으로, 이를 개괄하였다.자기 자신으로 규정하는 갱신, 자기 발전을 외칩니다.이 중 4개의 "日"자를 이어서 사용하는 것은 매우 힘있는 어조로 강조합니다: 항상 끊임없이 자신의 갱신, 창조, 발전을 해야 한다, 영원히 새로운 목표와 새로운 성취를 추구한다, 항상 새로운 기상과 새로운 모습을 가져야 한다, 언제나 멈추지 말고 현실에 안주하라.군자는 모든 것을 다 동원한다라는 설이 있을 정도로 이러한 쇄신과 발전은 끝이 없는 무한한 과정이며, 사람들이 지선을 추구하는 자각성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요구한다.이것은 긍정적인 인생관으로 발전과 혁신을 장려하는 철학이며, 그것은 자기 창조에 새로운 공간을 열어준다.
다시 한 번, 자기 완벽은 개인이 명상으로 깨달음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지식을 열심히 공부하고, 학문을 증진시키고, 인식을 제고해야 하며, 또 반드시 힘든 연마를 통해 끊임없이 재능을 성장시키고, 각종 우수한 품질을 길러야 한다고 지적하였다.즉, 도학도 학문을 다듬는 자와 같다.자수도'라는 뜻이다.이런 수련과 수련을 거쳐 도성덕지선(道盛德至善)의 경지에 이르렀다.
마지막으로, 주관 의식은 항상 순수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경문에 제시된 '진정성'의 개념은 '자기를 속이지 마라'이며, 자기완성의 자각성을 인위적인 선동기(善動機)의 순정으로 귀결시킨다.소위 "자기 기만"이란 동기가 불순하고, 사념이 있지만, 억지 행위로 모양을 내거나, 위장 선행을 하는 것이다.예쁜 말로 자신의 영혼을 감추고, 스스로 남을 속인다.따라서 자신을 속이지 않는 것은 선을 행하는 것이 공리를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나타낸다.남에게 보여 주는 것이 아니라 선 자체를 목적으로 한다.선을 행하는 것은 자신의 마음의 필요이고, 정신 자체의 만족을 구하는 것이다.그래서 '악취와 같이, 색다르게, 이것을 자겸이라 한다.' 라고 썼습니다.또 주희의 말대로 "모두 결말을 짓되, 반드시 얻기를 바라는 것은 스스로에게 달려드는 것으로, 괜히 밖에 있는 것으로 사람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했다.(사서집주·대학)그래서, 단지스스로 만족할 줄 알아야 남에게 보일 수 있는 위선적, 위선적 자기기용을 배제하고 성의(誠意)를 달성할 수 있으며 자기완성의 자각성을 근본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문장에서 제시하는 '신독'의 이념은 매우 중요하다.'혼자 있다'는 뜻의 독(獨)은 사람 모르게 자기만 아는 의식의 활동이며, 사람의 진실한 감정을 뜻한다.글은 혼자 있을 때의 사상 활동을 한 사람이 얼마나 진정성을 가질 수 있는가에 대한 시련으로 본다.즉, 진정한 자아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입니다.완벽한 자각의 시련.그래서 유가는 사람이 혼자 있을 때의 사상활동과 표현을 특히 중시했다.주희는 "몇 가지를 잘 따져봐야 한다"고 했다.'기'는 미세한 구별이 어렵고, 미묘하며, 무한한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혼자만의 의식활동이 인생의 여러 실제 활동에서 선한 것을 향하는지 악을 향하는지 나타내는 중요한 관점이기 때문에 특히 신중을 기해야 한다.더 나아가 혼자 있을 때의 사상활동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것들을 항상 나타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순수한 주관의식을 유지하고 자기자각을 보완하며 항상 자신의 심리상태를 조절해야 한다고 제시했다.분노, 공포, 기호, 슬픔 등 온갖 정서가 마음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고 자기 자각성을 보완한다.마음의 평형을 잃으면 그만큼 잃어버리기 때문이죠.시비선악을 정확하게 판단하는 능력이다.
제3부('제 집이라고 하는 자가 그 몸을 닦는 자'에서 '이의위이야(以義爲利)'까지) 자기들을 이야기한 후 여러 사람에게 구한다.
유가의 정치철학의 기본관념은 국가를 다스리는 근본원칙과 가정을 다스리고 타인을 대하는 준칙이 서로 일치한다는 것이며, 이 부분에서 두 가지 관점을 중점적으로 서술하였다.
첫째, '국가를 다스리려면 반드시 먼저 그 집안을 다스려야 한다'는 것이다.유가의 입장에서 보면 가족을 제대로 가르치지 못하는 이들이 나라를 잘 다스릴 수는 없다.그 첫째 이유는 집에서도 인의도덕을 할 수 없고, 국정생활에서도 인의도덕을 할 줄 모르기 때문이다.따라서 우선 집안을 다스리는 과정에서 나라를 잘 다스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필요한 덕성과 재간.그래서 '고군자는 출가하지 않고 나라를 가르쳤다'고 했다.두 번째는 통치자가 자신의 집을 잘 다스리고 나서 하나의 본보기가 되어 큰 영향을 끼치면 사회 전체가 이를 본받는데, 이것이 바로 "한 집안이 인을 행하면 한 나라가 인을 행하고 한 나라가 양보한다"는 글이다.반면 '한 사람은 죄악에 빠져 한 나라가 반란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관점 2:국가를 다스리는 자는 가족의 도덕을 국가의 정치 생활에 널리 보급해야 하며, 가족에 대한 감정으로 사회 전체를 대해야 하며, 온 세계에 가족적인 질서와 화합을 조성해야 한다.글에서는 집에서 부모에 대한 효를 조정에서는 군주에, 집에서 형에게로 제시했다.그 경애는 관직에서는 장에게, 집안에서는 소대에 대한 자애로, 나라를 다스릴 때는 부하나 백성에게,특히 통치자가 백성을 대할 때 '적자(赤子)'에 대한 애정( 疼爱情)과 애정이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국민은 잘 살고, 국민은 악을 미워하며, 이를 백성의 부모라 한다'는 치국자의 전통이념을 이런 부드러운 의미에서 해석한 것이다.이를 통해 유가는 이 이념이 지닌 가부장적 색채를 약화시키려고 노력했다.
임금과 장상을 효제(孝悌)의 도덕으로 대하라는 종법주의 관념은 봉건전제주의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됐다.인민을 적자(赤子)로 보는 것은 높은 곳에 군림하며 민중을 내려다보는 우월감과 백성들을 얕잡아보는 것으로 현대의 평등과 민주 관념에 맞지 않는다.그러나, 국사를 다스리는 사람들은 가족처럼 인민에 대한 순진하고, 진지하며, 깊은 사랑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감정으로 나라를 다스리고, 인민의 소망과 의지에 따라 정무를 처리하고, 사회를 원만한 가정처럼 화목하고, 아늑하게 만들려고 노력한다는 주장은 봉건전제사회에서는 실현하기 어렵지만, 옛사람들의 아름다운 정치적 이상을 반영하여 고대 정치의 개량을 촉진시키는 데 유리하고, 현대사회에서도 진보로써야 한다.
제3부에서는 또한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의 사상적 품격과 도덕 품질을 논하였다.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충서의 방법, 즉 문장에서 말하는 크래커의 길: 가늠자, 측정도, 직사각자, 규칙과 표준이다.크랭크의 도리는 바로 "사람은 이 마음과 같다"는 도리에 근거하여 "마음을 비긴다"는 방법으로 각자를 처리하는 것이다.인간관계를 맺는다. 공자의 규정에 따르면 충서는 자기를 밀어주고 사람을 세운다.이런 크라운 도법은 봉건 전제주의와 모든 추악한 사물에 대해 일종의 비판과 저항의 작용을 한다.
치국자의 정치도덕에 대해서는 공정하고 사심이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글에서는 특별히 경계해야 할 공정하고 사심이 없는 각종 감정, 심리적 요인을 상세히 지적하였다. :친근과 좋아하는 사람을 편애해서는 안 되고, 싫어하는 사람에 대해 편견을 가져서는 안 되며, 두려워하고 존경하는 사람에 대해 맹목적인 태도를 가져서는 안 된다.성, 동정과 연민을 가진 자는 사사로운 정에 치우쳐서는 안 된다.그래서 다른 사람을 편애하면 그 단점이 보이지 않고, 그 사람에 대한 편견이 생기면 그 장점이 보이지 않는다는 보편적인 법칙을 제시한다.
또 정치인은 넓은 아량이 있어야 하고, 다른 사람은 재능과 기량이 있으면 자신이 있는 것처럼 해야 하며, 다른 사람은 도덕적으로 고상해야 하며, 자신이 마음으로부터 좋아해야 한다고 제시한다.소인처럼 남이 재주가 있으면 시기하지 말고 남이 미덕이 있으면 지혜를 모아 제압하라현명하고 유능한 사람을 추천하여 파면하지 말아야 한다.선한 사람. 글은 '인자는 인자로 부자가 된다', '인하지 않은 사람은 몸으로 부자가 된다'의 대조를 제시한다.돈으로 사람을 만드는 것은 우선 나라를 위해 돈을 버는 것이다.글에 제시된 생재의 큰 길은 '삶은 무수히 많이 먹는 자는 과식하고, 그것을 위하는 자는 질치므로 쓰는 자는 편안하다'는 것이다.그 다음에 재물로 백성을 행복하게 하고, 그들의 옹호를 얻으며, '모으는 신하'를 써서 백성과의 이익을 도모해서는 안 된다.
