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여성시대 (피자빵만좋아해)
http://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2069519
[질문 1] 보일러 설정, 난방이 비쌀까 온수가 비쌀까?
이 질문의 답은, 온수가 비싸다! 따라서 난방수와 온수 온도를 따로 설정할 수 있는 보일러라면 온수 온도는 되도록 낮게 유지해야 한다. 난방수는 보일러 배관 안을 순환하며 계속 데워지지만, 온수는 사용 후 버려지기 때문에 빠져나간 만큼 차가운 물을 지속적으로 데워야 하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절수기를 설치하면 물을 절약할 뿐 아니라 온수를 적게 사용하므로 난방비도 줄어든다. 온수(급탕수)와 난방 비용이 따로 기재되는 아파트 고지서를 통해 검증된 사실이다. 여기서 잠깐, 온수를 적게 쓰는 깨알같은 방법!
① 겨울철에는 샤워 횟수와 샤워 시간을 줄인다(여름처럼 날마다 샤워할 필요 없다).
② 수도꼭지가 온수에 있으면 보일러가 자동으로 돌아가는 집이 있으니, 사용 후 수도꼭지를 냉수 쪽으로 돌려놓는다.
③ 온수 사용 시 보일러를 틀어놓고 한참 뜸 들이지 말고, 바로 온수를 사용해야 에너지가 절약된다.
④ 온수 온도는 40~50도 아래로 낮게 유지한다. 온수 온도가 높게 설정되어 있으면 '앗, 뜨거' 할 만큼 보일러를 돌린 다음 찬물을 섞어 온도를 낮추는 꼴이다. 우리집 보일러 온수 최저 온도는 37도인데, 한겨울에도 샤워할 때 몸이 뜨끈뜨끈해진다. R보일러의 경우, 한겨울에는 온수 한 칸으로는 좀 춥고, 온수 두 칸 정도가 따뜻했다.
[질문 2] 외출 시 보일러 전원은 꺼야 좋을까?
a
▲ 직장 보일러 사용법 보일러 직장에서는 퇴근 3시간 전에 꺼주세요~ ⓒ 신주욱
아니다. 형광등처럼 보일러 전원을 껐다 켰다 하면 에너지가 많이 소비되므로, 외출 시 끄지 말고 낮은 온도로 켜놓거나 '외출'로 돌려 놓으라는 말을 들었다. 사실이다. 보일러 동파까지 생각하면 어떤 집이든 '외출'로 설정하거나, 낮은 온도로 보일러를 틀어놓아야 한다.
그러나 에너지 측면에서만 보면, 단열이 안 되는 추운 집은 '외출'로 해놔도 보일러가 자주 돌아가니 차라리 끄는 게 낫다. 그러나 이런 집들도 한겨울에는 동파 방지를 위해 꺼놓기보다 '외출'로 해놓아야 한다. 난방비가 약간 더 나오더라도.
반대로 최신 아파트나 단열공사를 한 집은 보일러를 끄지 말고 '외출'로 해 놓거나 실내온도를 17도 정도로 약하게 유지하는 게 효과적이다. 우리집의 경우, 집에 없는 낮 시간 내내 하루는 '외출'로 해 놓고 하루는 난방수 온도를 30도로 맞춰놓은 다음 가스 사용량을 비교해 보았다. 결과적으로 난방수 온도 30도가 '외출'보다 가스를 약간 적게 사용했다.
왜냐하면 우리 집 보일러는 '외출' 기능이 동파만 막을 뿐 거의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온도가 떨어진 난방수를 데우면서 에너지를 사용하는 듯하다. 난방수 온도 30도는 실내온도 17도 정도로 다른 보일러의 '외출' 기능에 해당한다. 이처럼 각각 다른 보일러 특징이 사용설명서나 제품 홈페이지에 나와 있으니 꼭 숙지하시길! 나 역시 이사온 지 일 년 후 보일러 사용설명서를 읽다가 이 사실을 처음 알았다.
