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화경, 일본의 <뗀뿌라>번역과 조선의 <무개념>베끼기(27)
我滅度後 復有弟子 不聞是經 不知不覺菩薩所行 自於所得功德
生滅度想 當入涅槃 <我於餘國 作佛 更有異名>
是人雖生滅度之想 入於涅槃 而於彼土 求佛智慧 得聞是經
唯以佛乘 而得滅度 更無餘乘 除諸如來 方便說法
(화성유품 중에서)
(필자의 번역)
내가 멸도한 후, 이 가르침을 귀담아 들어본 적이 없어
보살이 행할 바를 알지도 못하고 깨닫지도 못한 채,
자신이 스스로 쌓은 공덕이 있으니 멸도하여 반드시 열반에
들겠다고 생각하며 <나는 다른 불국토에서 성불하여
다른 이름을 지니리라.>고 말하는 성급한 제자들도 또한 있을
것입니다.
이 제자들이 비록 멸도하여 열반에 들겠다는 성급한 생각에
사로잡혀있다 할지라도, 그 땅에서 이 법화경의 가르침을 귀담아
듣고 부처님의 지혜를 구해야 합니다. 오로지 부처님의 가르침에
의해서만 멸도에 이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모든 여래가 펼치는
방편설법 외에는 다른 어떤 것도 부처님의 가르침을 설해 진정한
멸도에 이르게 할 수 없습니다.
●부처님의 우려와 경계
석가모니부처님은 이 부분에서 당신이 멸도한 후, 일불승의 의미를 깨닫지
못한 제자들이 가질 수 있는 잘못된 생각을 경계하신다.
<我滅度後 復有弟子 不聞是經 不知不覺菩薩所行>가 그것이다.
즉, 내가 살아 있는 지금에도 일불승의 가르침을 듣고 이해하지 못해 보살이
행해야할 바를 알지도, 깨닫지도 못한 사람들이 있다. 하물며 내가 멸도한 후,
이 세상에 내가 더 이상 머물지 않을 때는 어떠하겠는가, 라는 부처님의 우려와
경계가 이 문장에 포함되어 있다.
“自於所得功德 生滅度想 當入涅槃 <我於餘國 作佛 更有異名>”는
상기 우려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말씀하시는 것이고,
“是人雖生滅度之想 入於涅槃 而於彼土 求佛智慧 得聞是經”는
상기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말씀하시는 것이다.
하나하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自於所得功德 生滅度想 當入涅槃 <我於餘國 作佛 更有異名>
“스스로 쌓은 공덕이 있으니, 멸도하여 반드시 열반에 들겠다고 생각하며,
<나는 다른 불국토에서 성불하여 다른 이름을 지니리라>고 말하다.”
여기서 <我於餘國 作佛 更有異名>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자신이 공덕을 쌓았으니 멸도를 생각하며 열반에 반드시 들겠다고 마음먹고
있는 바로 그 사람이다. 앞에서 열여섯 왕자가 다른 땅에서 제각기
다른 이름으로 성불했으니 이 사람도 꼭 같이 그렇게 생각할 가능성이 있다는
부처님의 우려다. 여기서 我는 復有弟子이다.
아쉽게도 이 經을 한문으로 번역한 구마라즙법사 시대에는 Quatation
Mark를 사용하지 않았다. 때문에, 이 經을 읽고 있는 현대의 우리는 經의
내용을 파악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아래에 인용한 번역문들은 <我於餘國 作佛 更有異名>을 석가모니부처님의
말씀이라 번역하고 있으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자의 시각과는 전혀
다르다.
*自於所得功德 生滅度想 當入涅槃
<스스로 쌓은 공덕이 있으니 멸도하여 반드시 열반에 들겠다고 생각하다.>
-想478 생각할 상(바라다, 추측하다)
②是人雖生滅度之想 入於涅槃 而於彼土 求佛智慧 得聞是經
<이 사람이 비록 멸도라 생각하며 열반에 든다할지라도 (진정한 멸도에
이르기 위해서는) 부처의 지혜를 구해 저 (다른)불국토에서 이 법화경의
가르침을 귀담아 들어야 한다.>
여기서 <是人> 또한 復有弟子이다. 다시 말해서, 스스로 쌓은 공덕으로
멸도하여 반드시 열반에 들겠다고 생각한 당사자다.
그리고 <彼土>는 餘國이다
또, <求佛智慧>의 <佛智慧>는 阿褥多羅三藐三菩提를 가리킨다.
●唯以佛乘 而得滅度 更無餘乘 除諸如來 方便說法
<오로지 부처님의 (직접)가르침에 의해서만 멸도에 이를 수 있다. 다른
가르침은 있을 수 없다. 그리고 부처님께서 가르침을 설한다하더라도 지금까지
모든 여래가 펼친 방편설법 외에는 달리 일불승을 가르칠 방법이 없다>
註: 更無餘乘 除諸如來 方便說法에서 <除>는 여래의 방편설법을 제외한다거나
(구經과 무비처럼), 방편으로서의 특별한 의미가 있다(니와노 닛쿄처럼)는
말이 아니다. 방편설법 외는 다른 방법이 없다는 말이다(일본번역처럼).