결론적으로, 《대학》이 표출한 유가중치국본의 전통 관념은 시종일관 유가정치학의 총강을 설명하는 데 힘썼기 때문에 긴 역사 시기에 중국의 정치실천과 정치교육에 대해 커다란 지도 역할을 할 수 있었다. [22]
역대 평론
청쯔: "대학, 공씨의 유서, 초학입덕(初學入德)의 문이다."옛사람들이 학차 제자로 이 편에만 의지하여 논한 것을 오늘날에 알 수 있다.학자가 반드시 옳다고 생각해서 그것을 배우면 절대 틀리지 않을 것이다. [23]
정현 삼례목록: "대학이라는 사람은 그 기박학을 정치로 삼을 수 있다."
공영달의 《예기정의》: "이 《대학》 편은 학문이 이루어진 일로 그 나라를 다스릴 수 있고, 그 덕을 천하에 밝혀 줄 것이다."
쑨중산:중국정치철학은 그 가장 체계적인 학문을 가리키고 있는데, 외국의 어떤 정치철학자라도 만난 적이 없고, 말하지도 않은 것은 중국만의 보배이다.
가치영향
공헌가치
《대학》에서 정치 철학 강령을 하나 제기했다.《대학》은 길지 않은 분량으로 유가사상을 이론화·통속화하여 학자들이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유가사상은 봉건왕조의 공고함을 보장하였다. [24]
《대학》은 과학 계몽의 첫 번째 책으로 삼을 수 있는데, 이것이 제시한 "성의정심"은 반드시 필요한 과학 연구 마음가짐이며, "격물치지"는 인지의 유일한 경로이며, "지선에 그친다"는 진미경지를 추구하는 것이며, "일일일신"은 강한 창조적 의식이다. [25]
지필 《대학》은 주관적인 유심주의 철학사상이 가득하지만, 중요한 소박한 유물론적 철학사상의 논술이 있다. 예를 들면 "사물은 본말이 있고, 일은 끝이 있다"와 같이 사물발전의 선과 후를 인지하고, 제시된 "치본"은 국가치치의 법칙을 인식한다. [26]
《대학》은 《사서》의 으뜸으로 유학의 중요한 사상 운반체이다.유학은 중국 전통정치의 합법성 근거로 중국 고대 청렴문화 건설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아 깊은 영향을 미쳤다. [27]
미국 일간지 '대학'이 제시한 경제사상은 중국식 사회주의 경제학을 구축하는 데 가장 유리한 문화적 근간이다.'덕본재말사상' '재집민산사상' '생중용편사상' '선의후리사상' 등이다. [28]
《대학》이 제기한 성신 사상은 당대에 성신 결핍의 사회적 근원을 탐구하고 사람 중심 정치 이념을 창안하는데 중요한 계발 의의를 가지고 있다. [29]
《대학》은 학습 법칙을 강의하는 저서로 학풍에 영향을 주고 있다. [30]
《대학》에서 '인간'의 법칙을 제기하였다.
미각 《대학》은 국학 경전의 하나로 중국 전통문화를 대표하고 있다. [31]
작품의 영향
●
정면
《대학》은 《예기》의 한 편으로 한유들의 사상에 대해 직접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있다.특히 송대 이학이 발흥하자 과거(科擧)의 힘을 빌려 큰 역할을 했고, 송 이후에는 거의 모든 독서가 '대학'의 영향을 받았다.《대학》은 학습자 자신의 도덕적 수양의 향상을 강조하면서, 또 사회에 대한 관심과 참여 정신을 강조하여, 좋은 사회 풍조 형성과 사회 발전 촉진에 대해 모두 적극적인 주의를 가지고 있다.의의. 《대학》이 제기한 《수·제·치·평》 사상은 거의 독서인이 되었다.유일한 표준 이상이다.이런 사상은 적극적인 사람을 주장한다.세상에는, 자신의 수양을 중시하고, 인민의 질고에 관심을 가지고, 민생을 개선하고, 사회의 안정을 수호하고, 옹호하려고 노력한다.통일, 사회에 대한 번잡영정이 중요한 역할을 발휘했다。 [24]
●
부정적이다
《대학》은 사람의 사상을 유가의 사유 범위에 속박하여, 고대 문인들에게 사상 경직이라는 단점을 가져다 주었다.중국 고대에는 '수(修)·제(齊)·치(治)·평(平)'의 선로를 따라가지 않으면 경시(輕)를 인재(才)로 몰아내고, 중(重)에는 경전(經前)에 어긋난다고 여겼다.여러 사람이 함께 공격하여 문인들이 쉽게 등을 돌릴 수 없게 하다.이 사고방식에서 교육받은 사람들은 '달칙이 천하에 도움이 된다'는 신념이 있지만, 그들의 최종 목표는 가장 높은 것이다.높은 통치자가 봉사하고 백성들을 잘살게 하는 것은 그들의 궁극적인 목표가 아니라 유지일 뿐이다.지배계급을 보호하는 통치 수단.이런 사상적 지도 아래 통치자의 이익과 백성이 충돌하면 백성이 희생될 수밖에 없다.그러므로 유가는 사상적으로 지니고 있다약간의 노예성. [24]
저자 소개
증자상
증자상
증자(曾子, 기원전 505년-전 435년), 명삼(名三), 자여(字 字), 춘추 말 전국 초로(전국 초로) 국무성(武城) 사람이다.공자의 제자이자 유가의 주요 학파인 증자사맹자학파의 대표적 인물이다.후세에 그를 "종성"이라 부르며, 공자·맹자·안자와 함께 불렀다.사성이라 합칭하다.
大学 (儒家散文) 编辑 讨论22 上传视频
《大学》是一篇论述儒家修身齐家治国平天下思想的散文,原是《小戴礼记》第四十二篇,相传为春秋战国时期曾子所作,实为秦汉时儒家作品,是一部中国古代讨论教育理论的重要著作。
经北宋程颢、程颐竭力尊崇,南宋朱熹又作《大学章句》,最终和《中庸》《论语》《孟子》并称“四书”。宋、元以后,《大学》成为学校官定的教科书和科举考试的必读书,对中国古代教育产生了极大的影响。
《大学》提出的“三纲领”(明明德、亲民、止于至善)和“八条目”(格物、致知、诚意、正心、修身、齐家、治国、平天下),强调修己是治人的前提,修己的目的是为了治国平天下,说明治国平天下和个人道德修养的一致性 [1] 。
《大学》全文文辞简约,内涵深刻,影响深远,主要概括总结了先秦儒家道德修养理论,以及关于道德修养的基本原则和方法,对儒家政治哲学也有系统的论述,对做人、处事、治国等有深刻的启迪性 [2] 。
作品名称大学 作 者曾子 创作年代春秋末期 作品出处《礼记》 文学体裁散文
目录
1 历史沿革
▪ 成书年代
▪ 历代概况
▪ 历代版本
2 作品原文
3 注释译文
▪ 词句注释
▪ 白话译文
4 作品鉴赏
▪ 整体赏析
▪ 历代点评
5 价值影响
▪ 贡献价值
▪ 作品影响
6
作者简介
历史沿革
编辑
成书年代
《大学》与四书关系
《大学》与四书关系
《大学》出自《礼记》,原本是《礼记》四十九篇中的第四十二篇。《礼记》原名《小戴礼记》,又名《小戴记》,由汉宣帝时人戴圣根据历史上遗留下来的一批佚名儒家的著作合编而成。据断代史学家班固在“《记》百三十一篇”下自注云“七十子后学者所记也”,他认为《礼记》各篇的成书年代主要分布在战国初期至西汉初期这段时间。
清代人崔述认为:“凡文之体,因乎其时……《大学》之文繁而尽,又多排语,计其时当在战国。”(《洙泗考信录·全录》)综合而论,《大学》的成书时代大体在孔子、曾子之后,孟子、荀子之前的战国前期,即公元前5世纪左右,系出于曾氏之儒一派的纯儒家作品”。即《大学》的成书年代应是在战国初期,其作者应是“曾氏之儒一派”,即现在学术界比较认可的战国初期曾参所作。 [3] [4]
历代概况
《大学》至今已流传两千多年,在中国历史上的各个时期都有其独特的学术特点、学术成就和社会地位。
●
汉唐时期
宋代以前,《大学》一直从属于《礼记》。尽管《大学》没有从《礼记》中独立出来,但是,西汉的董仲舒、东汉的郑玄、唐代的孔颖达和韩愈,他们对《大学》的传承与发展作出了重要贡献,影响了《大学》的学术地位。
