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이미 지난 일을 아쉬워하는 글을 상당히 자주 썼는데 이 글도 그런 유형입니다. 그러니 진지하게 읽을 필요는 없습니다.
조선시대의 전통적인 지역 중심지(충주,상주,공주 등)들은 주로 내륙 수운의 요충에 있었는데 구한말 이후 조선이 외국에 문을 열고
일제 시대에 철도가 깔리면서 철도가 비껴간 전통 도시들은 쇠퇴하고 항구도시(부산,마산 등) 나 철도 교통의 요지(대전,대구 등)에
도시가 발전하게 되죠. 해방 후 남한에서도 그 추세가 크게 변함없이 가면서 그 중에서도 수도권, 경부축 위주로 도시가 발전하는데
예외가 둘 있습니다. 바로 전주와 청주. 두 도시는 모두 전통 지역 중심지이면서 철도 교통의 요충지가 살짝 비껴간 위치에 있다는
공통점이 있죠. 그런데도 이 두 도시는 여전히 지역 중심지로서 전북,충북 최대 도시로 남았는데 바로 도청소재지였던 덕분입니다. 공주,충주,상주 등처럼 주요 철도 노선에서 아예 벗어난 것은 아니어서 근처에 철도 중심지가 있으며, 부지가
넓다는 장점도 있어서 여전히 지역 중심지로 기능하고 있고, 고속도로가 이 두 도시 수요를 고려해서 놓인 덕에 앞으로도 쇠퇴할 것 같지가
않습니다.
그런데 제가 아쉬워 하는 건 이 사실이 우리나라 간선 철도 교통에 꽤 방해가 되었다고 생각히기 때문입니다. 청주나 전주의 역 접근성을 감안해서 철도 노선을 결정하자니 철도 선형이 이상해지거나 공사 난이도가 올라가죠. 토목 기술의
발전으로 산악 지대에 철도 놓기가 어렵지는 않게 되었지만 현재 간선철도망 전체적으로 봤을 때 두 도시는 주요 간선에서 벗어나
있습니다. 억지로 청주에 경부고속선을 끌어들인 오송역이 오송 드리프트란 소리를 듣고 청주 수요를 모두 끌어들이지 못하고 있는 걸 보면
쉽게 알 수 있지요. 호남고속선도 전주 수요를 끌어들이지 못해서 꽤 운용 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기도 합니다.
만일 청주 대신 조치원+오송이 충북 도청 소재지로 청주 역할을 대신하고, 전주 대신 익산이 전북 도청 소재지가 되어서 전주 역할을 대신했다면 어땠을까요? 지역 개발이 훨씬 더 수월했을 거라고 봅니다. 교통 중심지와 행정 중심지가 별개여서 생기는 거점 개발의 곤란함이 없었겠지요. 결국 일본이 전통적인 한반도의 지역 구조를 완전히 개편하지 않은 흔적으로 남은 것이 두 도시고 이는 새로운 국토 네트워크에서 두 도시가 약간의 불협화음을 내게 된 근본원인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첫댓글 조치원은 세종시로 넘어가기 전에도 충청남도였습니다만.
아무리 만약이라고 하지만 연기군을 충북으로 편입해서 충북도청을 그쪽으로 옮기려했었다면 이건 너무 무리가 아닐까요?
오송으로 옮기면 됐죠.조치원은 자연히 연담되었을 겁니다
@railroad 오송은 10년 전만해도 허허벌판이었습니다. 거기다 오송을 지나는 충북선은 청주도 지나가지요..
@가디언 그러니까 일찍부터 오송을 신도시로 개발했어야 한다는 거지요. 그리고 충북선-경부선 환승보다는 조치원에서 바로 경부선을 이용하면 훨씬 편리하니까요.
@railroad 가볍게 쓰신 글이라고 가볍게 댓글을 달았더니 계속된 주장이 좀 답답하네요. 철도만 중요하지 도청이 뭐하는 곳인지에 대한 기본적인 생각은 안하시는 듯. 순전히 철도 하나 때문에 타 도와 딱 붙어 있어서 도시의 절반이 충남으로 넘어가게 되는 곳에다 도청을 설치하자는 발상은 참 뭐랄까, 좀 무모하다고 생각되네요. 명색이 도청소재지가 도시 기능의 절반이 타 도로 넘어가는 상황이라면 해당 도에서는 세수도 그렇고 인구문제도 그렇고 도시계획도 그렇고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는데 그럴 게 뻔한 곳에다 도청을 만들자는건 애초에 말이 안되는 얘기죠.
@khacha 예, 제 반론을 심각하게 생각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제 의견을 관철해봤자 과거가 바뀌지는 않지요. 어쨌든 전 대전 사례를 봐서 오송으로 도청을 옮기고 신도시를 개발했으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거지요. 대전에서 가능했으면 충북에서도 되지 않았을까 생각이 들어서요.
경부선 조치원역은 청주시민들이 많이 이용을 합니다.
청주시내에서 멀어서 접근성이 좋지 않지만 이용객이 어느 정도 있죠.
아마 청주가 아니었으면 조치원은 그렇게 발전하지 못했을 것 같아요.
경부철도가 청주를 비껴간 것은 청주의 유림들이 반대를 해서 그렇다고 알려져있습니다.
반대가 없었다면 청주시내 중심을 통과했을 거라고 합니다.
원래 전통적으로 경상~서울 경유지로 문경새재,조령,수리티재 등이 많이 이용되었고
저곳을 통과하면 충주,음성,청주 방면으로 가게되죠.
지금도 저 노선으로 건설하면 더 짧고 빠르다고 하는 것 같아요.
다만 현재는 대전이 워낙 크고 교통수요가 많아서 대전을 경유하는 것이죠.
청주 유림 반대가 원인이었을 리는 없습니다. 일본이 유림 반대 정도로 철도 노선을 꺾었을 시대가 아닙니다. 엔하위키 말을 믿는다면 경부선을 급하게 놓을 사정이 생겨서 최단시간,최단거리로 철도를 놓으려고 한 결과가 지금의 경부선이란 거죠.
@railroad 유림의 반대가 있었던 건 맞구요. 다만 지금의 노선이 확정된 건 최단시간에 철도를 완성하려다보니 언덕이 가장 완만한 추풍령을 선택하게 된 거고, 그래서 자연스레 대전~천안으로 이어지는 노선이 결정된 겁니다. 대전~조치원~천안은 큰 산이 없지만, 청주~천안 구간은 산이 많아서 공사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컸습니다.
@민 상 준 경부선이 청주를 경유하려면 서울에서 출발할 때부터 전혀 다른 길로 깔아야했죠. 지금의 수원-천안-조치원이 아니라 용인-양지-죽산-진천-청주로 놓는 안도 일본이 고려했다고 합니다.
철도 건설에 반대하는 주민들을 무참히 살육하고 토지수용절차는커녕 강제로 빼앗으며
경부 경의 호남선 등을 부설한 일본제국주의 침략자들입니다. 유림의 반대가 있었다고 해서 장애요소는 되지 않았을 것이고 거리는 길지만 대신 지형이 평탄하다는 점과 호남선 등과의 연결 등을 고려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