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 장 간 |
여 기 |
중 기 |
정 기 |
지 지/ 辰 |
乙 |
癸 |
戊 |
辰土는 지장간 정기/戊土가 자리를 잡아 陽土로 대변하고 있으며 지장간 중기에 癸水가 들어있는 것은 같은 습토인 丑土보다 한습(寒濕)의 기운이 강하게 작용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사주월지에 辰土가 자리 잡고 있다면 水氣의 기운이 강하게 작용하는 것이며 만일 甲木/乙木 일간이 진월에 태어났다면 지장간 癸水/乙木의 생조를 받게 되므로 辰土자체가 일간 甲木/乙木을 완벽하게 상극하지 못한다.
한편으로 볼 때 丙火/丁火 일간이 辰월에 태어나 신왕하면 신왕한 일간을 자연스럽게 누출하는 辰土는 조후법을 충족하는 용신의 성질이 되며 그와 달리 丙火/丁火 일간이 辰월에 태어나 신약으로 귀착하면 이때는 신약한 일간을 火生土로 흡수하여 신약을 더욱 더 부채질하게 된다.
더하여 壬水/癸水 일간이 辰월에 태어났다면 일간 壬水/癸水를 土剋水로 상극하지 못하는데 그것은 월지/辰土가 水氣를 머금은 습토이기 때문이며 같은 맥락으로 庚金/辛金 일간이 사주 내 戌土/未土를 만나면 土生金으로 일간 庚金/辛金을 완벽하게 생조하지 못하는 것은 戌土/未土 가 火氣를 머금은 조토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태어난 계절이 辰월이라면 水氣를 머금은 습토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것이며 이는 水氣를 필요로 한 사주팔자의 조후법(調候法)을 충족시키고도 남음이 있다.
첫댓글 辰土 를 龍에 비유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子中癸水가 戊土의 영향으로 水탈기 木出된후 木氣가 다하여 火로 진화되어 가는 과정중 辰土(융화)를 놓아 火多木焚之象이 되지 않고 順하게 순환되어지는 형상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다만 辰戌丑未와 巳火는 변화가 다단하여 깊은 관찰을 要한다 하겠습니다. 만약 명조가 조(燥)하여 있고 천간으로 甲.丙.戊 를 보고 있다면 辰中의 癸水는 작용이 안되므로 그때는 火氣를 회기 시키지 못하고 戊土가 작열하니 乾水가 됩니다. 四庫와 巳火는 변화가 무쌍하여 일률적으로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사료되어 몇자 올리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네. 댓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진토는 지장간에 을,계,무가 있어 통근에 있어, 6개의 지지가 나옵니다. 갑,을목,임,계수,무기토가 됩니다. 그러므로 진,술,축미는 다양한 변화의 통변이 됩니다.
네.댓글 감사합니다.
잘 보았습니다_()_
경신금 일간이 /술.미토는 조토로서 생조불리하지만
천간 임수가 있는경우는 완화된다 봅니다.
진토의경우 / 무토사령인경우는 상황에따라
통변이 달라질수 있을것 입니다.
네. 이글을 올린것은 진토의 성질을 재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억부와 조후의 상관관계를 벗겨보자 함이니 본각님께서도 취할 것이 있으면 취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여깁니다. 다음엔 축토의 성질을 올려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운현선생님의 글내용을 내 사주에 적용해보니
수긍이 많이 감니다. 수고하셨읍니다.
네.도움이 되었다니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