⑴董仲舒对《大学》的贡献主要在于将儒家经学由民间思想提升到国家意识形态的高度,开启了儒学成为官学、显学和国学的始点。
⑵郑玄将西汉后期流传的各种《礼记》抄本,相互校对,并作注解,使得《礼记》大行于世,并流传至今。他的著作《三礼注》中《礼记·大学》是现今可考的最早的《大学》研究著述。
⑶孔颖达解读《大学》,重点强调“诚意”的关键性作用。他将《大学》文本分为两大段,为朱熹将《大学》分为经、传两部分做好了铺垫。
⑷韩愈把“仁义”定为“道”的根本,并以《大学》为依据,提出了“正心一诚意一修身一齐家一治国一平天下”的儒家道德的修炼路径。他在《原道》中引用《大学》“古之欲明明德于天下者”来证明和张扬儒家道统,并把《大学》《孟子》《易经》视做同等重要的“经书”,提高了《大学》在儒家道统中的地位。 [3]
●
宋代时期
⑴程颢、程颐将《诗》《书》《礼》《易》《春秋》称作“大经”,将《大学》《中庸》《论语》《孟子》称作“小经”,并继续尊崇儒家经学的正统地位,认为“大学,孔氏之遗书,而初学入德之门也。”
⑵朱熹将《大学》从《礼记》中抽取出来,为《大学》《中庸》做章句,为《论语》《孟子》做集注,把它们编在一起,做《四书章句集注》,经此,《大学》与《中庸》《论语》《孟子》合称为“四书”,并被确立“四书之首”的地位。自宋以后,《大学》成为科举考试科目的钦定科目。 [3] [5]
●
元明清时期
⑴元仁宗于皇庆二年(1313年)十一月颁布“考试程序”,明确规定《大学》《中庸》《论语》《孟子》用朱熹《四书章句集注》作为科举用书。
⑵明代是中国科举制度的鼎盛时期,规定乡试、会试头场必考八股文,而八股文以四书五经中的经文做题目,故大多读书人往往倾注一生,研读四书五经和八股文,使《大学》在儒家学说中的地位更加显赫。
⑶清代鼓吹复兴汉学,《大学》地位依然重要。 [3]
●
现当代
⑴台湾将《大学》列入普通高中必修课纲。
⑵《大学》成为部分高校相关专业本科生必修课 [6-7] 。
⑶《大学》成为部分高校相关专业博士生必修课 [8] 。
⑷《大学》学习形式呈现多样化,国学经典地位依然稳固 [9-12] 。
历代版本
●
《礼记》注释本(最古老)
●
汉熹平石经本
●
魏正始石经本
●
程颢改本
●
程颐改本
●
朱熹《大学章句》本(最通行)
●
王柏改本
●
季本改本
●
高攀龙改本
●
崔铣改本
●
葛寅亮改本 [13-14]
作品原文
编辑
大学(《礼记·大学》古本)
大学之道1,在明明德2,在亲民3,在止于至善4。知止而后有定5,定而后能静6,静而后能安7,安而后能虑8,虑而后能得9。物有本末,事有终始。知所先后,则近道矣。
古之欲明明德于天下者,先治其国。欲治其国者,先齐其家10。欲齐其家者,先修其身11。欲修其身者,先正其心。欲正其心者,先诚其意。欲诚其意者,先致其知12。致知在格物13。物格而后知至,知至而后意诚,意诚而后心正,心正而后身修,身修而后家齐,家齐而后国治,国治而后天下平。
自天子以至于庶人14,一是皆以修身为本15。其本乱而末治者否矣16。其所厚者薄17,而其所薄者厚18,未之有也19。此谓知本,此谓知之至也。
所谓诚其意者20,毋自欺也21。如恶恶臭22,如好好色23,此之谓自谦24。故君子必慎其独也25。小人闲居为不善26,无所不至,见君子而后厌然27,掩其不善而著其善28。 人之视己,如见其肺肝然,则何益矣29。此谓诚于中30,形于外31,故君子必慎其独也。 曾子曰:“十目所视,十手所指,其严乎32!”富润屋33,德润身34,心广体胖35,故君子必诚其意。
《诗》云36:“瞻彼淇澳37,菉竹猗猗38。有斐君子39,如切如磋40,如琢如磨41。 瑟兮僴兮42,赫兮喧兮43。有斐君子,终不可喧兮44。”“如切如磋”者,道学也45。 “如琢如磨”者,自修也。“瑟兮僴兮”者,恂傈也46。“赫兮喧兮”者,威仪也。“有斐君子,终不可喧兮”者,道盛德至善,民之不能忘也。《诗》47云:“於戏48,前王不忘49!”君子贤其贤而亲其亲50,小人乐其乐而利其利51,此以没世不忘也52。《康诰》曰53:“克明德54。”《大甲》曰55:“顾諟天之明命56。”《帝典》曰57: “克明峻德58。”皆自明也59。汤之《盘铭》曰60:“茍日新61,日日新,又日新。”《康诰》曰:“作新民62。” 《诗》曰63:“周虽旧邦64,其命维新65。”是故君子无所不用其极66。《诗》云67:“邦畿千里68,维民所止69。”《诗》云70:“缗蛮黄鸟71,止于丘隅72。” 子曰:“于止73,知其所止,可以人而不如鸟乎74?”《诗》云75:“穆穆文王76,於缉熙敬止77!”为人君,止于仁;为人臣,止于敬;为人子,止于孝;为人父,止于慈; 与国人交,止于信。子曰:“听讼78,吾犹人也79。必也使无讼乎80!”无情者不得尽其辞81,大畏民志82。此谓知本”。
所谓修身在正其心者83,身有所忿懥84,则不得其正,有所恐惧,则不得其正, 有所好乐85,则不得其正,有所忧患,则不得其正。心不在焉,视而不见,听而不闻,食而不知其味。此谓修身在正其心。
所谓齐其家在修其身者,人之其所亲爱而辟焉86,之其所贱恶而辟焉87,之其所畏敬而辟焉88,之其所哀矜而辟焉89,之其所敖惰而辟焉90。故好而知其恶91,恶而知其美者,天下鲜矣。故谚有之曰:“人莫知其子之恶,莫知其苗之硕92。”此谓身不修,不可以齐其家。
所谓治国必先齐其家者,其家不可教而能教人者,无之。故君子不出家而成教于国93。孝者,所以事君也;弟者94,所以事长也;慈者95,所以使众也。《康诰》 曰:“如保赤子96。”心诚求之,虽不中97,不远矣。未有学养子而后嫁者也。一家仁,一国兴仁;一家让98,一国兴让;一人贪戾99,一国作乱,其机如此100。此谓一言偾事101, 一人定国。尧、舜率天下以仁102,而民从之。桀、纣率天下以暴103,而民从之。其所令反其所好,而民不从。是故君子有诸己而后求诸人104,无诸己而后非诸人105。所藏乎身不恕106,而能喻诸人者107,未之有也。故治国在齐其家。《诗》云108:“桃之夭夭109, 其叶蓁蓁110。之子于归111,宜其家人112。”宜其家人,而后可以教国人。《诗》云113:“ 宜兄宜弟114。”宜兄宜弟,而后可以教国人。《诗》云115:“其仪不忒116,正是四国117。” 其为父子兄弟足法118,而后民法之也。此谓治国在齐其家。
所谓平天下在治其国者,上老老而民兴孝119,上长长而民兴弟120,上恤孤而民不倍121,是以君子有絜矩之道也122。所恶于上,毋以使下,所恶于下,毋以事上;所恶于前,毋以先后;所恶于后,毋以从前;所恶于右,毋以交于左;所恶于左,毋以交于右;此之谓絜矩之道。《诗》云123:“乐只君子124,民之父母。”民之所好好之125,民之所恶恶之126,此之谓民之父母。《诗》云127:“节彼南山128,维石岩岩129。赫赫师尹130,民具尔瞻131。”有国者不可以不慎,辟,则为天下僇矣132。《诗》云133:“殷之未丧师134,克配上帝135。仪监于殷136,峻命不易137。”道得众则得国138,失众则失国。
是故君子先慎乎德。有德此有人139,有人此有土,有土此有财,有财此有用140。德者本也,财者末也。外本内末141,争民施夺142。是故财聚则民散,财散则民聚。是故言悖而出者143,亦悖而入;货悖而入者144,亦悖而出。《康诰》曰:“惟命不于常145。”道善则得之146,不善则失之矣。《楚书》曰147:“楚国无以为宝,惟善以为宝148。”舅犯曰149:“亡人无以为宝,仁亲以为宝150。”
《秦誓》曰151:“若有一介臣,断断兮无他技152,其心休休焉153,其如有容焉154。人之有技,若己有之;人之彦圣155,其心好之,不啻若自其口出156。实能容之157,以能保我子孙黎民,尚亦有利哉!人之有技,媢疾以恶之158;人之彦圣,而违之俾不通159:实不能容,以不能保我子孙黎民,亦曰殆哉160!”唯仁人放流之161,迸诸四夷162,不与同中国163。此谓唯仁人为能爱人,能恶人。见贤而不能举164,举而不能先165,命也166;见不善而不能退167,退而不能远,过也168。好人之所恶169,恶人之所好,是谓拂人之性170,菑必逮夫身171。是故君子有大道172,必忠信以得之,骄泰以失之173。
