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준은 원광대학교에서 영가무도에 관한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 취득하였다.
"영가무도에 관한 연구"를 연재하고자 합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연락 주시면 논문을 보내드리겠습니다.
유영준
010-5216-2577,02-783-9004,0112162577@hanmail.net
-----------------------------------------------------------------------------------------------------------
2009學年度
詠歌舞蹈에 관한 硏究
A Study on Younggamudo
圓光大學校 大學院
佛敎學科
劉 永 俊
詠歌舞蹈에 관한 硏究
A Study on Younggamudo
指導敎授 金 洛 必
이 論文을 哲學博士 學位論文으로 提出함.
2009年 10月
圓光大學校 大學院
佛敎學科
劉 永 俊
劉永俊의 哲學博士 學位論文을 認准함.
審 査 委 員
圓 光 大 學 校 大 學 院
2009年 12月
-----------------------------------
目 次
국문초록I
ABSTRACTi
Ⅰ. 序論1
1. 연구목적과 문제제기1
2. 연구범위와 방법3
Ⅱ. 詠歌舞蹈의 淵源과 構造原理6
1. 金恒의 생애와 사상6
1) 김항의 생애와 南學 6
2) 김항의 사상10
2. 영가무도의 기원과 전개16
1) 중국의 문헌을 통해서 본 영가무도16
2) 한국에서의 영가무도20
3. 唱法을 통해서 본 영가무도의 구조원리 26
1) 영가무도의 원리와 창법26
2) 영가무도 창법의 유형과 구조31
3) 五音唱法과 구조에 관한 제학설의 비교35
Ⅲ. 詠歌舞蹈의 思想的 淵源46
1. 律呂의 연원에 대한 史的 검토46
1) 先秦 문헌 속에 나타난 율려46
2) 周易과 正易에서 본 율려52
2. 영가무도의 율려와 역철학적 연원59
1) 역학과 율려의 상관성59
2) 天道의 표상체계로서의 象數와 正易의 율려관65
3) 율려관의 변천과 율려에 대한 새로운 해석70
3. 영가무도와 河圖洛書原理91
1) 영가무도와 河圖原理91
2) 영가무도와 洛書原理98
Ⅳ. 詠歌舞蹈의 修練體系105
1. 五音呪誦에 의한 정신수양105
1) 정신수양과 오음교육105
2) 남학의 오음주송 실천론108
2. 남학계열의 영가무도114
1) 남학과 无極大宗敎114
2) 무극대종교의 수행방법119
3) 영가무도를 통한 수행방법121
3. 君子의 역사적 사명과 神明의 소통124
1) 영가무도와 性命之理124
2) 천지지도의 자각과 실천127
3) 영가무도를 통한 신명의 소통130
Ⅴ. 詠歌舞蹈의 意義와 課題139
1. 禮樂으로서의 영가무도139
2. 영가무도의 과제145
Ⅵ. 結論152
參考文獻158
<부록1> 无極大宗敎의 五音正義169
<부록2> 詠歌舞蹈 採譜171
----------------------------------------------------------------------
表 目次
<표1> 河圖와 洛書의 圖像에 나타난 차이점15
<표2> 영가무도의 단계에 대한 「毛詩序」와 「樂記」의 비교18
<표3> 樂書「오성」의 5음 발음법30
<표4> 한글 모음의 5행․5음 배당과 영가무도의 5음 비교34
<표5> 영가무도의 5성에 대한 김석구의 견해36
<표6> 영가무도의 5성에 대한 박상화의 견해38
<표7> 영가무도의 5성에 대한 우실하의 견해40
<표8> 영가무도의 5성에 대한 유영준의 견해40
<표9> 五音의 발성법과 여러 견해의 비교43
<표10> 영가무도의 단계별 방법44
<표11> 율려의 달․율․음 및 수의 배당표49
<표12> 12율려명65
<표13> 6律6呂와 시간74
<표14> 正易의 새로운 五行構造77
<표15> 太陰太陽과 律呂度數78
<표16> 5音 5聲 5臟과 數의 오행 배당96
<표17> 오행원리에 따른 生數와 成數97
圖 目次
<도1> 正易八卦圖11
<도2> 伏羲八卦序次와 八卦圖53
<도3> 河圖95
<도4> 五行原理에 따른 河圖洛書의 재구성95
<도5> 洛書98
<도6> 오음의 낙서를 통한 율동상99
<도7> 道德分合原理117
<도8> 道德終始大統118
<도9> 天命의 자각과 실천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