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연(李重延)
출생 연도 1711년(숙종 37)
사망 연도 1794년(정조 18)
본관 진보(眞寶: 지금의 경상북도 청송)
출생지 미상
조선후기 『누실집』을 저술한 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희원(希愿), 호는 누실(陋室).
승지 이동표(李東標)의 손자로, 찰방 이제겸(李濟兼)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풍산김씨(豊山金氏)로 김집(金偮)의 딸이다. 이광정(李光庭)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향시에 합격하였으나, 그 뒤 벼슬에 뜻이 없어 대과에 응하지 않고 평생 동안 학문과 수양에 힘썼다. 또한, 시문에 능하여 산사와 경승을 찾아 격조 높은 시가를 많이 지었다.
누실거사(陋室居士)라 자호하고 선승들과 학문적으로 교유하였다.
당시의 명사인 채제공(蔡濟恭)·이상정(李象靖) 등과도 서독(書牘)으로 내왕하였으나 학문적인 내용은 별로 없다.
1790년 노인직으로 첨지중추부사가 되었다.
저서로 『누실집(陋室集)』 4권 2책이 있다.
이제겸(李濟兼)
[문과] 영조(英祖) 1년(1725) 을사(乙巳)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4위(14/44)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774C81CACB8B1683X0
자(字) 사달(士達)
생년 계해(癸亥) 1683년 (숙종 9)
졸년 임술(壬戌)(주1)【補】 1742년 (영조 18)
향년 60세
합격연령 43세
본인본관 진성(眞城)
거주지 안동(安東)【補】(주2)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본관은 진성(眞城), 자는 선경(善慶), 사달(士達), 호는 두릉(杜陵), 창랑(滄浪), 창랑자(滄浪子), 녹은(鹿隱).
송재(松齋) 이우(李堣)의 7세손으로, 증조부는 이지형(李之馨)이고, 조부는 이운익(李雲翼)이며, 부친은 나은(懶隱) 이동표(李東標)이고 외조부는 권협(權鋏)이다.
32세 되던 1714년(숙종 40) 갑오(甲午)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였고, 갑진년(1724)에 동몽교관(童蒙敎官)으로 천거되었다.
43세 되던 1725년(영조 1) 을사(乙巳)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에 4위로 급제한 후,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와 율봉도찰방(栗峰道察訪)을 역임하였다.
율봉도찰방으로 부임한 이듬해인 1728년(영조 4)에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고 반란군이 율봉의 역마를 모두 약탈해가는 일이 벌어졌다. 이에 도순무사(都巡撫使)인 오명항(吳命恒)에게 사태의 전말을 보고하고 관군을 기다리며 의병을 규합하고자 하였는데 그 과정 중에 반란이 진압되었다.
그런데 가담자를 조사하는 중에 강필신(姜必信)이라는 인물이 자신이 처벌을 피하고자 ‘율봉도찰방이 반란군에게 역마를 제공하였다’고 무고(誣告)를 하여, 이 일을 빌미로 선천(宣川)으로 유배되었다가 강원도 제천으로 이배(移配)된 지 3년 뒤인 1735년(영조 11)에야 풀려났다.
유배에서 풀려난 뒤 입록동(入鹿洞)으로 옮겨 살면서 후학을 기르는 데 전념하였다.
59세 되던 1741년(영조17)에 무고가 밝혀져 신원이 회복되어 영조가 다시 중용하도록 하였으나 끝내 벼슬을 사양하고 은거하다가 60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하였다.
분묘지는 녹동(鹿洞)이다.
[진사] 숙종(肅宗) 40년(1714) 갑오(甲午) 증광시(增廣試) [진사] 3등(三等) 1위(31/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44명 [甲3‧乙7‧丙34]
전력 교관(敎官)
관직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
문과시제 어제(御題) 表(표):의송호안국진춘추전(擬宋胡安國進春秋傳)
타과 1714년(숙종 40) 갑오(甲午) 증광시(增廣試) 진사(進士) 3등(三等) 1위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이동표(李東標)[文]
[조부(祖父)]
성명 : 이운익(李雲翼)
[증조부(曾祖父)]
성명 : 이지형(李之馨)
[외조부(外祖父)]
성명 : 권협(權鋏)
본관 : 미상(未詳)
[처부(妻父)]
성명 : ▣○○(▣○○)
본관 : 미상(未詳)
[주 1]졸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을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
[주 2]거주지 : 『을사성상즉위증광별시문무과방목(乙巳聖上卽位增廣別試文武科榜目)』(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B13LB-3])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十五(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이동표(李東標)
[문과] 숙종(肅宗) 9년(1683) 계해(癸亥)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1위(11/35)
[인물요약]
UCI G002+AKS-KHF_13C774B3D9D45CB1644X0
자(字) 군칙(君則)
호(號) 나은(懶隱)【補】(주1)
시호(諡號) 충간(忠簡)【補】(주2)
생년 갑신(甲申) 1644년 (인조 22)
졸년 경진(庚辰) 1700년 (숙종 26)
향년 57세
합격연령 40세
본인본관 진성(眞城)
거주지 예천(醴泉)【補】(주3)
[관련정보]
[사전] 인물 생애 정보
조선후기 성균관전적, 홍문관부수찬, 양양현감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군칙(君則) · 자강(子剛), 호는 나은(懶隱). 아버지는 이운익(李雲翼)이며, 어머니는 김기후(金基厚)의 딸이다.