[질문 4] 실내 온도? 난방수 온도? 대체 몇 도가 좋은 거지?
보일러에 따라 실내 온도와 난방수 온도 중 하나로 난방을 조절하는데, 햇볕이 잘 들고 단열이 잘 되는 집은 실내온도를 사용하고, 단열이 좋지 않은 집은 난방수 온도로 조절한다. 그런데 햇볕이 잘 들고 단열이 잘 되는 집이라도 보일러 조절기가 난방을 안 하는 방이나 추운 곳에 붙어 있다면 난방수 온도를 사용해야 한다. 게다가 난방수 온도가 실내 온도보다 정확하기도 하다.
난방수 온도가 30~50도인 경우 거의 따뜻함을 느낄 수 없고, 55도 이상은 돼야 실내가 따뜻해진다. 겨울철 실내 적정온도는 18~20도인데, 일반적으로 난방수 온도가 55도 이상으로 보일러를 가동해야 실내온도가 18도 정도 된다. 사실 적정온도에서 가만히 있으면 약간 쌀쌀하다. 그러나 몸에 건강하고 책 읽기에도 가장 적합한 온도라고 하니, 쌀쌀할 때는 유단포를 이용하거나 10분 정도 가벼운 스트레칭이나 실내 체조를 해서 자가 발열하는 게 좋다.
우리집의 경우 퇴근 후 저녁 시간에 난방수 온도를 55도로 해 보일러를 돌리면 실내온도가 19~20도가 된다. 침대 생활을 하므로 밤에 잠에 들면서 난방수 온도를 30도로 낮춘다.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보일러를 돌리며 계량기를 확인한 결과, 낮에 집을 비우고 침대 생활을 하는 집의 경우, 따뜻해지면서도 난방비가 가장 적게 나오는 길이었다(단열이 안 좋은 집은 난방수 온도가 60도 이상 되어야 실내온도가 19도 이상이 된다).
그에 비해 난방수 온도가 70도일 때 열효율이 가장 높으므로, 70도로 틀어서 실내가 따뜻해지면 '외출'로 돌리고, 다시 추워지면 70도로 난방을 가동시키라는 말도 있다. 단열이 잘 되거나 침대가 아닌 바닥에서 자는 집, 따뜻하게 사는 집의 경우 들어맞는다. 내가 일하는 직장의 경우에도 단열상태는 별로 좋지 않지만, 이 방법을 사용한다. 우리 사무실은 난방수 온도를 50~60도로 돌리면 보일러는 계속 돌아가는데 오전 내내 손이 시려 컴퓨터 쓰기가 힘들다.
게다가 늦게 따뜻해지고 오랫동안 열이 보존되는 엑셀파이프가 깔려 있어 (요새 보일러 배관은 대개 흰색의 엑셀 파이프를 사용한다), 오후 2시나 온기가 느껴지고 퇴근 때 가장 따뜻하다. 그래서 출근해서 점심 때까지 난방수 온도를 70도로 바짝 돌리고, 오후 2시~3시에 보일러를 '외출'로 해놓는다. 그래도 퇴근 때까지 정도껏 따뜻하다. 이렇게 장소나 생활방식에 따라 효율적인 방법이 다르다(암만 가스비가 적게 나와도 실내가 너무 추우면 것도 곤란하지 않겠는가).
[질문 5] 안 쓰는 방 보일러 막아 놓을까?
a
▲ 보일러 타이머 기능 타이머 기능이 좋을까? 외출 기능에 해 놓을까? ⓒ 신주욱
보일러에 따라 30분~6시간 사이에서 '타이머(시간예약)'를 설정할 수 있다. '타이머'는 20~30분 보일러가 돌아가다 지정된 시간만큼 쉬고 다시 보일러가 가동되는 형태다. 일반적으로 '타이머' 사용 시 난방비가 적게 나온다고 한다. 단, '타이머' 설정 시간을 자꾸 바꾸면 보일러가 리셋되면서 처음부터 다시 돌아가서 오히려 에너지를 많이 쓰게 된다. 이 사실을 모르던 나는 작년에 하루 세 번 타이머 설정 시간을 바꾸며 날마다 깨방정을 떨다가, 난방비가 후덜덜 했다.
