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무형유산 평균 나이 75세 ‘인간문화재’ 역시 고령화 늪… ‘전통문화 단절’
안녕하세요. 일요서울입니다.
최근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제99호
‘소반장’ 보유자인 고(故) 추용호 장인이
갑작스럽게 사망했답니다.
이에 국가무형유산 전승 단절 위기 문제가
재차 불거지기 시작했습니다.
추 장인은 향년 74세로 자신의 공방 마당에서 사망했고,
시간이 지나 발견돼 안타까움을 자아냈답니다.
한편, 추 장인이 보유한 ‘통영 소반’ 제작 기술은
전수할 인물이 없어져 명맥이 끊길 위기에 처했습니다.
‘인간문화재’로 칭해지는 국가무형유산 보유자들의
고령화로 문화유산 지속성이 거듭 위협받고 있는데요.
이기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가유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가무형유산 전승자 현황을 확인한 결과,
보유자 평균 연령은 75.2세에 달하고,
전승교육사 또한 64.4세로 고령화됐답니다.
무형유산 종목 멸종 ‘초읽기’
국가무형유산 종목별 보유자가 부재하거나
극소수인 경우도 눈에 띄었답니다.
현재 국가무형유산 전체 160개 종목 중
보유자가 0명인 종목은 6개(3.8%),
보유자가 1명인 종목은 63개(39.4%)에 달하며,
보유자가 1명인 종목에는 개인 종목이 36개,
단체 종목이 27개 포함돼 있습니다.
보유자가 0명 또는 1명인 개인종목 36개 중
전승교육사마저 없는 종목이 20개(55.5%)에 달해
전통문화의 명맥이 끊길 위험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보유자가 0명인 국가무형유산 6종목 중
△나주의샛골나이 △바디장 △배첩장 등 3종목은
전승교육사 마저 없는 상황입니다.
국가유산청은 보유자 부재가 장기간 계속되고 있는
△나주의샛골나이(2017년부터 부재) △백동연죽장(2018년부터 부재)
△바디장(2006년부터 부재)을
국가긴급보호무형유산 종목으로 지정해
발굴을 위한 관리를 하고 있다고 밝혔답니다.
국가긴급보호무형유산 종목에 대해
▲ 전문가 컨설턴트 매칭 및 컨설팅 지원
▲ 컨설턴트 자문 통한 공방개선 및 재료비구입비 지원
▲ 종목전승 현황조사 및 개선방안 등 연구용역
▲ 보유자 및 예비보유자 유입 홍보 등
지원사업이 이뤄지고 있답니다.
올해 예산으로는 1억6000만 원이 편성됐으며,
보유자가 부재한 나머지 3종목에 대해서는
보유자 인정 조사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는데요.
이를 두고 이기헌 의원은
“보유자와 전승교육사의 부재는
전통문화의 단절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이 의원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정책적 지원이 없다면
우리나라의 소중한 문화유산 중 일부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위기에 처해질 것”이라며
“더 많은 보유자와 전승교육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라고 밝혔습니다.
무형유산, 중국의 침탈 시도 계속돼
국내에서 인간문화재 명맥이 끊길 위기와 함께
중국의 문화 동북공정이 성행합니다.
아리랑, 판소리 등 한국의 무형유산 101건이
중국의 유산으로 지정됐답니다.
일각에서는 “정부는 그 지정 시기조차 파악하지 못하는
안이한 대응으로 일관한다”라는 비판을 제기했답니다.
박수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4일 국가유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중국이 자국 문화유산으로 지정한 한국 유산 현황’ 자료에 따르면,
조선족 관련이라는 명목으로 중국
‘국가급’ 무형유산으로 20건,
‘성(省)급’ 유산으로 81건의 한국 유산이 지정 관리되고 있었습니다.
특히, 중국 국가급 무형유산 20건은
유네스코 등재 추진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답니다.
이런 이유로 선제적인 등재 노력이 시급하지만,
20건 중 실제 한국이 유네스코에 등재한 것은
아리랑, 농악(農樂), 판소리, 씨름, 김장문화 등
5건에 불과합니다.
방치된 나머지 15건 중 7건은 유네스코 등재는커녕
국내 국가유산 지정도 받지 못해
중국 유산으로만 지정돼 있는 실정입니다.
이들 7건은 퉁소음악, 해금, 삼노인(만담),
널뛰기·그네뛰기, 전통혼례, 회갑례, 회혼례 등.
“중국 문화침탈, 정부 안일한 대응이 자초”
박 의원은 “중국의 문화침탈에 대한 안이한 대응은
한국 정부의 기본 입장과도 일맥상통한다”라고 지적했는데요.
박수현 의원실은 중국이 한국 무형유산을
자국의 문화로 지정하는 문제를 두고
국가유산청에 서면 답변을 요청했답니다.
이에 국가유산청은
“중국이 조선족 무형유산을 유네스코 목록으로 신청할 경우
외교부 등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의하여
대응하겠다”라는 입장을 밝혔지만
박수현 의원실은 “굳이 중국이 유네스코 목록으로
신청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대응할 일인지”라며
의문을 내비쳤답니다.
또 박수현 의원실은
“정부 입장이 이렇다 보니 기본적 사실관계 파악과
대책 마련의 노력도 보이지 않는다”라고 밝혔습니다.
국가유산청은 “중국이 한국 무형유산을
자국의 무형유산으로 지정한 시기를 파악한 자료도,
중국의 문화침탈 행위에 대응한 연구용역도
별도로 수행한 적이 없다”라고 서면 답변했습니다.
日 ‘사도광산’도 정부 노력 끝에 이뤄진 결과
실제, 전 국민적 공분을 일으켰던
‘사도광산’은 일본 시민단체인
‘세계문화유산을 생각하는 모임’이
1997년 처음 세계유산 등재 운동을 시작했답니다.
2007년 ‘세계유산 잠정 일람표 후보’로‘사도광산’을
자국 정부에 처음 제출한 이래, 17년간의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일본 정부 및 사도시와 나카다현도
전 세계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홍보 활동을 펼치며,
매우 큰 역할을 했는데요.
시민단체의 등록 운동까지 거슬러 올라가면
대략 30년 가까이 공을 들인 셈입니다.
중국은 ‘국가급’ 무형유산으로 지정한
20건의 한국 유산 중 하나인 ‘농악무(農樂舞)’를
2009년 유네스코에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했답니다.
우리나라는 5년이나 늦은 2014년에야
‘농악’을 유네스코에 등재한 늑장 대응 경험이 있습니다.
2009년 중국의 농악무 유네스코 등재의
당혹함을 경험하고도 현재까지 충분한 고민과
대안 마련의 노력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
15년 동안 직무를 유기했다는 비판이 제기되는
이유인 셈입니다.
박 의원은 이런 국가유산청의 대응을 두고
“과거의 선례에서 어떠한 교훈도 얻지 못한
정부의 직무 유기”라며
“문화와 역사의 문제는 장기간에 걸친
철저한 준비와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라고 밝혔습니다.
▼ 기사 원문 보기 ▼
▼ 지난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