生财有大道,生之者众174,食之者寡175,为之者疾176,用之者舒177,则财恒足矣。仁者以财发身178,不仁者以身发财。未有上好仁而下不好义者也,未有好义其事不终者也179,未有府库财非其财者也180。孟献子曰181:“畜马乘182,不察于鸡豚;伐冰之家183,不畜牛羊;百乘之家184,不畜聚敛之臣185。与其有聚敛之臣,宁有盗臣186。”此谓国不以利为利,以义为利也。长国家而务财用者187,必自小人矣。彼为善之188,小人之使为国家189, 灾害并至。虽有善者,亦无如之何矣190!此谓国不以利为利,以义为利也。 [15]
《大学》书法
注释译文
编辑
词句注释
1.大学之道:大学的宗旨,大学的最终目的。大学:在古代其含义有两种:“博学”之态;与“小学”相对的“大人之学”。古代儿童八岁上小学,主要学习“洒扫、应对、进退、礼乐射御书数”之类的文化课和基本的礼节。十五岁后可进入大学,开始学习伦理、政治、哲学等“穷理正心,修己治人”的学问。两种含义虽有明显的区别之处,但都有“博学”之意。道:本指道路,在这里指的是在学习政治、哲学时所掌握的规律和原则。明明德:第一个“明”是动词,彰显、发扬之意。第二个“明”是形容词,含有高尚、光辉的意思。
2.明明德:第一个“明”是动词,彰显、发扬之意。第二个“明”是形容词,含有高尚、光辉的意思。
3.亲民:一说是“新民”,使人弃旧因新,弃恶扬善。引导、教化人民之意。
4.止于:处在。
5.知止:明确目标所在。
6.静:心不妄动。
7.安:所处而安。
8.虑:处事精详。
9.得:得到成果。
10.齐其家:将自己家庭或家族的事务安排管理得井井有条,人与人之间的关系和谐,家业繁荣的意思。
11.修其身:锻造、修炼自己的品行和人格。
12.致其知:让自已得到知识和智慧。
13.格物:研究、认识世间万物。
14.庶人:普通百姓。
15.壹是皆以修身为本:壹是:全部都是之意。本:本源、根本。
16.末:与“本”相对,末节之意。
17.厚者薄:该厚待的却怠慢。
18.薄者厚:该怠慢的反倒厚待。
19.未之有也:宾语前置句,“未有之也”。是说还不曾有过这样的做法或是事情。
20.诚其意:指意念真诚。
21.毋:不要。
22.恶(wù)恶(è)臭:指的是讨厌恶臭的气味。
23.好(hào)好(hǎo)色:喜爱容貌出众的女子。
24.谦:心满意足的样子。
25.慎其独:在独处时要慎重。
26.闲居:单独在家中,独处。
27.厌然:遮遮掩掩、躲避之意。
28.掩:隐藏之意。著:彰显出来。
29.益:益处,好处。
30.中:内心。
31.外:指外表。
32.严:严峻,冷人敬畏。
33.润屋:装饰住所。
34.润身:修炼自己。
35.心广体胖(pán):心胸宽广,身体舒适。胖:舒适之意。
36.《诗》:此指《诗经·卫风·淇澳》。
37.淇:古代的水名,在今河南北部。澳(yù):水曲之处。
38.菉(lù):通“绿”。猗(yī)猗:美丽茂盛。
39.斐:文雅。
40.切、磋:对骨角进行切割磋光。
41.琢、磨:雕琢打磨玉石。这里用来比喻研究学问,修养品德。
42.瑟:庄严。僴(xiàn),威严。
43.赫兮喧兮:显赫的样子。
44.喧:又作“谖”,忘却之意。
45.道:说、谈论。
46.恂(xún)栗:惊恐、畏惧之意。
47.《诗》:此指《诗经·周颂·烈文》。
48.於戏(wū hū):感叹词。
49.前王:指的是周文王和周武王。
50.贤其贤:尊重有贤德的人。亲其亲:亲近亲人。
51.乐其乐:安享他的快乐。
52.此以:所以。没世:过世之意。没,通“殁”。
53.《康诰》:《尚书·周书》中的一篇。五经之一的《尚书》是记录古代历史事件和人物的著作,全书分为《虞书》《夏书》《商书》《周书》四大部分。
54.克:能够。
55.《大甲》:即《太甲》,是《尚书·商书》中的一篇。
56.顾:顾念之意。諟(shì):此。明命:坦荡正义的禀性。
57.《帝典》:即《尧典》,是《尚书·虞书》中的一篇。
58.克明峻德:《尧典》原句为“克明俊德”。俊,与“峻”通,是崇高之意。
59.自明:自己去发扬光明的德性。
60.汤:历史上的商汤。盘铭:刻在金属器皿警示语言或是箴言。这里的金属器皿指的是商汤的洗澡盆。
61.茍:假如。新:本义指洗澡时除去身上污浊的东西,清洁身体,在这里是精神层面的弃旧革新。
62.作:激发。新民:使民新的意思,弃旧从新,弃恶从善。
63.《诗》:此指《诗经·大雅·文王》。
64.周:周朝。旧邦:旧有的国家。
65.其命:在这里指周朝所秉承的天命。维:助词,无意义。
66.是故:因此。极:完善、极致。
67.《诗》此指《诗经·商颂·玄鸟》。
68.畿(jī):指都城和周边地区。
69.止:停止、栖息,在这里是居住之意。
70.《诗》此指《诗经·小雅·绵蛮》。
71.缗(mín)蛮:鸟叫声。
72.隅:角落之意。止:栖息。
73.于止:对于所居住的地方。
74.可以:即何以,为什么。
75.《诗》:此指《诗经·大雅·文玉》。
76.穆穆:雍容庄重的样子。
77.於(wū):感叹词。缉:接着。熙:光明、光亮。止:助词,无意义。
78.听讼:审理诉讼案件。
79.犹人:和别人一样。
80.必:一定。
81.无情者:有违实情的人。辞:花言巧语。
82.民志:指民心。
83.修身:指的是修养良好的品德。
84.忿懥(zhì):愤怒之意。
85.好乐:喜好,偏好。
86.之:“对于”之意。亲爱:亲近、偏爱之意。
87.恶:厌恶。
88.畏:害怕。
89.哀矜:同情怜悯之意。
90.敖惰:敖:骄傲,傲慢。惰:懈怠。
91.好:喜欢。
92.硕:大。
93.不出家而成教于国:不出家门就能把教化推行到国家。
94.弟:通“悌”。指弟弟对哥哥要尊重服从。
95.慈:长辈对晚辈的爱。
96.如保赤子:出自《尚书·周书·康诰》。如:与“若”同,好像。指的是作为国君保护老白姓就要像保护自己的婴儿一样。
97.中:指的是达到预期的目标。
98.让:谦让,礼让。
99.贪戾:贪婪暴戾。
100.机:古代弓箭上的机关,这里指的是关键。
101.偾(fèn):败坏之意。
102.尧舜:古代仁君的代表。率:带领、领导。
103.桀纣:桀:夏代的最后一位君主,残暴至极。纣:商代的最后一位君主。两人与尧舜相对,是古代暴君的代表。
104.诸:“之于”的合音词。指具有这些善德。
105.非:指责。
106.恕:恕道之意。孔子曾说:“己所不欲,勿施于人。”就是指自己不想做的,也不要让别人去做。这种推己及人的品德就是儒家所提倡的恕道。
107.喻:知晓、明白。
108.《诗》:此指《诗经·周南·桃夭》。
109.夭夭:鲜美的样子。
110.蓁蓁(zhēn):浓密茂盛的样子。
111.之子:与 “之女子于归”同,是说女子出嫁。
112.宜:适宜,和睦。
113.《诗》:此指《诗经·小雅·蓼萧》。
114.宜兄宜弟:是尊敬兄长、爱护兄弟之意。
115.《诗》:此指《诗经·曾风·鸬鸠》。
116.仪:仪容。忒(tuī):差错。
117.正:匡正,教正。四国:四方各国。
118.法:效法。
119.老老:第一个“老”是动词,指的是把老人当做老人看待的意思。老老,尊敬老人之意。
120.长长:敬重长辈之意。
121.恤:体恤怜爱之意。孤:指的是幼年丧父的孤儿。倍:通“背”,背离、背叛之意。
122.絜(xié):度量之意。矩:画矩形所用的尺子,是规则、法度之意。絜矩之道:是儒家的伦理思想,指一言一行要有模范作用。
123.《诗》:此指《诗经·小雅·南山有台》。
124.乐:欢快、喜悦之意。只:助词,无意义。
125.好(hào):喜好。
126.恶(wù):厌恶。
127.《诗》:此指《诗经·小雅·节南山》。
128.节:通“截”,高耸的样子。
129.维:语气词,无意义。岩岩:险峻之意。
130.赫赫:显赫,显著的样子。师尹:指的是太师尹氏,太师是周代的三公之一。
131.具:通“俱”。尔:你。瞻:瞻仰、仰视之意。
132.僇(lù):杀戮之意。
133.《诗》:此指《诗经·大雅·文王》。