이번에는 차분하게 하루는 '타이머'로 돌리고, 하루는 난방수 온도를 55도로 돌리면서 가스 사용량을 비교해 보았다. 예상 외로 3시간 '타이머'로 했을 때 집은 춥고 가스는 더 많이 잡아먹는 결과가 나왔다. 왜냐면 우리집은 '타이머'로 설정하면 난방수 온도가 무조건 80도로 돌아가기 때문이다. 보일러가 돌아갈 때 잠깐 따뜻해지는 듯싶다가 3시간 동안 보일러가 돌아가지 않으니 으슬으슬 추워진다.
저녁시간에만 보일러를 돌리는데 잠깐 돌아가다 멈추니 뭔가 허무한 느낌이랄까. 집에 있는 저녁 시간에 난방수 온도를 55도로 3~4시간을 돌리면 집이 훈훈해지는데 그 효과도 없고 말이다. 게다가 계량기를 확인해 보니 '타이머'를 돌린 날은 그 전날에 비해 약 1.5배 가스 사용량이 많았다. 그러나 보일러를 계속 돌리고 '타이머' 설정 시 온도 조절이 가능한 보일러가 달렸다면, '타이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고 훈훈하게 살기 위해 계속 난방을 돌리는 집이라면, 난방수 온도는 60~70도에 2~3시간 '타이머'를 해 놓자.
기본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방의 보일러를 닫아두면 에너지를 약간 줄일 수 있지만, 큰 차이는 없다(빨리 따뜻해지는 효과는 있다). 그러나 동파되면 인생 고달파지므로, 사용하지 않는 방이라도 다 닫지 말고 약 1/4 정도 열어둬야 한다. 그리고 보일러를 잠근 방에서 찬 바람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문을 꼭 닫고 방문에 문풍지를 바르면 좋다. 만약 보일러를 잠근 방에 곰팡이나 결로가 생긴다면 밸브를 열어 실내온도를 높이자.
공사 전에 집을 비워 두면서 동파를 피하기 위해 한 달 내내 보일러를 '외출'에 맞춰 놓았다. 그런데 그 달 난방비는 12만 원. 헉. 가스비만 보면 40평 넘는 대궐인 줄 알겠다. 우리 집은 20년 된 15평 집이라는 거. 처음에는 멀쩡히 돌아가는 보일러를 바꿀 생각이 없었지만, 이 지경에 이르자 13년차 보일러를 바꾸기로 했다. 이왕 바꾸는 거, 일반 보일러에 비해 10~15% 효율이 높다는 1등급 콘덴싱 보일러로 교체했다.
도시가스의 경우 1등급인 제품으로 바꾸면 연간 약 5만7000원을 절약할 수 있다. 약 2년이면 1등급을 구입한 추가 비용을 상쇄할 수 있으니 보일러 교체 시 꼭 1등급을 선택하자. 콘덴싱 보일러의 경우 보일러에 달린 호스에서 유출수가 나오므로 하수도와 연결되어야 한다. 우리 집은 보일러실 옆에 있는 베란다 공사를 하면서, 보일러 호스가 하수구로 연결되도록 미리 공간을 마련해 두었다.
난방을 하면 이불이 깔린 곳은 바닥이 따뜻한데 그렇지 않은 곳은 싸늘히 식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바닥에 러그, 카펫, 담요 등을 깔아두면 보온에 좋다. 그런데 진공 청소기가 없고 2주에 한 번만 청소하는 우리집의 경우, 러그나 카펫에 먼지가 많이 쌓이고 털어내기 힘들어 침대나 소파 아래에만 깔기로 했다.
