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설(進設)
북쪽에 병풍을 치고 병풍앞에 신위를 모실 교의를 마련한 다음 위의 그림대로 상을 차린다. 식어도 괜찮은 음식부터 차린다. 진설이 다되면 사진 혹은 미리 써둔 지방을 교의의 신위함에 붙인다.(지방쓰기 참조)
분향강신(焚香降神)
제주는 꿇어 앉아 향을 살라 향로에 꽂고 재배한다. 왼쪽집사가 제주에게 강신잔을 주면 오른쪽 집사가 술을 반잔정도 따른다. 제주는 모사그릇에 세번에 나누어 모두 따룬다(모사그릇이 준비되지 않았을때는 술잔을 향로위에 세번 돌린다음 퇴주그릇에 따룬다). 왼쪽집사가 강신잔을 받아 오른쪽 집사에게 건네주어 제자리에 놓게한다. 제주는 재배한다.
참신(參神)
제주이하 참석자 모두 재배한다. 요즘은 여자도 재배를 하나 원래는 4배였다.
초헌(初獻)
좌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건네주면 제주는 우집사가 따루어 주는 술잔을 좌집사로 하여금 제상에 올리게 한다.
독축(讀祝)
제주 이하 모든 사람이 꿇어앉고 참사자중에 한 사람이 축을 읽는 것이다. 예전엔 축문 읽기가 끝나면 곡(哭)을 했으나 지금은 생략하는 가정이 많다. 축문 읽기가 끝나면 제주는 두번 절을 한다.
아헌(亞獻)
두번째 술잔을 올리는 것을 말한다. 주부(主婦)가 올리는 것이 예이지만 주부가 올리기 어려울 때는 제주의 근친자나 장손이 올린다. 아헌을 한 사람이 재배를 올린다.
종헌(終獻)
3번째 술잔을 올리는 것을 말한다. 아헌자 다음가는 근친자가 올리며 집안에 따라서는 이때 적을 올리기도 한다. 아헌을 한 사람이 재배를 올린다.
계반개(啓飯蓋)
주부나 집사가 메(밥)와 탕그릇의 뚜껑을 열다.
삽시(揷匙)
주부나 집사가 시접에 담겨있는 숟가락을 메그릇에 꽂고 젓가락은 시접위에 가지런히 걸쳐 놓는다. 젓가락의 손잡이는 서쪽(왼쪽)을 보게 놓는다. 흔히 젓가락을 세번 굴리고 여기저기 제물위에 올려 놓기도 하지만 시접위에 가지런히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주는 재배한다.
첨작(添酌)
첨작이라 함은 제주가 무릎꿇고 다른 잔 혹은 그릇에 술을 따루어, 종헌자가 다 채우지 않은 술잔에 좌우 집사를 통하여 술잔을 채우도록 하는것을 말한다.
합문(合門)
참사자 일동이 밖으로 나가 문을 닫고 부복한(엎드린)다. 대청일 경우 뜰아래로 내려선다. 모든 참석자는 조상이 진지를 드는 동안(9수저 드시는 시간) 조용히 엎드려 생전의 조상을 생각한다.
개문(開門)
제주가 앞서서 기침을 한다음 조용히 문을 열고 일동과 함께 들어간다.
헌다(獻茶)
숭늉을 갱과 바꾸어 올리고 메(밥)를 조금씩 3번 떠서 말아놓고 정저(잠시 묵념)한다. 메에 꽂았던 숫가락은 반드시 손잡이가 집사의 좌측으로 가도록하여 숭늉그릇에 담그어둔다.
철시복반(撤匙復盤)
숭늉그릇에 있는 수저를 거두어 시접에 담고 메그릇의 뚜껑을 덮는다.
사신(辭神)
참사자 일동이 재배를 올리고 신주를 모신 기제사일 경우에는 사당으로 옮겨 모시고, 지방과 축문을 향로위에서 사른다.
