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는 1,700년의 유구한 역사를 간직한 전통도시이다.
백제가 고구려에 쫒겨 한강 유역에서 내려와 이 곳을 도읍으로 정한 이래,
후기 신라, 고려를 거치면서 금강의 수운교통을 담당했던 충청권 주요 도시로 크게 성장했다.
조선시대엔 충청도 관찰사도 들어왔을 정도로 예로부터 굉장히 크고 번화했던 대도시였다.
하지만 일제가 호남선 철도를 공주가 아닌 대전으로 향하게 부설하는 바람에,
공주는 새로운 교통의 혜택에서 소외되어 쇠락의 길을 걷게 되었다.
1895년 충청도가 남과 북으로 나뉠 당시만 해도 충남도청이 공주에 설치되었지만,
결국 충남도청을 대전에게 내어주게 되고 조그만 촌락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그러나 2003년 천안논산고속도로 개통으로 약 100여년 만에 '호남대로'가 공주로 다시 들어오게 되어,
공주시는 다시금 전통적인 의미를 찾으면서 조금씩 순항하고 잇다.
2009년 완공을 목표로 서천-공주간 고속도로, 당진-대전간 고속도로를 한꺼번에 공사중이고,
인근에 행정복합도시까지 조성되면서 뜨거운 감자로 급부상하는 중이다.
호남선이 대전을 경유하면서 순식간에 교통의 오지로 전락했던 공주가,
이제는 도로교통의 중심으로 다시 재부상하는 중이다.
예전부터 충청도의 모든 물류가 집결했던 가장 큰 도시였다는 역사성에 걸맞게,
속속들이 생겨나는 도로망은 공주터미널의 웃음꽃을 활짝 피우게 하고 있다.

공주는 금호고속에서 운영하는 고속터미널과 금강변에 커다랗게 놓인 시외버스터미널로 나뉘어 있다.
이 중 시외버스터미널의 규모가 무척 큰 편인데,
예로부터 충남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했던 곳이었던데다,
공주엔 철도가 전혀 들어오지 않는 관계로 규모가 상상 이상으로 큰 편이다.

시외버스터미널 앞으로 쭉 뻗은 시원한 국도.
태안 만리포에서 대전까지 이어지는 국도로서 공주의 중앙을 흐르는 금강 북쪽을 따라 이어진다.
공주를 경유하는 모든 시외버스와 고속버스가 이 도로를 이용하여 외부로 출입을 한다.

시외버스터미널은 금강하고도 맞닿아 있다.
후기 백제 문화의 중심지였던 금강.
저 너머에는 고구려에게 쫒겨 임시로 거처를 마련했던 백제의 '공산성'이 남아있다.
서울, 경주 등에 비해 인지도는 낮지만 공주 또한 찬란한 역사가 빛나는 전통도시인 셈이다.

공주시외버스터미널은 너무나도 규모가 커서, 그 어디에서도 전면부의 모습을 전부 담을 수 없을 정도다.
인구가 13만이 채 안 되는 조그만 소도시이지만, 터미널 규모는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이다.
금강 북쪽 지역에 새로운 도시를 조성하면서 종합상업센터로 육성하고자 이렇게 만든 것 같다.
충청남도에서는 입지도 가장 좋고 버스에만 의존할 수 밖에 없는 구조상,
어마어마한 건물 규모만큼은 아니더라도 상당한 수요는 창출해내고 있다.

공주버스터미널 앞은 이렇게 육교와 택시승차장이 나란히 놓여있다.
버스터미널 주변에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다양한위락시설이 즐비하다.
그 지역에서 가장 유동인구가 많은 곳이 터미널인 만큼 주변엔 위락시설이 들어서기 마련이지만,
공주의 경우는 버스터미널 조성과 시가지 조성 시기가 맞물려서인지 유독 유흥업소가 많은 것 같다.