처음으로 진공청소기가 그리웠다나 뭐라나. 이 경우 두툼한 단열장판(소음방지 바닥재)을 깔면 청소하기도 편하고 난방 효과도 좋다. 덤으로 층간 소음도 줄어든다. 단열장판은 단열벽지처럼 양면테이프로 바닥에 붙여 설치할 수 있다(모양새가 러그처럼 아름답지 않아, 우리 집도 깔지는 않았다).
보일러는 보일러고, 자세는 자세다
올해에는 타이머와 외출 기능이 아니라 난방수 온도 55도로 저녁 때 보일러를 3~5시간 돌리며 살고 있다. 작년보다 실내가 아늑하고 따뜻한 느낌인데 가스 사용량은 약간 더 적다. 1월(12월 사용량)에는 가스비가 3만3000원 나왔고, 현재까지 사용량을 기준으로 2월(1월 사용량) 가스비를 추정해 볼 때, 약 8만 원 정도가 예상된다.
당연히 2월 가스비가 제일 많이 나오고, 1~3월에는 3만 원 정도, 그 외의 달에는 1만 원이 안 나온다. 참고로 우리 집은 20년 된 15평, 방 3개의 다세대 빌라로, 겨울철 실내온도는 적정온도인 18~20도를 유지한다.
작년 도시가스 난방비는 1월만 빼고 12월~2월 사이 4만 원이 안 나왔다. 1월에는 하루에 세 번씩 타이머를 바꾸는 깨방정 덕에 11만 원이 나왔다. 타이머와 외출이 효율적이라고 주워 듣고, 그렇게 행했는데 전반적으로 약간 쌀쌀했다는 느낌이다. 물론 1월(12월 사용량)이 8000원 인 것을 보니 거의 보일러를 안 돌려서 그럴 수도 있겠다.
난방 에너지를 줄이려면 보일러가 아니라 단열과 기밀이 먼저다! 따라서 보일러 연비에 앞서 집 단열을 꼼꼼하게 체크해서 최대한 가능한 선까지 보완해야 한다. 또한 겨울철에 예의를 다하는 자세를 갖추고 살자. 적정 온도 18~20도를 넘는 따뜻한 집일수록 실내가 건조하고 거주자가 감기에 잘 걸릴 수 있다. 실내 적정온도를 유지하고 내복, 수면양말, 무릎담요, 유단포로 몸을 따뜻하게 하면서 겨울을 겨울답게 보내야 건강하다.
특히 아이들 키우는 집은 애들 생각해서 굉장히 따뜻하게 살고 환기도 잘 안 하는데, 오히려 아이들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실내에서도 스키장에서 리프트 기다리는 자세로 겹겹이 따뜻하게 입고 살아야 한다. '합정 시베리아' 집은 내게 <미쓰 홍당무>에서 나온 의안면 홍조증을 남겼지만, 그 덕에 웬만해서는 감기에 걸리지 않으니 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a
▲ 개별 보일러 사용 시 알뜰난방법(중앙난방에는 해당 사항 없음) ⓒ 고금숙
가스비 많이나와서 검색해봤어
문제있음 댓글달아줘
질문3은 보일러청소내용이라 지움 출처가면 있음
첫댓글 나 그냥 안틀어 ^^,, 썩열아 하
터지면 30만원 아랫집 보상 nnn만원 ㅜ
@하라버 헐 왜터져?....ㅇㄴ
@서글픈고양이 동파요 ㅠㅠ
한겨울 동파는 세입자 책임...
