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본 메세지] ---------------------
秋日書懷님아~~ 넘 길어요...
읽기 지루하면 어떠카죠??
글구 비공개로 하면 문제 안풀어주신다구요??
그럼 클나니깐 이글 쓰고 바루 모두공개루 수정하겠슴다...
오늘은 객관식만...
주관식 쓸려면 시간이 쫌 걸릴듯.......^^;;
####################################################################
1. 다음 중 이론적인 타당성보다는 보수주의의 개념에 충실하여 현행실무
로 인정되고 있는 회계처리방법을 옳게 나열한 것은?
1) 후입선출밥에 따라 기말재고자산을 평가한다.
2) 정액법보다는 가속상각법을 적용하여 상각한다.
3) 우발손실은 당기에 인식하나 미실현수익은 실현될 때까지 계상하지
않는다.
4) 미지급비용은 합리적으로 계산하여 인식한다.
5) 대손상각성을 합리적으로 추정하여 채권가액에서 차감표시한다.
6) 역사적 원가에 의하여 자산을 평가함을 원칙으로 한다.
① 2,3,5,6
② 1,2,3,5
③ 2,3,5
④ 1,3,4
⑤ 2,3
--> (2)번
2.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① 취득원가를 기준으로 작성된 재무정보는 다른 평가방법에 의해
작성한 재무정보보다 신뢰성이 있고 목적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 목적적합성은 아님.
② 회계기간말에 수정분개를 수행할 수 있는 주요 근거는 계속기업의
가정과 중요성의 개념이다.
-> 중요성이 아님.
③ 반기 또는 중간보고서는 회계정보의 목적적합성 측면에서는 바람직
하지만 신뢰성 측면에서는 의문이 제기될 수도 있다.
-> 정답
④ 실현주의원칙이란 수익은 실현되었을 때에 인식하고 비용도 관련된
수익이 인식되는 기간에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 비용은 발생할 때 인식.
⑤ 실현주의원칙이란 수익은 실현되었을 때에 인식하고 비용은 관련된
수익이 보고되는 기간에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 왜 같은 내용 또 쓰지?
3. 다음 중 유가증권에 대한 설명 중 틀린것은?
1) 유가증권으로 계상되기 위해서는 당해 유가증권의 취득이 단기적
자금운용목적이어야한다.
2) 주식이 유가증권으로 계상되기 위해서는 시장성이 있어야 한다.
3) 사채의 마기가 10년 후라 하더라도 단기적 자금운용목적으로
취득한 경우에는 유가증권을 계상할 수 있다.
-> 마기가 아니라 만기죠? ^^
4) 관계회사가 발행한 사채는 유가증권에 계상할 수 없다.
-> 개별재무제표에는 보고할 수 있을껄요..? 정답.
5) 유가증권계정에 계상된 주식이 시장성을 상실한 경우에는 투자유가
증권으로 계정대체한다.
4. 다음은 매출채군에 대한 대손추정방법을 열거한 것이다.
수익.비용 대응의 관점에서 가정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방법은?
1) 연령조사표에 의하여 추정
-> 매출채권 잔액을 기준으로 하니 대차대조표적 접근방법
2) 회수불능채권에 대해서 상각
3) 과거의 경험률에 의하여 추정
4) 신용매출액의 일정비율로 추정
-> 수익이 발생한 시점에 인식하므로 이것이 정답!!
5) 매출채권잔액의 일정비율로 추정
5. 2001년 9월 16일에 매출거래대금으로 90일 만기의 이자부 어음
(연이율12%, 액면가액 100,000원)을 받아 보유하던 중,
만기일 전인 11울 16일에 운전자금이 급해 필요하여 거래은행에
연 할인율 15%를 적용받아 현금으로 할인하였다.
11월 16일 어음할인시 적절한 분개는?
-> 계산기 없어여. 귀챦아.. ^^;
(1개월을 30일, 1년을 360일로 간주하고 계산)
6. 재고자산과 관련된 기업회계기준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위탁판매의 경우 수탁자가 판매한 날에 위탁자의 재고자산을 감소
시켜야 한다.
2) 지속적인 가격상승의 경우 후입선출법에 의한 재고자산의 평가는
평균법에 의한 재고자산의 평가보다 작은 당기순이익을 계상하게
된다.
3) 총평균법을 사용하여 재고자산을 평가하는 경우 대차대조표가액과
순실현가능 가액의 차이와 그 내용을 주석으로 공시하여야 한다.
-> 이거다. ^^
4) 매입운임은 매입한 상품의 취득원가에 가산한다.
5) 제조기간이 장기인 재고자산에 사용된 차입금에 대하여 취득시까지
발행한 이자비용 등은 당해 자산의 취득원가에 산입한다.
7. 다음은 재고자산의 취득원가산정과 관련된 내용이다. 틀린것은?
1) 재고자산을 수입하는 경우 선적시 인도기준인 경우에는 운송비를
재고자산의 취득원가로 처리한다.
2) 매입에누리와 환출은 상품의 총매입액에서 차감한다.
3) 자가건설한 재고자산은 전부원가계산방법에 의하여 취득원가를
결정한다.
-> 전부원가계산법이 뭐죠? 이거 찍자!
4) 매입할인은 영업외수익 항목이므로 취득원가산정과는 관련이 없다.
5) 재고자산이 취득원가는 판매가능한 상태가 있기까지 소요된
지출액으로 한다.
8. 다음은 상품매입과 매출에 대한 회계처리방법인 계속기록법과
실지재고조사법에 관련된 설명이다. 옳지 않은것은?
1) 계속기록법에서는 상품관련계정이 결산정리분개가 요구된다.
2) 계속기록법에서는 판매가 이루어질 때마다 해당 판매에서의
매출원가를 계산해 주어야 한다.
3) 계속기록법에서는 기중에도 (재고)상품계정의 잔액을 구하면
재고상품 금액을 파악할 수 있다.
-> 거래를 확인해야함.
4) 재고조사법에서는 기말에 실제로 남아있는 재고금액을 조사하여
매출원가를 기말에 구한다.
5) 계속기록법을 사용하더라도 기말의 재고를 파악하기 위하여
재고조사법을 병행하여 적용할 수 있다.
9. 다음은 재고자산평가방법 중 후입선출법이 갖는 단점들을 열거한
것이다. 이 중 타당하지 않는 설명은?
1) 재고자산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때 대차대조표상에 기말재고
자산이 일반적으로 과소표시됨으로써 기업의 운전자본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기업의 지급능력이 과소평가된다.
2) 후입선출법의 원가흐름이 일반적으로 재고자산의 물적흐름을 반영
하지 못한다.
3) 경영자가 보고이익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재고자산을 구입하지 않고
일부러 고갈시킴으로써 비자발적 청산을 유발하게 되는 불건전한
구매습관을 조장한다.
4) 재고자산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가운데 기초재고에 비해
기말재고수량이 증가할 경우 오래된 재고층이 감소함으로써 낮은
원가가 현행판매가격에 대응되므로 비자발적 청산문제가 나타난다.
-> 기말재고가 증가가 아니라 감소여요.!!
5) 재고자산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할 때 보고이익이 과소표시되므
로 경영자 입장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성과평가의 결과를 가져오
므로 이 방법의 사용을 꺼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