터미널 건물만 크고 내부는 보잘 것 없는 곳이 많지만,
공주버스터미널은 외부도 크고 내부도 무척 크다.
왠만한 광역시 터미널을 연상케 할 만큼 어마어마한 크기를 자랑한다.
규모가 워낙 크다보니 버스터미널에 사람이 왠만한 들어차도 썰렁한 느낌밖에 느껴지지 않는다.

마치 궁전에 들어온 듯한 환상적인 느낌은 들지만,
굳이 이렇게까지 터미널을 크게 지을 필요가 있었을까 싶은 생각도 든다.
아무리 공주 사람들의 버스터미널 이용빈도가 높다 할 지라도,
주변 여건상 어느 정도 수요의 한계는 있는 법인데,
공주시외버스터미널은 그 한계점을 훨씬 뛰어넘는 수준에 도달해 있으니 말이다.

무슨 이유에선지 터미널 중앙의 매표소가 굳게 막혀있다.
원래는 저 곳에서 표를 판매했었고 승차장으로 직접 이어지는 길이 나 있었지만,
알 수 없는 특별한 사정 때문에 현재는 이 곳에서 표를 구입할 수가 없다.
그래서 표를 사고 버스를 타려면 건물 왼쪽의 좁은 길로 들어가야만 한다.

그렇게 크고 웅장한 규모지만 결국 버스를 이용하려면 이런 비좁은 공간을 지나야 한다.
건물이 커서 독특하고 매력적인 분위기가 느껴지기는 해도,
보면 볼수록 이렇게까지 크게 지을 필요성이 있었을까에 대한 회의감이 든다.

각종 시외버스들이 들어오는 입구.
이처럼 버스터미널 주변에는 각종 유흥시설들로 꽉꽉 차 있어 주변 분위기가 그리 좋은 편은 아니다.
정비는 어느 정도 되어있는데 마치 덜 개발이 된 듯한 썰렁한 느낌도 들고...

주변 분위기가 좋지 않아서인지 유독 터미널 건물은 더욱 돋보인다.
어디 내놓아도 손색이 없을만큼 엄청난 규모를 자랑한다.
이 곳으로 들어오는 수많은 버스들도 길이 엉켜 헤맬 일도 없을 것이고,
큼직큼직하고 넓직넓직해 승객을 태우는 맛도 제대로 날 것이다.

아까 보았듯 중간에 있던 매표소가 막히는 바람에 터미널이 굉장히 복잡하게 변했다.
지역 주민도 아니고 구체적인 소식을 접할 일도 없으니 무슨 이유에서 매표소를 폐쇠한 건지는 알 수가 없으나...
중앙의 매표소가 막힘으로 인해 겪는 시민들의 불편함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하루빨리 조속히 해결되어 원활하게 버스를 이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

매표소가 막혀있는 덕분에 중간에 거대한 장막이 쳐져있다.
덕분에 버스가 들어온 곳을 복도처럼 걸어가면서 도중에 표를 구입하는 재밌는 체험도 할 수 있게 되었다.
승차장 한 가운데에 놓여진 임시 대합실이 참으로 묘한 느낌을 준다.

현재는 임시 컨테이너박스를 설치해놓고 그 안에서 표를 팔고 있다.
수요가 제법 많은 터미널임에도 좁디좁은 임시매표소에 판매하니 주변은 상당히 붐빈다.
게다가 승차장 한 가운데에 있어, 버스를 타려는 사람과 이리저리 엉키기도 한다.
어서 문을 닫은 매표소가 다시 영업을 해야 이런 혼잡이 조금이나마 줄어들텐데...

충청남도 중앙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 덕분에,
서산 보령 당진 예산 홍성 태안 청양에서 대전을 가려는 차들이 모두 경유한다.
그래서 주변과의 교통 연계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무척 잘 되어있다.
부여행 버스가 시간당 2~4대<평균 20~30분 배차> 있음은 말할 것도 없고,
청양행 버스는 평균 3~4대 정도로 부여보다도 더 자주 운행한다.
또 하나의 특징이 있다면, 고속버스터미널과의 경쟁 덕분에 서울행 버스 또한 무척 많다는 점이다.
거대 공룡 '금호'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남서울, 동서울 입맛별로 금남, 삼흥고속이 고루고루 진출해 있다.

