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태극기는 평화, 통일, 창조, 영원, 조화를 뜻하는데
태극의 적색은 존귀와 양을 뜻하며, 청색은 희망과 음을 뜻한다. 청,홍 음양은 창조의 정신을 의미 하고 태극은 우주 본원의 음과 양을 표시하며 음과 양은 상대성을뜻한다 원형속의 음,양 은 상하가 화합하여 태극이 이루어지고 천지 만물은 음과 양의 신비한 배합에서 창조 되 어 음양 의 이치에 따라 창조의 정신을 표현 한 것임. 건(乾) 하늘과 봄 동쪽 그리고 인을 뜻함 곤(坤) 땅과 여름 서쪽 그리고 의를 뜻함 감(坎) 달과 겨울 북쪽 그리고 지를 뜻함 리(離) 해와 가을 남쪽 그리고 예 우리나라 에서는 하절기에인 3월부터 10월 까지는 오전 7시에 달고, 오후 6시에 내리기로 되었있으며, 동절기인 11월분에서 다음해 2월까지는 오전 7시에 달고 오후5시에 내리기로 되어 있지만 이것을 지키는 사람은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드물다고 한다. 국기의 게양법은 경축일과 평상시의 경우는 깃봉과 깃면의 사이를 떼지 않으며 조의를 표하는 경우는 깃봉에서 기폭만큼 내려서 단다. 국기를 게양하는 위치는 단독주택일경우는 밖에서 보아 대문 왼쪽에 개양하고 공동 주택일경우는 밖에서 보아 앞쪽 베란다 왼쪽에 게양을 한다. 아픔과 슬픔 그리고 우리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우리국기는 소중하게 다뤄야 한다. 그러면 국기를 바르게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국기가 훼손되었을 경우는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지 말고 깨끗하게 태워버리거나 국기에 때가 묻었거나 구겨진 경우는 깨끗이 빨거나 다려서 사용하도록 하고 수기관리는 많은 사람이 모이는 행사에서 사용되는 수기는 함부로 버려서는 안되며, 보관이 필요 없을 경우에 모아서 태우도록 하기로 되어있다. 흥사단 단기가를 알아보자, 황금같이 순결하고 열혈같이 붉었도 다청천같이 푸르렀고 백일같이 뚜렸하다 두날개를 널리피어 향상하고 전진하네 광명하다 이 깃발이 흥사단의 대표일세 기러기야 내단기야 너는 나의 사랑이요너는 나의 인도로다 영원토록 같이하세 (-도산 안창호-) 국기의 제정을 알아보자 국기 라는것은 한나라의 권위와 존엄을 상징하는 표상으로써 그 나라의 전통과 이상을 특정의 빛깔과 모양으로 나타낸 것인데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국기문제가 논의 된 것은 1875년 개항을 요구하며 인천 앞바다에 접근한 일본군함에 발포한 "운요호" 사건이 계기가 되었다. 1882넌 음력8월 특명전권대신 겸 수신사인 박영효 일행이 일본에 갔을 때 태극 도형과 4괘가 그려진 태극기를 고종의 명에 의해서 제작 하여 우리나라의 국기로 사용 하였으며 1883년 음력1월 고종은 왕명으로 태극도형과 4괘가 그려진 국기를 공식으로 제정 . 반포 하였으나 그 구체적인 제작 과 사용방법등을 규정하지는 않았 다. 그후에 애국선열들이 독립운동에 바친 고귀한 희생의 현장과 조국광복을 맞는 기쁨의 현장에서 우리 민족과 함께 애환을 함께 하였다. 1949년 10월 15일에 대한민국국기시정위원회에서 "국기 제작법"을 제정 문교부 고시 제2호로 공포하여 이때 까지 조금씩 다른 도안으로 사용되어 오던 태극기 문양을 하나로 통일 하였음.대한민국국기시정위원회는 그때 당시 사학자 ,언론인 , 미술가등 사계 권위자 42명으로 구성 되었음
1984년 2월 21일 국기의 제작,게양방법등 기본적인 사항을 정한 "대한민국 국기에 관한규정"을 대통령령 제11361호로 제정 공포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음. 태극기 그리기 ① 깃면은 바탕을 흰색으로 하고, 길이와 너비의 비율은 3 : 2로 한다. ② 태극은 깃면의 두 대각선이 서로 엇갈리는 점을 중심으로 깃면 너비의 2분의 1을 지름으로 하는원을 그린 다음, 두 대각선 중 왼쪽 위 모서리에서 오른쪽 아랫모서리로 그어진 대각선상의 원의지름을 2등분 하여, 왼쪽 부분에 원지름의 2분의 1(깃면 너비의 4분의 1)을 지름으로 하는 반원을대각선 아랫부분에 그리고, 그 오른쪽 부분에 같은 크기의 반원을 대각선의 윗부분에 그린다.반원으로 연결된 원의 윗부분은 빨간 색(진홍색) 으로, 그 아랫부분은 파란색(아청색)으로 한다. |
첫댓글 모든 나라가 다 그렇겠 지만
특히나 우리 나라의 국기와 애국가는
그냥 된것이 아난가 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