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접두사 |
+ |
어근 |
맨- |
|
손 |
들- |
|
볶- |
헛- |
|
수고 |
새- |
|
빨갛- |
군- |
|
소리 |
*접미사에 의한 파생어
어근 |
+ |
접미사 |
강 |
|
-아지 |
선생 |
|
-님 |
걸 |
|
-음 |
높 |
|
-이 |
가리 |
|
-개 |
놓 |
|
-치- |
철렁 |
|
-거리- |
꽃 |
|
-답- |
새 |
|
-롭- |
급 |
|
-히 |
⑶ 합성어
*종류
통사적 합성어 : 우리말의 일반적인 단어 배열법과 일치하는 합성법
비통사적 합성어 : 우리말의 일반적인 단어 배열법과 어긋나는 합성법
합성어
어근 |
+ |
어근 |
길 |
|
바닥 |
집 |
|
안 |
새 |
|
언니 |
날 |
|
짐승 |
어린 |
|
이 |
힘 |
|
들다 |
앞 |
|
서다 |
오 |
|
가다 |
밤 |
|
낮 |
⑷ 한자어 : 한자에 의해 형성된 단어
형성평가문제.
1. 실질형태소에 형식 형태소가 붙어서 된 단어는 ? 파생어(실질 형태소+형식형태소)
2. 단일어에 속하는 것은? 고사리(단일 형태소로 이루어짐)
3. 다음에서 어근과 접사를 잘못 나눈 것은? 맏 -어근, 아들-접사 (맏- 어근. 아들-어근)
4. 다음에서 접두사가 쓰인 것은? 맨손(맨-접두사, 손-어근)
5. 다음 접미사 중, 형용사를 동사로 만드는 것은 ? -히-
(예)밝다 ->밝히다 로 -히-는 형용사에서 동사로 만듭니다.)
6. 다음 부사 중에서 접미사의 쓰임이 바르지 않은 것은 ? 깨끗이 (깨끗히)
7. 다음에서 명사들이 합쳐져 부사가 된 것은? 밤낮 (<밤>명사 + <낮> (명사)
8. 다음에서 한자 ‘최-’가 붙을 수 없는 것은? 진실 (최는 가장 의 뜻으로 쓰였다.)
심화 학습 문제
1. 다음에서 합성어에 해당하는 것은? 얼룩소
2. 다음에서 의존 형태소로만 구성된 것은? 풋내기 (실질적인 뜻이 없는 접사)
3. 다음에서 어간과 어근이 일치하는 용언은? 검푸르다(어간 +어근)
4. 다음 중 단어의 구조로 보아 파생어는? 개살구(접두사+어근)
5. 접두사와 접미사의 공통점은? 어근에 붙어서 새 단어를 파생 한다
6. 다음 단어 중, 어군과 접사가 결합한 형태가 아닌 것은? 오가다(합성어)
7. 다음 단어 중, 접미사가 붙는 부사는? 자주(젖+우)
8. 다음에서 비통사적 합성어에 해당하는 것은? 늦더위(늦은+더위)
비통사적 합성어 : 우리말의 일반적인 단어의 배열법이 일치한다.
통사적 합성어 : 우리말의 일반적인 단어의 배열법이 어긋나는 합성어.
|
첫댓글 아. 그거로구나. 파일 용량을 넘 많이 올려서. 한달 전 숙제 지금 올리네요.. 쑥스럽구먼.. ㅎㅎ
한글 파일은 용량이 아무리 커도 올라가는 데 문제가 없을 텐데요... 암튼 수고하셨어요..^^
애쓰셨습니다.^^
정미님~ 음.. 글자를 복사해서 올리셔도 되지만 파일을 통째로 올리시면 더 많은 내용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게시판에 글쓰기 누르시고 왼편 세번째 파일버튼 누르셔서 한글파일을 통째로 올려보세요~ 단, 파일크기5메가 이하만 되요~
그렇군요.. 제가 처음 올리는 거라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