부여, 청양과 마찬가지로 논산, 예산행 버스 또한 30분 정도의 배차간격으로 운행을 하고 있다.
청주행 버스 또한 시간당 2대 정도로 운행을 하고 있으며,
대전행 버스가 마치 지하철을 연상시킬 정도로 조밀한 것이 특징이다.
공주에서 유성으로 가는 시내버스도 자주 운행하니, 공주-대전간 연결은 너무나도 잘 되어있는 것 같다.
서울 외 수도권으로 연결되는 노선은,
오산-수원행 하루 11회, 인천행 하루 10회, 성남행 4회, 화정(고양)행 3회, 안양행 2회, 성남행 4회가 운행중이다.
이렇게 노선이 발달한 것 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커다란 단점을 안고 있다.
바로 수도권 몇 지역과 충남권하고만 노선망이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경상도, 전라도 등 남부지역으로 연결되는 노선이 전무한 곳은 공주가 유일할 거다.
부산, 대구, 광주, 전주 등 꽤 많은 수요가 나올법한 지역임에도,
토착 버스업체의 압박으로 인해 단 한 노선도 뚫려있지 않다.
철도조차 없는 지역이므로 버스망의 연계가 무척 절실한데,
특정 지역으로만 연계가 되다 보니 주민들이 겪는 불편함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매표 문제에 노선망 문제까지... 의외로 엄청난 단점들을 속속 안고 있다.

시외버스터미널과 고속버스터미널은 서울 수요를 놓고 치열하게 경쟁중이다.
금호고속에서 옆에 간이터미널을 따로 만들어 놓고 강남터미널로 노선을 뚫자,
이에 자극받은 금남과 삼흥은 남부터미널과 동서울터미널로 골고루 노선을 뚫어놓았다.
남부행 45분 배차, 동서울행 1시간 배차로 두 곳 모두 그럭저럭 버스가 운행하며,
더욱이 치열한 사투를 벌여야 하는 남부행에는 신차에 우등좌석을 투입하여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충남 서해안권에서는 거의 독점을 하는 충남고속을 여기서부턴 보기 힘들다.
천안-공주-논산간 호남선을 중심으로 서쪽으로는 충남고속의 독점체제지만,
충남고속이 지대한 영향력을 미치는 동쪽 한계선 공주에서는 오히려 삼흥과 금남 차량을 훨씬 자주 목격할 수 있다.
이 두 회사가 공주버스를 좌지우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점유율이 굉장히 높다.

