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년 전쯤 견학차 개성공단에 다녀 온 적이 있었습니다.
다녀와서는 그 소회를 적어 근무하고 있던 곳의 게시판에도 글을 올렸었습니다.
당시 누군가 힐난하듯
'간이 배 밖으로 나온 것 아니냐'며 위협처럼 말하기도 했던 것 같습니다.
이제 두 번으로 정권이 바뀌었고,
당시 화해와 적극적인 교류협력을 추구하던 당시의 정책기조에 반하는 내용이었기 때문일 것입니다.
화해와 협력, 공동의 번영을 추구한다는 상징적인 산물이기도 했던 개성공단은
우리가 만든 것이었으되 기약할 수 없음으로 갈 수 없는 곳이 되었습니다.
마음 놓을 수 없는 불편한 곳이었지만 생업을 영위하던 우리의 기업가와 관리자들,
아침이면 출근하여 따뜻한 점심과 초코파이까지 챙겨 개성시로 퇴근하던 많은 북한의 노동자들,
그들은 이제 일자리를 잃었습니다.
영국의 일간지 '가디언'은 최근 기사에서
'초코파이는 북한에서 전설적 지위에 올랐다. 마시멜로로 채운 작고 둥근 초코파이가 세계에서 가장 폐쇄적인
북한을 서서히 변화시킬 것'이라는 기사를 냈다고 했습니다.
공단에서 북한의 노동자들에게 나눠지던 초코파이는 간삭의 범위를 넘어 비공식적인 수당과 같은 것이었고
원시적인 물물교환의 수단처럼 통화의 기능도 했었을 것입니다.
이제 6년이 지나 그곳을 다녀왔을 적의 소회는 다시 초코파이로 개성공단의 아픔을 상징하고 싶은 마음을 가져야 했습니다.
그것은 영국의 일간지보도와는 다른 측면으로 오히려 그 초코파이로 인해 북한의 철도 없는 지존은 공단의 원상회복과
추가적인 교류의 문을 쉽게 열 수 없을, 족쇄 같은 것이 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때문이었습니다.
한 달에 달러로 전달되는 수십억이 필요한 것은 당연한 것이지만
권력의 연장내지는 확장 이외에는,
그곳에서 일하던 사람들의 피를 토하는 것 같은 애환과 상실감은 관심 밖의 일일 것이기 때문입니다.
결국 6년 전이나 지금이나 지독한 보수꼴통의 한계를 넘어서지 못하는 것 같은,
안타까운 자괴감이나 가져야 했습니다.
아래글은 6년전에 적었던 글의 일부입니다.
황성옛터에 밤이 되니 월색만 고요해
폐허에 설운 회포를 말하여 주노라
남인수의 애절한 노랫자락이 잡혀지는 '황성옛터의 한 구절입니다.
그 황성옛터가 멀지않은 곳에 다녀왔습니다.
황성은 고려의 궁궐이었던 만월대를 지칭하는 표현.
만월대는 개성 송악산 남쪽 기슭에 고려 태조 2년(919)에 창건된 이래 공민왕 10년(1361)
홍건적에게 소실되기까지 오백년 가까이 고려왕조와 흥망성쇠를 함께한 곳.
그러나 세월은 흘러 두번째 절의 노래가사
'성은 허물어져 빈터인데 방초만 푸르러
세상이 허무한 것을 말하여 주노라' 라는 그대로입니다.
개인적으로 지상에서 가장 위대한 아비를 둔 한 인간이 그 아비를 쫓아 전지전능한 신으로 존재하는 나라.
그 보잘것 없는 한 인간이 모든 인민의 생사화복을 주장하는 나라
그 옛날 대국의 지존처럼 큰소리치며 조공을 챙기는, 세상에서 뛰어난 능력있는 인간이 존재하는 나라
스피드를 즐기고 영화광이며 온갖 쾌락의 늪에 빠진 패륜아라고 알려주다가
직접 그 지존을 알현하고는 '통 큰 지도자'라며 추켜세워지기도 했던 단벌신사가 존재하는 나라.
국경을 넘어 인간이 인간으로 인한 폐해가 얼마나 큰 것인가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동토의 왕국처럼,
이제는 남북교류협력의 상징적 장소라는 개성공단엘 다녀온 것입니다.
두시간여 언덕 하나없이 달리던 중국의 텐진에서 베이징구간처럼 한강과 임진강을 끼고
언덕하나 없는 넓게 트인 길을 시원스럽게 달렸고. 그러나 강쪽으로는 철책이 가로막고 서 있습니다.
통일대교를 건너고 민간인통제선을 지나 CIQ(관세: customs, 출입국 심사:immigration, 검역:quarantine) 가
위치해있는 도라산역.
북한관계자들은 '북한' '남한'이라는
표현보다는 '북측' '남측'이라는 표현을 좋아한다는 것이고이면에는 허울좋은 '하나의 민족'이라는 배경이 깔려있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입국'이라는 표현보다는 '입경'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는.
'수류탄돼지'라고 했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도 있었습니다.
누군가 '전기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출산율이 높다'고 해 한참을 웃었습니다.
철천지 원수놈들이라는 미 제국주의의 지폐가 통용되는 아이러니를 연출하고도 있었습니다.
동서는 일주일에 한번씩 들어오는데 어제가 들어왔던 날이라 만나지는 못했습니다.
더불어 평화를 모색할 수 있는.
그러나 결국은 이 왕국에 존재하는 절대자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져야 할 것이라는 생각.더 늘려가고 자식에게까지 물려줄 수 있을까 하는 것만
관심사 일거라는 생각은 혹시 '수구꼴통'적인 식견의 발로?
|
첫댓글 아! 초코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