134.丧师:丧失民心。
135.克:能够。配:与……相符。
136.仪:应该。监:警戒,鉴戒。
137.峻:大。不易:不易保有。
138.道:说。
139.此:才。
140.用:用度。
141.外本内末:指本末倒置。外:疏远,轻视。内:亲近,重视。
142.争民:民众互相争斗之意。施夺:抢夺财富。
143.悖(bèi):逆、反。
144.货:财富。
145.常:恒常留驻一方。
146.道:说。
147.《楚书》是楚昭王时编写的史书。
148.楚国无为宝,惟善以为宝:出自《楚书》。王孙圉受楚昭王之命出使晋国。晋国赵简子问楚国珍宝美玉之事。王孙圉回应说楚国从来不把美玉当珍宝,而只是将那些和观射父一样的大臣看做珍宝。
149.舅犯:是晋文公重耳的舅舅,名狐偃,字子犯。
150.亡人无以为宝,仁亲以为宝:亡人:逃亡之人,特指重耳。子犯对重耳说这些话的历史情形是,晋僖公四年,晋献公因听信谗言,逼迫太子中生自缢而死。重耳避难逃亡在狄国时,晋献公逝世。秦穆公派人劝重耳回国执政。子犯得知此事,认为不能回去,随即对重耳说了这样的话
151.《秦誓》:《尚书·周书》中的一篇。
152.断断:心地诚实之意。
153.休休:胸怀宽广之意。
154.有容:指能够包容人。
155.彦圣:德才兼备之意。彦:美好。圣:开明。
156.不啻(chì):不只是。
157.实:是。
158.媢(mào)疾:嫉妒之意。
159.违:阻碍之意。俾(bǐ):使得。
160.殆:危险。
161.放流:流放。
162.迸:驱逐之意。四夷:东南西北各方之夷。夷是古代东方的百姓。
163.中国:指的是国家的中心地区。
164.举:举荐。
165.先:优先。
166.命:是“慢”之误字。轻慢之意。
167.退:黜退。
168.过:过错。
169.好(hào)人之所恶(wù):喜好众人所厌恶的。
170.拂:逆,违背。
171.菑(zāi):同灾。逮:等到之意。夫:助词,无意义。
172.大道:常理正道。
173.骄泰:放肆骄奢。
174.生:生产。
175.食:享用。
176.疾:迅速。
177.舒:舒缓,缓慢。
178.发身:修炼身心。发:发起之意。
179.不终:不成功。
180.府库:存放国家贵重器物的地方。
181.孟献子:鲁国的大夫,姓仲孙,名蔑。
182.乘(shèng):是四匹马拉的车,古代大夫级的待遇。
183.伐冰之家:办丧事时能够用冰来保存尸体的人家。卿大夫以上的大官能享受的待遇。
184.百乘之家:家中有一百辆车,是古代的大家族,通常是有封地的诸侯王。
185.聚敛之臣:聚敛民财的家臣。
186.盗臣:指盗窃公家财物的家臣。
187.长(zhǎng)国家:成为一国之长,指的是帝王。务:致力于。
188.彼:这里指国君。
189.为:治理。
190.无如之何:拿它没有办法。 [16-19]
白话译文
《大学》的宗旨,在于弘扬高尚的德行,在于关爱人民,在于达到最高境界的善。知道要达到“至善”的境界方能确定目标,确定目标后方能心地宁静,心地宁静方能安稳不乱,安稳不乱方能思虑周详,思虑周详方能达到“至善”。凡物都有根本有末节,凡事都有终端有始端,知道了它们的先后次序,就与《大学》的宗旨相差不远了。
在古代,意欲将高尚的德行弘扬于天下的人,则先要治理好自己的国家;意欲治理好自己国家的人,则先要调整好自己的家庭;意欲调整好自己家庭的人,则先要修养好自身的品德;意欲修养好自身品德的人,则先要端正自己的心意;意欲端正自己心意的人,则先要使自己的意念真诚;意欲使自己意念真诚的人,则先要获取知识;获取知识的途径则在于探究事理。探究事理后才能获得正确认识,认识正确后才能意念真诚,意念真诚后才能端正心意,心意端正后才能修养好品德,品德修养好后才能调整好家族,家族调整好后才能治理好国家,国家治理好后才能使天下太平。
从天子到普通百姓,都要把修养品德作为根本。人的根本败坏了,末节反倒能调理好,这是不可能的。正像我厚待他人,他人反而慢待我;我慢待他人,他人反而厚待我这样的事情,还未曾有过。这就叫知道了根本,这就是认知的最高境界。
所谓意念真诚,就是说不要自己欺骗自己。就像厌恶难闻的气味,喜爱好看的女子,这就是求得自己的心满意足。所以君子在独处时一定要慎重。小人在家闲居时什么坏事都可以做出来。当他们看到君子后,才会遮掩躲闪,藏匿他们的不良行为,表面上装作善良恭顺。别人看到你,就像能见到你的五脏六腑那样透彻,装模作样会有什么好处呢?这就是所说的心里是什么样的,会显露在外表上。因此,君子在独处的时候一定要慎重。曾子说:“一个人被众人注视,被众人指责,这是很可怕的啊!”富能使房屋华丽,德能使人品德高尚,心胸宽广能体态安适,所以,君子一定要意念真诚。
《诗经》上说:“看那弯弯的淇水岸边,绿竹苍郁。那文质彬彬的君子,像切磋骨器、琢磨玉器那样治学修身。他庄重威严,光明显耀。那文质彬彬的君子啊,令人难以忘记!”所谓“像切磋骨器”,是说治学之道;所谓“像琢磨玉器”,是说自身的品德修养;所谓“庄重威严”,是说君子谦逊谨慎,所谓“光明显耀”,是说君子仪表的威严;“那文质彬彬的君子啊,令人难以忘记”,是说君子的品德完美,达到了最高境界的善,百姓自然不会忘记他。《诗经》上说:“哎呀,先前的贤王不会被人忘记。”后世君子,尊前代贤王之所尊,亲前代贤王之所亲,后代百姓因先前贤王而享安乐,获收益。这样前代贤王虽过世而不会被人遗忘。《尚书·周书》中的《康诰》篇上说:“能够弘扬美德。”《尚书·商书》中的《太甲》篇中说:“思念上天的高尚品德。”《尚书·虞书》中《帝典》篇中说:“能够弘扬伟大的德行。”这些都是说要自己发扬美德。商汤的《盘铭》上说:“如果一日洗刷干净了,就应该天天洗净,不间断。”《康诰》篇上说:“劝勉人们自新。”《诗经》上说:“周朝虽是旧国,但文王承受天命是新的。”因此,君子处处都要追求至善的境界。《诗经》上说:“京城方圆千里,都为百姓居住。”《诗经》上说:“啁啾鸣叫的黄莺,栖息在多树的山丘上。”孔子说:“啊呀,黄莺都知道自己的栖息之处,难道人反而不如鸟吗?”《诗经》上说:“仪态端庄美好的文王啊,他德行高尚,使人无不仰慕。”身为国君,当努力施仁政;身为下臣,当尊敬君主;身为人之子,当孝顺父母;身为人之父,当慈爱为怀;与国人交往,应当诚实,有信用。孔子说:“审断争讼,我的能力与他人的一般无二,但我力争使争讼根本就不发生。”违背实情的人,不能尽狡辩之能事,使民心敬畏。这叫做知道什么是根本。
如要修养好品德,则先要端正心意。心中愤愤不平,则得不到端正;心中恐惧不安,则得不到端正;心里有偏好,则得不到端正;心里有忧患,则得不到端正。一旦心不在焉,就是看了,却什么也看不到;听了,却什么也听不到;吃了,却辨别不出味道。所以说,修养品德关键在端正心意。
如要调整好家族,则先要修养好品德,为什么呢?因为人往往对他所亲近喜爱的人有偏见,对他所轻视讨厌的人有偏见,对他所畏惧恭敬的人有偏见,对他所怜惜同情的人有偏见,对他所傲视怠慢的人有偏见。所以喜爱一个人但又认识到他的缺点,不喜欢一个人但又认识到他优点的人,也少见。因此有一则谚语说:“人看不到自己孩子的过错,人察觉不到自己的庄稼好。”这就是不修养好品德,就调整不好家族的道理。
要治理好国家,必须先要调整好自己的家族,因为不能教育好自己家族的人反而能教育好一国之民,这是从来不会有的事情。所以,君子不出家门而能施教于国民。孝顺,是侍奉君主的原则,尊兄,是侍奉长官的原则,仁慈,是控制民众的原则。《康诰》中说:“像爱护婴儿那样。”诚心诚意去爱护,即便不合乎婴儿的心意,也相差不远。不曾有过先学养育孩子再出嫁的人呀!一家仁爱相亲,一国就会仁爱成风;一家谦让相敬,一国就会谦让成风;一人贪婪暴戾,一国就会大乱——它们的相互关系就是这样。这就叫做一句话可以败坏大事,一个人可以决定国家。尧、舜用仁政统治天下,百姓就跟从他们实施仁爱。桀、纣用暴政统治天下,百姓就跟从他们残暴不仁。他们命令大家做的,与他自己所喜爱的凶暴相反,因此百姓不服从。因此,君子要求自己具有品德后再要求他人,自己先不做坏事,然后再要求他人不做。自己藏有不合“己所不欲,勿施于人”这一恕道的行为,却能使他人明白恕道,这是不会有的事情。因此,国家的治理,在于先调整好家族。《诗经》上说:“桃花绚烂,枝繁叶茂。姑娘出嫁,合家欢快。”只有合家相亲和睦后,才能够调教一国之民。《诗经》上说:“尊兄爱弟。”兄弟相处和睦后,才可以调教一国的人民。《诗经》上说:“他的仪容没有差错,成为四方之国的准则。”能使父亲、儿子、兄长、弟弟各谋其位,百姓才能效法。这就叫做治理好国家首先要调整好家族。