굉장히 넓은 주차장, 궁전을 연상시키는 화려한 내부, 사진에 전부 담을 수 없을 정도로 어마어마한 건물.
주변에 한없이 늘어진 유흥업소, 그리고 상업시설을 감싸고 있는 아파트단지.
시외버스터미널 정문에서 바라보는 공주의 젖줄 금강, 그 너머로 보이는 백제의 도읍 공산성.
공주시외버스터미널은 어떤 수식어를 붙여도 어색하지 않을 정도로 다채로운 모습을 하고 있다.
하지만 노선 연계망 부실, 매표소 문제, 노후화 등 치명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는 점은 크게 발목을 붙잡고 있다.
부산, 광주, 대구, 전주, 춘천 등 주요 도시로 가기 위해선 반드시 이웃한 대전, 천안, 논산으로 가야만 한다.
인구가 적은 촌동네도 아니고 어느 정도 기반이 갖춰진 도시의 터미널인데도,
그 것도 충청권에서 제일 크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어마어마한 규모의 터미널인데도,
영남권과 호남권으로 연결되는 노선이 아무 것도 없다.
사업 마찰이 무척 심각하여 시내 북쪽의 장기면으로 이전을 계획하고 있다 하는데,
그 때가 되면 수도권과 충남권 중심의 연계망에서 탈피하여 조금 더 고른 노선 진출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여러 도로가 교차하는 교통의 중심지인데도 버스망이 지금과 같이 유지된다면,
절대로 더 이상의 발전을 할 수 없을 것이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청주뿐만 아니라 공주에도 대학이 많군요. 지리적인 입지 때문에 유동인구도 많다 하니... 그런데 분쟁 때문에 신축 계획까지 잡혀있다니 조금은 안타깝네요. 기껏 웅대하게 터미널을 만들어놨는데 그런 일 때문에 터미널까지 옮기려 한다니..;
삼흥고속매니아님 말씀처럼 유동인구가 많죠. 저도 한 때 그 유동인구 중에 하나였군요. 4년간 제 추억이 담긴 곳이기도 합니다. 공주터미널이 현재와 같이 파행적으로 운영되는 이유가 궁금하시면 저 뿐만 아니라 여러 회원님들이 2003년 이후 올리신 포스팅을 참고해 보시면 될 듯 합니다.(검색어:공주터미널 폐쇄) 댓글로 설명하기는 다소 길군요. 아 그리고 공주금호고속터미널은 간이터미널이 아니라 아주 옛날 광주고속 시절부터 운영한 정식터미널입니다.(90년대 초 현재 자리로 이전) 금호 논산터미널이나 연무대터미널 보시면 진짜 거기는 간이터미널 분위기가 나죠. 물론 그곳도 정식터미널입니다.
공주가 도시 규모에 비해서 엄청난 교통의 요지입니다. 공주에서 못가는 충남지역이 없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듯 합니다. 갈아타야만 갈 수 있는 행선지가 금산, 아산 두 곳 뿐이군요. 천안-부여, 대전-예산 노선의 중간경유지로서 운행횟수도 많은 편이고, 논산, 청양방면으로도 버스가 자주 운행되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서울 노선은 형식은 경쟁이라고는 하나, 실제로는 금호 쪽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공주지역 주민들에게 서울노선하면 광주고속으로 딱 인식이 되어 있습니다. 저도 호기심으로 한 번 남부행 타보긴 했는데 결국 금호타게 되더군요.
충남지역은 예산을 중심으로 서쪽은 충남고속, 동쪽은 금남고속+삼흥고속이 점유하고 있습니다. 글 내용 중 원래 매표소 자리는 택시승강장 바로 뒷쪽에 있는 편의점이 원래 매표소 자리였구요. 매표소 입구라고 써진 중앙은 승차홈과 대합실 사이의 통로자리였습니다. 지금 현재 위치가 터미널 위치로서는 가장 좋은 위치입니다. 공주대학교가 도보로 5분 거리에 있구요. 이 터미널은 여러 문제 때문에 장기면 송선리로 이전 예정입니다.