●아래 인용한 번역문들은 經의 이 부분에서 말하고자 하는 핵심이 무엇인지
감을 잡지 못하고 있다는 게 필자의 생각이다. 참고하시기 바란다.
(구經)
내가 滅度한 후에 또 弟子가 있어, 이 經을 듣지 못하여 보살의 행할 바를 알지
못하고 깨닫지도 못하면서, 스스로 얻은 功德으로 滅度하였다는 생각을 내어
의당 涅槃에 들려고 하리라. 그러나 내가 딴 國土에서(부처님께서 應化의 緣이
있는 국토)成佛하여 다른 이름을 지님에 미쳐, 이 사람이 비록 滅度하였다는
생각을 내어 涅槃에 들려고 할지라도 저 國土에 태어나 부처님 지혜를 구하여
이 經을 얻어 듣게 되리라. 오직 佛乘으로써(一佛乘) 滅度를 얻을 뿐, 다시 다른
乘은 없기 때문이니라. 모든 如來의 方便 說法은 除外하고서이니라.
(무비)
내가 涅槃한 뒤에 어떤 제자가 이 經을 듣지 못하며, 보살의 행할 바를 알지도
못하고 깨닫지도 못하면서 자기가 얻은 功德에 대하여 滅度하였다는 생각을
내고 마땅히 涅槃에 들 수 있다고 한다면 내가 다른 세계에서 成佛하여 다른
이름을 가지리라. 그 때에 이 사람이 비록 滅度하였다는 생각을 내어 涅槃에
든다하였더라도 저 세계에서 부처님의 지혜를 구하여 이 經典을 듣게 되리라.
오직 一佛乘이라야 滅度를 얻는 것이요, 다른 가르침은 없느니라.
다만 如來가 方便으로 法을 설하는 것은 除外할 것이니라.
(일본)
"After my extinction there will also be disciples of mine who, not
hearing this sutra, nor knowing nor apprehending the course which
bodhisattvas pursue, will by their own merits conceive the idea of
extinction and enter <what they think is> nirvana. <But> in other
domains <wherever they may go> I shall <still> be Buddha though
under different names. These people, though they conceive the idea
of extinction and enter <what they call> nirvana, yet in those
lands will seek after the Buddha-wisdom and succeed in hearing this
sutra. Only by the Buddha-vehicle will they attain <real>
extinction. There is no other vehicle except the tactful teachings
of the Tathagata.
(자설)
인용한 상기 번역문들(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한글 번역문)은 크게 두 가지
번역상의 오류를 범하고 있다, 고 본다
첫째, Quatation Mark가 없기 때문에 생기는 오류.
법화경에는 Quatation Mark가 전혀 없다. 따라서 그것이 사용되어야할
부분을 유추해서 문장의 내용과 흐름을 파악하는 것은 우리의 몫이다.
그러나 위의 번역들은 그러한 우리의 몫을 포기했거나, 잘못 파악했기 때문에
이 부분의 번역에 치명적인 오류를 범하여 독자들을 헷갈리게 하고 있다.
번역자들도 자신이 번역해 놓은 문장들이 무슨 내용인지 헷갈리기는
마찬가지일 것이다.
둘째, 일불승과 방편설법은 별개라는 오류
상기 번역을 보면, 일불승의 가르침과 방편설법을 전혀 별개로 보고 있다는
느낌을 강하게 풍긴다. 전혀 별개가 아니다. 그렇다면 일불승과 방편설법이
같은 것인가? 그것도 아니다. 일불승을 논하자면 부처님끼리는 가능하다. 아니,
부처님끼리만 가능하다. 그 외의 상대와는 논할 수도 없고 가르칠 수도 없다.
그러니 부처님께서 일불승을 일체중생들(여기에는 성문과 벽지불도 포함한다)에게
가르치겠다고 마음먹어도 방법이 없다.
여기에 등장하는 것이 방편설법이다.
다시 말해서, 일불승을 중생들에게 가르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바로
방편설법이라는 것이 이 부분의 Key Point 다.
<更無餘乘 除諸如來 方便說法>이 바로 그것이다.
다시 말해서, <모든 여래들이 사용했던 방편설법 외에는 다른 어떤 가르침도
일불승을 가르치는 데 전혀 도움이 안 된다>는 것이다.
진정한 멸도에 이르는 길은 일불승뿐이다. 일불승을 펼칠 수 있는 유일한 길이 방편설법이다.
그러니 일불승과 방편설법은 전혀 별개도 아니고, 꼭 같은 것도 아니다.
(계속)
첫댓글 고맙습니다
제가 더 고마와 해야지요. 감사요**
_()()()_
^_^
법화경에 미치지 않고서는,
이렇게 앞뒤 문맥을 이어가며 갖가지 해석법을 연구하여
부처님의 지극하신 마음을 전달하기가 쉽지않겠죠.
깊이 감사드립니다.
하하하,
정말 그러합니다.
법화경에 미쳐서 저녁 먹자는 와이프 말도 제대로 듣지 못해
하마터면 쫓겨날 뻔도....(농담)
법화경이 주는 재미에 푹 빠져 지금도 헤매는 중입니다.
헤맬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는 경전이라 생각합니다.
그처럼 허우적거리다보니
손가락에 무엇이 걸려 딸려오기도 하고요.
법화경이 주는 재미,
님도 이왕 시작하셨으면 만끽하시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