要平定天下,先要治理好自己的国家。因为居上位的人敬重老人,百姓就会敬重老人;居上位的人敬重兄长,百姓就会敬重兄长,居上位的人怜爱孤小,百姓就不会不讲信义。所以,君子的言行具有模范作用。厌恶上级的所作所为,就不要用同样的做法对待下级;厌恶下级的所作所为,就不要用同样的做法对待上级;厌恶在我之前的人的所作所为,就不要用同样的做法对待在我之后的人,厌恶在我之后的人的所作所为,就不要用同样的做法对待在我之前的人,厌恶在我右边的人的所作所为,就不要用同样的方法与我左侧的人交往;厌恶在我左边的人的所作所为,就不要用同样的方法与我右侧的人交往。这就是所说的模范作用。《诗经》上说:“快乐啊国君,你是百姓的父母。”百姓喜爱的他就喜爱,百姓厌恶的他就厌恶,这就是所说的百姓的父母。《诗经》上说:“高高的南山啊,重峦叠嶂。光耀显赫的尹太师啊,众人都把你仰望。”统治国家的人不能不谨慎,出了差错就会被天下百姓杀掉。《诗经》上说:“殷朝没有丧失民众时,能够与上天的意旨相配合。应以殷朝的覆亡为鉴,天命得来不易啊。”这就是说得到民众的拥护,就会得到国家;失去民众的拥护,就会失去国家。
所以,君子应该谨慎地修养德行。具备了德行才能获得民众,有了民众才会有国土,有了国土才会有财富,有了财富才能享用。德行为根本,财富为末端。如若本末倒置,民众就会互相争斗、抢夺。因此,财富聚集在国君手中,就可以使百姓离散,财富疏散给百姓,百姓就会聚在国君身边。所以你用不合情理的言语说别人,别人也会用不合情理的言语说你,用不合情理的方法获取的财富,也会被人用不合情理的方法夺走。《康诰》上说:“天命不是始终如一的。”德行好的就会得天命,德行不好就会失掉天命。《楚书》上说:“楚国没有什么可以当做珍宝的,只是把德行当做珍宝。”舅犯说:“流亡的人没有什么可以当做珍宝的,只是把挚爱亲人当做珍宝。”
《秦誓》上说:“如果有这样一个大臣,他虽没有什么才能,但心地诚实宽大,能够容纳他人。别人有才能,如同他自己有一样;别人德才兼备,他诚心诚意喜欢,不只是口头上说说而已。能够留用这人,便能够保护我的子孙百姓。这对百姓是多么有利啊。如果别人有才能,就嫉妒厌恶;别人德才兼备,就阻拦他施展才干。不能留用这样的人,他不能保护我的子孙百姓,这种人也实在是危险啊。”只有仁德的人能把这种嫉妒贤人的人流放,驱逐到边远地区,使他们不能留在国家的中心地区。这叫做只有仁德的人能够爱人,能够恨人。看到贤人而不举荐,举荐了但不尽快使用,这是怠慢。看到不好的人却不能摈弃,摈弃了却不能放逐到远方,这是过错。喜欢人所厌恶的,厌恶人所喜欢的,这是违背了人性,灾害必然会降临到他的身上。因此,君子所有的高尚德行,一定要忠诚老实才能够获得,骄纵放肆便会失去。
发财致富有这样一条原则:生产财富的人要多,消耗财富的人要少;干得要快,用得要慢,这样就可以永远保持富足了。有德行的人会舍财修身,没有德行的人会舍身求财。没有居上位的人喜爱仁慈而下位的人不喜爱忠义的;没有喜爱忠义而完不成自己事业的;没有国库里的财富最终不归属于国君的。孟献子说:“拥有一车四马的人,不应计较一鸡一猪的财物;卿大夫家不饲养牛羊;拥有马车百辆的人家,不豢养收敛财富的家臣。与其有聚敛民财的家臣,还不如有盗贼式的家臣。”这是说,国家不应把财物当做利益,而应把仁义作为利益。掌管国家大事的人只致力于财富的聚敛,这一定是来自小人的主张。假如认为这种做法是好的,小人被用来为国家服务,那么灾害就会一起来到,纵使有贤臣,也无济于事啊!这就是说国家不要把财利当做利益,而应把仁义当做利益。 [20]
作品鉴赏
编辑
整体赏析
●
总体思想
八条目关系
八条目关系
《大学》着重阐述了提高个人修养、培养良好的道德品质与治国平天下之间的重要关系。中心思想可以概括为“修己以安百姓”,并以三纲领“明明德、亲民、止于至善”和八条目“格物、致知、诚意、正心、修身、齐家、治国、平天下”为主题。
《大学》提出的人生观与儒家思想有千丝万缕的联系,基本上是儒家人生观的进一步扩展。这种人生观要求注重个人修养,怀抱积极的奋斗目标,这一修养和要求是以儒家的道德观为主要内涵的。三纲八目又有阶级性, “明德”、“至善”都是封建主义对君主的政治要求和伦理标准;“格物”、“致知”等八条目是在修养问题上要求与三纲领中的政治理念和伦理思想相结合。
《大学》还继承了孔子的仁政学说与孟子的民本论,《大学》里的统治者都是以“尊长”、“民之父母”的身份自居,但实际上他们还是站在剥削者的立场上这么说的,他们所谓的“爱民”、“不暴戾”只是为了维护他们上层建筑的经济基础——生产力。只有这样,他们无生产能力的剥削生活才能得以巩固。 [21]
●
结构划分
《大学》的基本内容主要是对孔子代表的原始儒家思想作了一种体系性、结构性的概括和描述,以阐明儒家关于学习的内容、目标和为学的次序途径,旨在张扬儒家的君子修德之学和圣王的治政之道。
全文可分为三部分。
第一部分(“大学之道”至“此谓知之至也”)讲的是大学之道。
首先,《大学》对儒学作了一个高度概括,提出“明明德,在亲民,在止于至善”三项,即宋代儒家们所说的大学“三纲领”。这一概括非常准确地揭示了儒学的基本精神,也道出了《大学》的主旨。《大学》是讲治国平天下的学问,但是它按照孔子思想,不就事论事,而是将人的精神的弘扬和品德修养置于首位。“明明德”是发扬自己固有的德性,是激发求学者完善自己的自觉性,而不是用某种外在的、固定的道德准则束缚自己。“亲民”即“新民”,就是不仅自觉地进行自我修养,而且努力提高全体人民的道德品质,在儒家看来这是为治国平天下的伟业奠定精神基础。“止于至善”就是要将自己的道德品质和社会、国家的治理提升到最完美的地步,不达到最理想的境界绝不停止,实际上是一个无限的完善过程。
其次,《大学》提出欲明明德于天下者,要经历格物、致知、诚意、正心、修身、齐家、治国、平天下八个环节(即朱熹所称的大学“八条目”)。其中,修身以上,“格物、致知、诚意、正心”四者,专注于心性修养,属儒家的“内圣”之学;修身以下,“齐家、治国、平天下”,系君子之行为规范及治政之事,属儒家的“外王”之学,其意主要在彰明儒家“为政以德”的观念和“道德转化为政治”的思想。文章指出:“物有本末,事有终始,知所先后,则近道矣。”《大学》对八条目排列了次序,这主要不是规定实行中的时间先后的次序,而是确定八条目之间的关系。它指明了只有把家庭、封地管理得井井有条,才能获得经验,有资格进而治理国家;要治好家庭、封地,首先要以身作则,进行自我修养;要作自我修养就要端正思想,而不能只做表面文章,遵守外在的行为准则;端正思想就要做到真诚,心灵纯洁,排除种种私心杂念;而要意念诚实就要学习知识,提高认识,不至于陷入愚昧、偏执,从而避免盲目性;而掌握知识、提高认识能力,就要研究事物,以防止被他人之说误导。说明《大学》全面地展示了同明明德和治国平天下相关的主要方面,深刻地揭示了它们之间的关系,使儒家学说成了一个条理分明的思想体系。
再次,《大学》第一次提出“格物”的概念,把格物致知列为儒家伦理学、政治学和哲学的基本范畴,从而赋予认知活动对于修身养性的精神、心理过程和治理社会与国家的实践活动的极其重要的意义。这是儒学的一个重大发展。
最后,《大学》把修身规定为自天子以至于庶人的一切活动的根本,这既指明天子没有特权置身于修身之外,又提出普通百姓不能降低对自己的要求,把修身当作无关紧要的事。修身就是关注自我,认识自我,审视自我,完善、发展自我。说明以修身为本就是将培育完善、发展自我的自觉性置于重要的地位,这种思想能够增强个体自强不息的、内在的精神生命力。
第二部分(“所谓诚其意者”至“此谓修身在正其心”)讲的是诚意慎独。