정식터미널이긴 하지만 시외버스터미널에 비하면 규모가 무척 작아서 간이터미널이라고 표현을 하긴 했습니다. -_-;; 논산과 연무대도 모두 가봤는데, 확실히 버스 수요가 많아서인지 그 쪽에 비하면 금호고속 터미널도 꽤 큰 편이더군요.
항상 수준있는 기행기 잘 읽고 있습니다. 본문내용중 서울노선에 관한 내용에 덧붙이면 금호와의 경쟁관계(현재는 금호의 사실상 압도적 우위) 로 인해 파생된 노선은 서초동 무정차뿐이고 공주~동서울은 약 16년전인 92년도에 삼흥/금남/KD(경기,대원이 윤번으로 운행했었음) 공배로 개통된, 수도권노선치곤 제법 오래된 노선입니다. 개통 초창기엔 KD가 공주착발로 운행했었지만 3년만에 어떤 이유인지 손을 뗐고 현재의 삼흥/금남공배, 강경발/부여발로 이원화되서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그리고 busline님 말씀처럼 전통적으로 공주를 연고지로 하는 삼흥이 서초동노선을 운용함에도 불구, 아직까지 공주지역사람들에게 "서울행 버스" 라
하면 광주고속(금호죠..)으로 통하는게 지금까지 통용되는 진리(?)입니다. 비록 삼흥이 50년에 육박하는 역사가 있지만 그와 비슷한 역사를 지니는 서울고속노선을 운행했던, 또한 운행하고 있는 광주고속의 이미지가 공주사람들에게 굉장히 강하게 남아있지요. 반대로 삼흥/금남은 현재도 운용중인 공주~천안~서초동 완행노선시절의 이미지를 아직 탈피하지 못한것이 어떻게보면 금호와의 경쟁구도에서 가격경쟁력 상실 직후 급전직하했던 연장선상의 원인이라고 말할수 있겠네요.
고양-공주, 논산 노선까지 운행하는 KD가 왜 동서울노선에 손을 대지 않았나 했는데, 역시나 예전엔 운행을 한 적이 있었군요. 서울-공주노선이 무려 50년 전부터 경쟁구도를 갖추고 있었다니... 조금 놀랍습니다. 겉보기에도 서울행을 이용하려는 사람보다는 같은 충남지역으로 이동하려는 사람이 많아보인 걸로 봐서는 금호고속 측이 입지가 좋아보이긴 하더군요.
Maximum님 그게 그런 뜻은 아니구요 --; 경쟁구도는 천안-논산 고속도로 뚫리면서 생겼습니다. 삼흥고속 우등님 말씀은 삼흥이 회사가 50년이 되었다는 뜻이구요. 삼흥이 공주지역회사인데도, 서울갈 때는 이상하게도 전라도 회사인 금호차만을 고집하는 이지역 이용객들의 패턴을 말씀하신 겁니다. 서울고속노선은 70년대초부터 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란... 제가 말뜻을 잘못 이해했군요. ㅡㅡ;; 삼흥이라는 회사의 역사가 50년이라는 뜻을 50년전부터 경쟁구도라는 식으로...;
충남이 연고는 아니지만 사회로의 첫 발걸음을 충남에서 시작했던 저로서는 공주터미널이 정말 반갑게 다가옵니다^^ 그때가 2005년도였는데 여전히 변한 모습이 없는 공주터미널을 보자니 한편으론 반갑기도 하고 한편으론 씁쓸하기도 하네요.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저는 예전에 공주터미널 매표문제를 얼핏 글로 본 적이 있어서 굉장히 낙후되고 좁은 터미널일 줄 알았습니다만, 의외로 큰 규모에 깜짝 놀랐습니다. 보아하니 꽤 오래전부터 사업자, 소유주간 마찰이 있었던 것 같은데... 어떻게든 해결이 안 되려나요. ^^;
일제가 호남선 철도를 대전을 경유하는 경로로 가설한 것은 공주지방의 토착양반들이 천년고도에 철마가 다닐 수 없다는 이유를 들면서 철도가설을 반대해서 공주에 철길이 깔리지 않은걸로 알고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전라북도에서는 태인이 철도가설을 반대해 신태인이 생겼죠~^^;// 개인적으로 몇번 가보지는 않았지만 공주, 참 정감가는 도시인데 연고업체의 텃세(?)때문인지 호남지방 운행노선이 없는게 아쉽습니다. 대학수요만 봐도 광주/전주선만 뚫어도 충분히 고정수요를 확보할 수 있을텐데 말이죠,,,^^