1675년(숙종 1) 진사가 되고, 1677년 증광회시에 장원하였으나 파방(罷榜)되었다가 1683년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687년 창락도찰방(昌樂道察訪)에 임명되었으며, 1689년 왕명으로 한림을 뽑을 때 영의정 권대운(權大運)의 천거로 수천(首薦)이 되었다.
성균관전적을 거쳐 홍문관부수찬에 제수되었으나 기사환국 때 인현왕후(仁顯王后)의 폐위를 반대하여 죄를 입은 박태보(朴泰輔) · 오두인(吳斗寅) 등을 신구하다가 양양현감으로 좌천당하였다.
그 뒤 사간원헌납 · 이조좌랑 · 홍문관교리 등에 임명되었으나 그 때마다 사직하고 귀향하였으므로 사람들은 소퇴계(小退溪)라 일컬었다.
낙향한 뒤에도 계속하여 사헌부집의 · 호조참의 · 삼척도호부사 등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으며, 사직의 상소와 함께 그때마다 직언으로 시정의 개선책을 건의하였다.
1741년(영조 17) 이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1845년(현종 11) 예천의 원산서원(元山書院)에 봉안되었다.
저서로는 『나은문집(懶隱文集)』이 있다. 시호는 충간(忠簡)이다.
[생원] 숙종(肅宗) 1년(1675) 을묘(乙卯) 증광시(增廣試) [생원] 3등(三等) 3위(33/100)
[이력사항]
선발인원 35명 [甲3‧乙7‧丙25]
전력 통덕랑(通德郞)
관직 승정원승지(承政院承旨)
문과시제 잠(箴):경덕기명(敬德祈命)
타과 1675년(숙종 1) 을묘(乙卯) 증광시(增廣試) 생원(生員) 3등(三等) 3위
부모구존 자시하(慈侍下)(주4)【補】
[가족사항]
[부(父)]
성명 : 이운익(李雲翼)
관직 : 학생(學生)(주5)【補】
[조부(祖父)]
성명 : 이지형(李之馨)
[증조부(曾祖父)]
성명 : 이일도(李逸道)
[외조부(外祖父)]
성명 : 김기후(金基厚)[生](주6)
본관 : 순천(順天)【補】
[처부(妻父)]
성명 : 권협(權鋏)(주7)
본관 : 안동(安東)【補】
[안항(鴈行)]
제(弟) : 이세표(李世標)【補】(주8)
[가족과거]
숙부(叔父) : 이명익(李溟翼)[文]
자(子) : 이제겸(李濟兼)[文]
[주 1] 호 : 『옥천집(玉川集)』 卷之16, 行狀, [나은 이공선생행장(懶隱李公先生行狀)]을 참고하여 호를 추가. 행장에는 호가 나계(蘿溪), 나은(懶隱), 고산(孤山), 담암(澹菴) 등이 나옴.
[주 2] 시호 : 『정조실록』 25권, 정조 12년(1788) 4월 6일 기사를 참고하여 시호를 추가.
[주 3] 거주지 : 『계해증광별시문무과방목(癸亥增廣別試文武科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234])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거주지를 추가.
[주 4] 구존 : 『계해증광별시문무과방목(癸亥增廣別試文武科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234])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모 구존을 추가.
[주 5] 부관직 : 『계해증광별시문무과방목(癸亥增廣別試文武科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234])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부 관직을 추가.
[주 6] 외조부 : 『고산집(孤山集)』 卷之8, 墓碣銘, [생원 순천 김공묘갈명(生員順天金公墓碣銘)]을 참고하여 외조부 본관을 추가.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 내의 급제 기록에는 외조부가 "김후기(金厚基)"로 나옴.
[주 7] 처부 : 『옥천집(玉川集)』 卷之16, 行狀, [나은 이공선생행장(懶隱李公先生行狀)]을 참고하여 처부 본관을 추가.
[주 8] 안항 : 『고산집(孤山集)』 卷之8, 墓碣銘, [생원 순천 김공묘갈명(生員順天金公墓碣銘)]과 『계해증광별시문무과방목(癸亥增廣別試文武科榜目)』(국립중앙도서관[古6024-234]) 내의 급제 기록을 참고하여 안항을 추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卷之十三(규장각한국학연구원[奎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