철상(撤床)
모든 제사 음식을 물리는 것을 말하며, 제상의 위쪽에서 부터 다른 상으로 공손히 옮겨 물린다.
음복(飮福)
옷을 입은 그대로 조상이 드시고 남은 제물을 참사자 모두가 나누어 먹고, 이웃에도 나누어 먹는 것으로 기제사 절차는 모두 끝난다.
제사상에 빠지지 않고 오르는,
대추, 밤, 배, 감에는 아래와 같은 심오한 뜻이 있다.
대추(棗)
대추나무는 암수가 한 몸이고, 한 나무에 열매가 엄청나게 많이 열리는데,
꽃 하나에 반드시 열매가 맺히고 나서 꽃이 떨어진다.
헛꽃은 절대로 없다.
즉, 사람으로 태어났으면 반드시 자식을 낳고 죽어야 한다는 뜻이다.
대추는 통씨여서 절개를 뜻하고,순수한 혈통과 자손[후손]의 번창을 기원하는 의미이다.
대추는 붉은 색으로
임금님의 용포를 상징하고,씨가 하나이고 열매에 비해 그 씨가 큰 것이 특징이므로 왕을 뜻한다.
왕이나 성현이 될 후손이 나오기를 기대하는 의미와,죽은 혼백을 왕처럼 귀히 모신다는,
자손들의 정성을 담고 있다.
밤(栗)
밤나무는 땅 속에 밤톨이 씨밤[생밤]인 채로 달려 있다가,밤의 열매가 열리고 난 후에,
씨밤이 썩는다.
그래서 밤은 자신의 근본을 잊지 말라는 것과,자기와 조상의 영원한 연결을 상징한다.
이런 이유로 밤나무로 된 위패를 모신다.
유아가 성장할수록 부모는 밤의 가시처럼 차츰 억세었다가, "이제는 품안에서 나가 살아라"하며,
밤송이처럼 쩍 벌려주어 독립된 생활을 시킨다는 것이다.
밤은 한 송이에 씨알이 세 톨이니,3정승(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의미한다.
배(梨)
배는 껍질이 누렇기 때문에 황인종을 뜻하고,오행에서 황색은 우주의 중심을 나타낸다.
흙의 성분(土)인 것이다.
이것은 바로 민족의 긍지를 나타내며,배의 속살이 하얀 것으로 우리의 백의민족에 빗대어,
순수함과 밝음을 나타내 제물로 쓰인다.
배는 씨가 6개여서 육조(이조 호조 예조 병조 형조 공조)의 판서를 의미한다.
감(枾)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이 나는 것이,천지의 이치인데 감만은 그렇지 않다.
감의 씨앗을 심으면 감나무가 나지 않고,대신 고욤나무가 나는 것이다.
그래서 3~5년쯤 지났을 때 기존의 감나무를 잘라서,이 고욤나무에 접을 붙여야,
그 다음 해부터 감이 열린다.
감나무가 상징하는 것은 사람으로 태어났다고 해서,다 사람이 아니라 가르치고 배워야,
비로소 사람이 된다는 뜻이다.
가르침을 받고 배우는 데는 생가지를 칼로 째서 접붙일 때 처럼 아픔이 따른다.
그 아픔을 겪으며 선인의 예지를 받을 때,비로소 하나의 인격체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감나무는 아무리 커도 열매가 한번도 열리지 않은,나무를 꺾어 보면 속에 검은 신이 없고,
감이 열린 나무는 검은 신이 있다.
이것을 두고 부모가 자식을 낳고 키우는데 그 만큼 속이 상하였다 하여,
부모를 생각하여 놓는다고 한다.
감은 씨가 8개여서 8방백,<8도 관찰사, 8도 감사>를 뜻한다.
8도 관찰사가 후손에 나오라는 의미이다.
이상과 같이 제사상의 주된 과일로 대추,밤,배,감(棗栗梨枾)이 오르는 것은,
이들이 상서로움, 희망, 위엄, 벼슬을 나타내는 전통적 과일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