@487251 헐짐짜??ㅜㅜ 나 샤워할때만 트는데 그래도 동파되려나
헐ㅠ나도 온수만 쓰고 난방은 안하는데
@서글픈고양이 샤워하느라 온수 잠깐 쓰고 수도관에 온수 남아있으면 동파확률 더 올라가고요...? 여시네집이 안터진건 걍 운이거나 집 단열이 잘 되어있거나...운에 가깝지
@하라버 단열 잘된건 모르겠고..잘된다고 생각하는데 음
전기보일러에 안틀어도 15도정도 되긴해 내가 첫 자취라 몰랏네ㅜㅜㅋㅋㅋ고마워
난 겨울엔 추워서 예약으로 틀어놓음 ㅠ
오 안그래도 온수 딱 두칸으로 놓고 쓰는데ㅋㅋㅋㅋ
온수 2로 해놓고 샤워전에 3으로 올려도 많이나오나..?이제2로하니까 아무리 끝으로 돌려도 미지근해서 샤워할때덜덜떨면서함 ㅠㅠ
온수온도 지정하는거 없는거 깉던데 우리집...
방바닥에 이불도 깔고 보일러 1시간마다 5분씩만 돌아가는걸로 타이머해둠..
그냥 실내로 계속 적정온도로 맞춰놓으면 그 온도 이하로 안떨어지면 보일러가 안돌아감 울집 25도로 맞춰놓고 울엄마 나시입고 사는데 저번달 6만원 나옴
삭제된 댓글 입니다.
여샤 낮은 온도를 몇으로 설정해둬?!
머르거따..ㅋㅋ 1.5룸이라 어차피..
출근할땐 외출, 밤엔 4시간 마다 30분씩 예약 해놓고자면 가스비 겨울에 4만얼마 나옴..
하 온수 2칸 추워서 3칸하는데 샤워할 때마다 익어서 나오긴함 ㅜ
이런건 어케 해야되ㅜ
샤워를 매일하지 말라니요 ㅠ
나는 지역난방이라서 걍 23~24도에 올려놓고 절대 안 건드림.. 계속 건드리면 돈 더 나오는 구조라더라
외출해놓고 나왔는디ㅜ
샤워를 자주하지말라니요ㅠㅠ 너무하시네.. 우리집은 온수 따로 조절하는 건 없고 걍 외출로 해놔야 그나마 요금 덜 나오는듯
고양이 키워서 그냥 예약해둔다...
이번에 진짜 보일러 안 틀었거든.. 하루에 한시간 최저온도로 틀고 외출모드에 온수도 2단계로 둠.. 근데 5평원룸 3.8만원 나옴 ㅋㅋㅋㅋㅋㅋ 작년에 밤새
빵빵하게 틀었을때랑 똑같은 요금임
원룸사는데 이번에 딱한번 보일러 틀었는데.. 전기장판 한번키고 그냥 삼... 더위많이 타는 체질이라
단열공사 안 된 집은 걍 외출 해도 된다는 거네
난 그냥 4시간 간격 예약틀어... ㅠㅠ
와 진짜 유용하다 고마워!
난방수55 온수 37 외출
후...어렵다...ㅠㅠㅠ
말이 다 다르네ㅠㅠ
우리 집은 24시간 내내 풀가동,,, 겨울 내내 작동임ㅠㅠ
외출로 하고 나왔는데...!
장기 외출(최소2주이상)은 외출트는게 낫지 않나...? ㅠㅠ 지금 자취방 2주넘게 외출 상태인데 동파될까 두렵다
몇주까지 갈 필요도 없고 2~3일만 넘어도 그냥 외출 하는게 나아 ..!
오늘부터 여행인데 외출해두고 나옴 ㅠ
온도23 온수40으로 걍 계속 틀어놓음...
오년 동안 외출모드로 사계절 사는데 가스비 여름엔 삼사천원 나오는데 외출이 가동이 되는게 맞아?
나여름에 내내 외출로 두고 나오는데 4-5천원 나오던디
외출은 최소기준온도로 내려가면 보일러 작동하는 거라서 장기로 집 비울때는 차라리 외출이 낫다던데 오히려 동파로 보일러 고장나면 수리비가 더 나온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