所以,君子应该谨慎地修养德行。具备了德行才能获得民众,有了民众才会有国土,有了国土才会有财富,有了财富才能享用。德行为根本,财富为末端。如若本末倒置,民众就会互相争斗、抢夺。因此,财富聚集在国君手中,就可以使百姓离散,财富疏散给百姓,百姓就会聚在国君身边。所以你用不合情理的言语说别人,别人也会用不合情理的言语说你,用不合情理的方法获取的财富,也会被人用不合情理的方法夺走。《康诰》上说:“天命不是始终如一的。”德行好的就会得天命,德行不好就会失掉天命。《楚书》上说:“楚国没有什么可以当做珍宝的,只是把德行当做珍宝。”舅犯说:“流亡的人没有什么可以当做珍宝的,只是把挚爱亲人当做珍宝。”
《秦誓》上说:“如果有这样一个大臣,他虽没有什么才能,但心地诚实宽大,能够容纳他人。别人有才能,如同他自己有一样;别人德才兼备,他诚心诚意喜欢,不只是口头上说说而已。能够留用这人,便能够保护我的子孙百姓。这对百姓是多么有利啊。如果别人有才能,就嫉妒厌恶;别人德才兼备,就阻拦他施展才干。不能留用这样的人,他不能保护我的子孙百姓,这种人也实在是危险啊。”只有仁德的人能把这种嫉妒贤人的人流放,驱逐到边远地区,使他们不能留在国家的中心地区。这叫做只有仁德的人能够爱人,能够恨人。看到贤人而不举荐,举荐了但不尽快使用,这是怠慢。看到不好的人却不能摈弃,摈弃了却不能放逐到远方,这是过错。喜欢人所厌恶的,厌恶人所喜欢的,这是违背了人性,灾害必然会降临到他的身上。因此,君子所有的高尚德行,一定要忠诚老实才能够获得,骄纵放肆便会失去。
发财致富有这样一条原则:生产财富的人要多,消耗财富的人要少;干得要快,用得要慢,这样就可以永远保持富足了。有德行的人会舍财修身,没有德行的人会舍身求财。没有居上位的人喜爱仁慈而下位的人不喜爱忠义的;没有喜爱忠义而完不成自己事业的;没有国库里的财富最终不归属于国君的。孟献子说:“拥有一车四马的人,不应计较一鸡一猪的财物;卿大夫家不饲养牛羊;拥有马车百辆的人家,不豢养收敛财富的家臣。与其有聚敛民财的家臣,还不如有盗贼式的家臣。”这是说,国家不应把财物当做利益,而应把仁义作为利益。掌管国家大事的人只致力于财富的聚敛,这一定是来自小人的主张。假如认为这种做法是好的,小人被用来为国家服务,那么灾害就会一起来到,纵使有贤臣,也无济于事啊!这就是说国家不要把财利当做利益,而应把仁义当做利益。 [20]
作品鉴赏
编辑
整体赏析
●
总体思想
八条目关系
八条目关系
《大学》着重阐述了提高个人修养、培养良好的道德品质与治国平天下之间的重要关系。中心思想可以概括为“修己以安百姓”,并以三纲领“明明德、亲民、止于至善”和八条目“格物、致知、诚意、正心、修身、齐家、治国、平天下”为主题。
《大学》提出的人生观与儒家思想有千丝万缕的联系,基本上是儒家人生观的进一步扩展。这种人生观要求注重个人修养,怀抱积极的奋斗目标,这一修养和要求是以儒家的道德观为主要内涵的。三纲八目又有阶级性, “明德”、“至善”都是封建主义对君主的政治要求和伦理标准;“格物”、“致知”等八条目是在修养问题上要求与三纲领中的政治理念和伦理思想相结合。
《大学》还继承了孔子的仁政学说与孟子的民本论,《大学》里的统治者都是以“尊长”、“民之父母”的身份自居,但实际上他们还是站在剥削者的立场上这么说的,他们所谓的“爱民”、“不暴戾”只是为了维护他们上层建筑的经济基础——生产力。只有这样,他们无生产能力的剥削生活才能得以巩固。 [21]
●
结构划分
《大学》的基本内容主要是对孔子代表的原始儒家思想作了一种体系性、结构性的概括和描述,以阐明儒家关于学习的内容、目标和为学的次序途径,旨在张扬儒家的君子修德之学和圣王的治政之道。
全文可分为三部分。
第一部分(“大学之道”至“此谓知之至也”)讲的是大学之道。
首先,《大学》对儒学作了一个高度概括,提出“明明德,在亲民,在止于至善”三项,即宋代儒家们所说的大学“三纲领”。这一概括非常准确地揭示了儒学的基本精神,也道出了《大学》的主旨。《大学》是讲治国平天下的学问,但是它按照孔子思想,不就事论事,而是将人的精神的弘扬和品德修养置于首位。“明明德”是发扬自己固有的德性,是激发求学者完善自己的自觉性,而不是用某种外在的、固定的道德准则束缚自己。“亲民”即“新民”,就是不仅自觉地进行自我修养,而且努力提高全体人民的道德品质,在儒家看来这是为治国平天下的伟业奠定精神基础。“止于至善”就是要将自己的道德品质和社会、国家的治理提升到最完美的地步,不达到最理想的境界绝不停止,实际上是一个无限的完善过程。
其次,《大学》提出欲明明德于天下者,要经历格物、致知、诚意、正心、修身、齐家、治国、平天下八个环节(即朱熹所称的大学“八条目”)。其中,修身以上,“格物、致知、诚意、正心”四者,专注于心性修养,属儒家的“内圣”之学;修身以下,“齐家、治国、平天下”,系君子之行为规范及治政之事,属儒家的“外王”之学,其意主要在彰明儒家“为政以德”的观念和“道德转化为政治”的思想。文章指出:“物有本末,事有终始,知所先后,则近道矣。”《大学》对八条目排列了次序,这主要不是规定实行中的时间先后的次序,而是确定八条目之间的关系。它指明了只有把家庭、封地管理得井井有条,才能获得经验,有资格进而治理国家;要治好家庭、封地,首先要以身作则,进行自我修养;要作自我修养就要端正思想,而不能只做表面文章,遵守外在的行为准则;端正思想就要做到真诚,心灵纯洁,排除种种私心杂念;而要意念诚实就要学习知识,提高认识,不至于陷入愚昧、偏执,从而避免盲目性;而掌握知识、提高认识能力,就要研究事物,以防止被他人之说误导。说明《大学》全面地展示了同明明德和治国平天下相关的主要方面,深刻地揭示了它们之间的关系,使儒家学说成了一个条理分明的思想体系。
再次,《大学》第一次提出“格物”的概念,把格物致知列为儒家伦理学、政治学和哲学的基本范畴,从而赋予认知活动对于修身养性的精神、心理过程和治理社会与国家的实践活动的极其重要的意义。这是儒学的一个重大发展。
最后,《大学》把修身规定为自天子以至于庶人的一切活动的根本,这既指明天子没有特权置身于修身之外,又提出普通百姓不能降低对自己的要求,把修身当作无关紧要的事。修身就是关注自我,认识自我,审视自我,完善、发展自我。说明以修身为本就是将培育完善、发展自我的自觉性置于重要的地位,这种思想能够增强个体自强不息的、内在的精神生命力。
第二部分(“所谓诚其意者”至“此谓修身在正其心”)讲的是诚意慎独。
第二部分是逐句解释《大学》“三纲领、八条目”的,引用了许多典故,也作了发挥。文章在诠释中突出了《大学》这一理念:求圣人之道的关键是增强完善自我的自觉性,它从以下四方面阐发了这一理念的涵义。
首先,自我的完善是“自明”。引证的《尚书》中三段语录证明《大学》首句“明明德”在古圣人之书中都有出处,然后总结其思想是“皆自明也”。所谓“自明”即“自觉”,就是说“明明德”是自我的觉悟,是内心意识到完善、发展自身的必要性。此外,“自明”的说法还指明了“明明德”不是将一种外在的行为规范强加给一个人,而是人固有的善性的发扬和发展。
其次,道德修养是自我的无穷尽的更新过程。“新民”是为教化人民,这是力图更新他人的品质,然而引用商汤刻在浴盆之上用以自警的铭文“茍日新,日日新,又日新”来阐明《大学》“新民”的概念,就把这个概念规定为自我的更新,自我的发展。其中四个“日”字的连用,则以十分有力的语气强调:必须经常不断地进行自我的更新、创造和发展,永远追求新目标和新成就,总是要有新气象和新面貌,任何时候都不要停止不前,安于现状。而“君子无所不用其极”之说清楚地指明,这种更新和发展是没有止境的无限过程,它要求人们将追求至善的自觉性发挥到最大的程度。这是一种积极的人生观,是鼓励发展和创新的哲学,它为自我创造开辟了新的空间。
再次,文章指出了自我完善不是个体以冥思求顿悟,而是必须努力学习知识,增进学问,提高认识,还必须通过艰苦的磨练,在实践中不断地增长才干,养成各种优良的品质。即“如切如磋者,道学也;如琢如磨者,自修也”的意思。经过这样的修养和磨练,才能达到“道盛德至善”的地步。