공주 양반들이 철마를 반대한 이유로 우회하여 건설했다는 얘기는 저도 많이 들었습니다만, 그보다 큰 이유는 일제가 기존의 전통도시 (공주, 충주, 전주) 들의 세력을 약화시키려 한 목적이었던 것 같습니다. // 공주-호남지역 노선이 전무하다는 것에서 꽤 큰 충격이었습니다. 지리적으로도 무척 가까운데다 철도조차 없어 버스망 연결이 절실한 상황인데도 말입니다.
공주에서 광주나 전주 정도의 노선은 직통으로 개설해도 괜찮을 듯 싶은데 의외로 안뚤리네요... 천안 논산 고속국도도 있고... 지금 전라도를 가려면 모두가 유성을 거쳐서 둘러가게 되거든요. 시간도 돈도 매우 큰 낭비인데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궁금하군요./
알아보니까 경상도로 가는 노선도 뚫리지 않았더군요. 그래도 경상도쪽은 아직까지는 고속도로 연계망이 미약한 편이지만, 전라도쪽은 천논선 개통 이후로 연계도 무척 잘 되는데 말입니다... 공주 정도의 도시면 당연히 광주, 전주행 노선은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는게 조금은 어이가 없군요.
공주~광주노선의 경우 금호에서 개통을 시키려고 무던히 노력을 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천논고속도로가 생김으로서 호남권으로 빠르게 주파를 할수 있는 교통상황의 혁신적 발전과 공주대, 공주영상대, 공주교대 등 전국적 인지도를 갖고 있는 대학이 3개나 되는 엄청난 메리트에도 불구하고 단 하나의 호남권노선이 없는것은 아무래도 공주지역을 연고로 하고 있는 삼흥이 타지역 업체의 진입을 원천봉쇄하고 있는 이유겠지요. 특히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삼흥을 금호가 인수하려는 움직임이 있었으니(현재 상당수의 주가 금호로 넘어간걸로 알고 있음) 광주노선이 개통되면 당연히(!) 참여할 금호가 달갑지는 않겠지요.
참고로 공주에는 시외버스 터미널이 2개 있습니다. 위에 소개된 신관동의 신터미널과 강건너 산성동에 있는 구터미널이 있습니다. 구터미널에서는 서울남부행(구터미널-신터미널-서울남부직통)과 대전행 일부를 운행합니다. 예전 금호고속도 구터미널 맞은편 부근에 있었구요. 산성동 쪽이 교통혼잡이 심해서 현 위치로 옮긴 듯 합니다.
70년대 중후반 금호고속이 서울-공주 노선을 동양고속으로 부터 인수했다고 들었습니다. 정확한 연도는 잘 모르겠군요. [덧붙여 공주터미널 문제는 사업자-근로자간 문제가 아니라 사업자-소유주간의 문제라고 봐야 맞습니다.]
구터미널이 폐쇠된 줄로만 알았는데 아직까지 영업을 하고 있었군요. // busline님 지적 감사합니다. 짧은 지식으로 글을 쓰느라 이것저것 허점이 많네요.
공주 버스는 터미널도 많고(시,내외 모두) 노선도 복잡해 현지인도 제대로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Maximum 님의 글은 외지인 뿐만 아니라 공주시민에게도 유용한 정보가 될 것 같습니다.
^^좋은글 사진잘봤습니다,,공주는 저에게는 제2의 고향이나 다름없죠. 둘째누님께서 공주교대가 2년제에서 4년제로 바뀔당시 첫 입학생이었고 지금도 공주에서 교무부장으로 교감승진을 바라보고 계시고 저또한 공주고를 다녔거든요-박찬호와 고교동창으로 예전엔 자랑도 참 많이하고 다녔었는데....- 공주터미널과 천안.아산 터미널 모두 비슷한 시기에 이전 오픈했지만 점점 발전해가고 있는 천안터미널에 비해 여러가지 문제를 안고있는 공주터미널을 볼때마다 가슴이 아픕니다. 제가 가장기억에 남는건 금남고속의 V10로얄 시리즈도 있지만 서울갈때면 자주 걸리던 AM939 직물시트 차량이 아직도 그립기만 합니다..
제가 고2였던 1991년 3월 1일에 터미널이 산성동에서 신관동으로 이전했지요..그때는 터미널 위상층이 모두 관광호텔이었는데.. 그리고 버스배차간격이 그당시에 비하여 상당히 많이 벌어졌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