最后,主观意识要始终保持纯正的状态。经文提出的“诚意”的概念为“毋自欺”,把自我完善的自觉性归结为一个人为善动机的纯正。所谓“自欺”就是动机不纯,有邪念,却以勉强的行为做样子,或以伪装的善行、漂亮的言辞来掩饰自己心灵上的污秽,借以自欺欺人。因此,不自欺表明行善不是为了某种功利的目的。不是做给别人看,而是以善本身为目的。行善是自己心灵的需要,是求得精神本身的满足。所以文章说:“如恶恶臭,如好好色,此之谓自谦。”又如朱熹所说:“皆务决去,而求必得之,以自快足于己,不可徒茍且以徇外而为人也。”(《四书集注·大学》)所以,只有心灵的自慊,才能排除做给别人看的矫饰、虚伪的自欺行为,达到“诚意”的目的,从而从根本上保证有一种自我完善的自觉性。
文中所提出的“慎独”的理念非常重要。所谓“独”意为独处,这里是指人不知而只有己知的意识活动,是指人的真实的意念。文章把独处时的思想活动看成是对一个人能否做到诚意的一个考验。即是否真正具有自我完善的自觉性的考验。因此儒家对人们独处时的思想活动和表现特别重视。朱熹说:“必谨之于此以审其几焉。”“几”是指细微难辨、微妙难言、却包含了无限可能性的东西。表明独处的意识活动是一个人在人生的各种实际活动中向善还是向恶的关键所在,必须特别慎重对待。文章进一步指出,一个人独处时的思想活动虽然不为人们所知,但是它们总是要表现出来。
此外,文中还提出要保持纯正的主观意识,增强完善自我的自觉性,还必须时时调节自己的心理状态。防止愤恨、恐惧、癖好、忧伤等各种情绪损害心灵的纯正和完善自我的自觉性。因为心灵一旦失去平衡,就将丧失其正确判断是非善恶的能力。
第三部分(“所谓齐其家在修其身者”至“以义为利也”)讲有诸己而后求诸人。
儒家政治哲学的基本观念是治理国家的根本原则同治理家庭和对待他人的准则相一致,由此这部分着重阐述了两个观点:
观点一:“治国必先齐其家”。在儒家看来,不能教育好家人的那些人是不可能治理好国家的。其理由一是在家中都不能实行仁义道德,在国家政治生活中也就不会讲仁义道德。因此,要首先在治家的过程中培育治国所需要的那些道德品质和才干。所以文中说:“故君子不出家而成教于国。”理由二是,统治者治理好自己的家以后,就树立了一个榜样,产生巨大的影响,整个社会都会来仿效,这就是文中所说的:“一家仁,一国兴仁;一家让,一国兴让。”相反,则是“一人贪戾,一国作乱”。
观点二:治国者要把家庭道德运用、推广到国家的政治生活之中,要以对家人的情感对待全社会的人,要在整个世界造成家庭式的秩序与和谐。文中提出,在家中对父母的孝,在朝廷中要用到对待君主;在家中对兄长的敬爱,在官场中要用到对待长上;在家中对小辈的慈爱,在治国之时要用到对待下属或百姓。文中特别强调统治者对待老百姓就像对“赤子”那样有一种怜爱、疼爱的柔情。文中正是从这种柔情的意义上解释治国者“为民父母”的传统理念:“民之所好好之,民之所恶恶之,此之谓民之父母。”儒家力图以此减弱这一理念带有的家长专制的色彩。
要求以孝悌的道德对待君主和长上,这是一种宗法主义的观念,有利于加强封建专制主义。而把人民当成赤子,则表现了一种高高在上、俯视民众的优越感和对百姓的轻视,与现代的平等和民主的观念格格不入。但是,文章竭力主张治国者应当像对家人那样,对人民有一种纯真、诚挚、深厚的爱,并以这种情感来治国,按照人民的愿望和意志来处理政务,努力使社会变得像美满的家庭那样和睦,充满温馨,这种主张虽然在封建专制社会难以实现,但反映了古人的美好的政治理想,有利于促进古代政治的改良,即使在现代社会也当作为政治进步和革新的目标。
第三部分还论述了治国者应有的思想品格和道德品质,其中最重要的是忠恕之道,即文中所说的絜矩之道:絜者,测度也;矩者,规矩与标准。絜矩之道就是根据“人同此心”的道理,以“将心比心”的方法,处理各种人际关系。根据孔子的规定,忠恕就是推己及人:己欲立而立人,己欲达而达人,己所不欲,勿施于人。这种絜矩之道对于封建专制主义和一切丑恶事物都有一种批判和抵御的作用。
关于治国者的政治道德,文章强调必须公正无私。文中非常细致地指明了特别要提防的种种妨碍公正无私的情感、心理因素:对亲近和喜欢的人不能有偏爱,对所厌恶的人不能有偏见,对所畏惧和敬重的人不能有盲目性,对所同情、怜悯的人不能有偏私。于是从中提出了一个普遍的法则:对于他人偏爱,就会看不到其缺点,而对他人有了偏见,就会看不到其优点。
此外,文章提出政治家要有宽广的胸怀,别人有才能和本领,就像自己有一样;别人道德高尚,自己要从心里喜欢。不要像那些小人,别人有才干,就妒忌他;别人有美德,就处心积虑地压制他。要举贤荐能,罢黜不善之人。文章提出了“仁者以财发人”,作为“不仁者以身发财”的对照。所谓以财发人,就是首先要善于为国生财。文中提出的生财之大道是:“生之众,食之者寡;为之者疾,用之者舒。”然后以财造福百姓,以取得他们的拥护,不能任用“聚敛之臣”与民争利。
总的来讲,《大学》所表达的儒家重治国之本的传统观念,自始至终着力阐述儒家政治学总纲,所以能够在很长的历史时期对中国政治实践和政治教育发挥巨大的指导作用。 [22]
历代点评
程子:“大学,孔氏之遗书,而初学入德之门也。”于今可见古人为学次第者,独赖此篇之存,而论、孟次之。学者必由是而学焉,则庶乎其不差矣。 [23]
郑玄《三礼目录》:“名为《大学》者,以其记博学可以为政也。”
孔颖达《礼记正义》:“此《大学》之篇,论学成之事,能治其国,章明其德于天下。”
孙中山:中国政治哲学谓其最有系统之学,无论外国任何政治哲学家都未见过,都未说出,为中国独有之宝贝。
价值影响
编辑
贡献价值
⑴《大学》提出了一个政治哲学纲领。《大学》以不长的篇幅使儒家思想理论化、通俗化,便于学者学习掌握,而儒家思想为封建王朝的稳固提供了保障。 [24]
⑵《大学》可以作为科学启蒙第一书,它提出的“诚意正心”是必备的科研心态、“格物致知”是认知的唯一途径、“止于至善”是追求臻美境界,“日日新”是强烈的创新意识。 [25]
⑶《大学》虽然充满着主观唯心主义的哲学思想,但是却有重要的朴素唯物主义哲学思想的论述,如提出的“物有本末,事有终始”,认知到事物发展的先和后;提出的“治本”,认知到治国的规律。 [26]
⑷《大学》作为“四书”之首,是儒学重要的思想载体。儒学作为中国传统政治的合法性依据,在中国古代廉政文化建设中扮演了重要的角色,产生了深远的影响。 [27]
⑸《大学》提出的经济思想是构建中国特色社会主义经济学最为有利的文化根基。如提出的“德本财末思想”、“财聚民散思想”、“生众用舒思想”,“先义后利思想”。 [28]
⑹《大学》提出的诚信思想对当代探讨诚信缺失的社会根源以及创建以人为本的政治理念具有重要的启发意义。 [29]
⑺《大学》是讲学习法则的著作,影响着学风。 [30]
⑻《大学》提出了“做人”法则。
⑼《大学》是国学经典之一,代表着中国传统文化。 [31]
作品影响
●
正面
《大学》作为《礼记》中的一篇,它对于汉儒的思想有直接的启发。特别是到宋代理学勃兴后,借助科举的力量,又使它发挥了极大的作用,宋以后几乎每一个读书人都受到《大学》的影响。《大学》强调了学习者自身道德修养的提高,还强调了对社会的关心和参与精神,对形成良好的社会风气与促进社会发展都具有积极意义。《大学》所提出的“修、齐、治、平”思想,几乎成为读书人的唯一标准理想。这种思想主张积极人世,注重自身修养,关心人民疾苦,努力改善民生,维护社会安定,拥护统一,对社会的繁荣稳定发挥了重要作用。 [24]
●
负面
《大学》把人的思想束缚在儒家的思维范围之中,给古代文人带来思想僵化的缺点。在中国古代,一个人如不按照“修、齐、治、平”这条线路来走,轻则斥之为不成才,重则认为离经叛道,大家群起而攻之,使文人轻易不敢背离。从这个思维模式教育出来的人,虽然有“达则兼济天下”的信念,但他们的最终目标是为最高统治者服务的,让百姓过上好日子并不是他们的最终目标,只是维护统治阶级的统治手段。在这种思想指导下,如果百姓与统治者利益发生冲突,只能是牺牲百姓的利益。因此儒家思想上带有一些奴性。 [24]
作者简介
编辑
曾子像
曾子像
曾子(前505年-前435年),名参,字子舆,春秋末战国初鲁国武城人。孔子弟子,儒家主要学派—“曾子子思孟子学派”的重要代表人物。后世尊其为“宗圣”,与孔子、孟子、颜子合称“四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