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청심선원 원문보기 글쓴이: 연연
1. 1954년 3월, 신 중국 최초의 요양기구--당산(唐山)기공요양소가 성립됨. 유귀진(劉貴珍)이 소장직을 담임, 훗날 당산기공요양원으로 개명.
2. 1955년 12월 19일, 국가 위생부부장 이덕전(李德全)이 ‘당산기공요법소조’에 장려상을 내리고 또 장려금 3000원을 당산기공요양소로 발급.
3. 1956년 2월, “중의잡지”에 유귀진의 논문 “중의기공요법의 조작방법”이 발표되면서 “기공료법(氣功療法)”이라는 개념이 탄생.
4. 1956년 3월, 하북성 북대하간부요양원이 전국북대하기공요양원으로 개명되고 유귀진이 부원장(훗날 원장)직을 담임하면서 “내양공(內養功)”을 보급함. 당시 전국에서 규모가 제일 큰 기공의료기구.
5. 1956년 11월, 북대하에서 중국 제1기 전국기공의사자격교육이 실시됨.
6. 1957년 7월 상해기공요양소가 성립되고 진도(陳濤)가 소장직 담임하면서 “이완공(放松功)”을 보급함.
7. 1957년 9월, 유귀진선생의 저작 “기공요법실천”이 출판되면서 “기공”의 보급에 큰 역할을 함. 같은 해, 국가위생부와 위생청의 위탁을 받고 북대하기공요양원에서 ‘전국기공지도사양성교육’을 여러 기 주최하여 각 성, 시에 많은 기공인재를 배출함.
8. 1959년 7월, 전국제1기기공의료공작회의가 북대하기공요양원에서 개최됨.
9. 1959년 10월 16~31일, 전국 제1기 기공학술교류회의가 진황도시에서 개최됨.
10. 1960년, 국가위생부의 위탁을 받고 상해기공요양소에서 “전국기공사연수반”을 주최.
11. 1961년 7월25일, 국가위생부부장 부련장(傅连暲)이 《중국청년보》신문에 “기공 수련은 좋은 점이 많다”라는 글을 실음.
12. 1968년 3월 27일, 전상해기공요양소소장 진도(陈涛)가 “문화혁명”의 박해를 받다 46세 나이로 별세. 1978년 12월에 명예회복.
13. 1970년 기공의 선행자 곽림(郭林)이 북경 동단공원에서 “곽림신기공”을 전수하기 시작.
14. 1971년 아미파(峨嵋派)전인인 기공사 주잠천(周潜川)이 옥중에서 별세. 그는 하북성 보정시 기공사 왕각민(王觉民)과 같이 억울하게 죽은 피해자임.
15. 1978년, 양매군(楊梅君)이 “대안공(大雁功)”을 전수하기 시작.
16. 1978년 3월 10일, 상해 중국과학원 원자핵연구소 고함삼(顾涵森)연구원과 상해중의학원기공의사 임후성(林厚省)과 합작하여 과학의기로 기공사가 발사하는 “외기(外氣)”는 에너지의 홍외전자파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밝혀냄으로써 기공사의 “외기”가 물리적 성질을 띠고 있다는 것을 증명했으며 그 실험결과를 1978년 “자연”잡지 제1기에 발표함으로써 현대과학으로 기공의 “외기”를 연구하는 서막을 열었다.
17. 1979년, 기공사 장명무(張明武)가 “자공요법(自控療法)”을 창작하여 보급하기 시작.
18. 1979년 3월 11일, 《사천일보》에 사천성 대족현 아동 당우(唐雨)가 귀로 글을 식별한다는 뉴스를 기재하면서 중국과학기술계의 일부 인사들이 초능력현상을 연구하기 시작.
19. 1979년 4월 2일 여병규(呂炳奎)등 52인이 중앙 및 유관부문에 《중의“기”본질연구상황에 대한 보고서》를 올림.
20. 1979년 5월 운남 이족 기공사 왕가림(王伽林)이 자기의 복부에 수술을 하고 호스를 꼽아 기공상태에서의 담액분비상황을 4개월간 관찰하였다. 그는 1991년 11월 20일, 질병으로 50세 나이에 곤명에서 별세.
21. 1979년 7월, 원 위생부 중의국에서 두 차례의 기공회보회의를 주최함으로써 당시 중국지도층이 기공을 중시하게 됨.
22. 1979년 11월 기공사 이소파(李少波)의 《진기운행법》도서가 출판됨.
23. 1979년 12월 14일, 북경시기공협회가 성립되고 유건화(劉建华)가 회장직을 담임. 이는 중국 최초의 성시급기공사회단체로서 국내에서 모범역할을 하게 됨.
24. 1980년 기공사 마예당(马礼堂)이 “양기공(養氣功)”을 보급하고 왕서정(王瑞亭)이 “소림일지선(少林一指禅)”을 전파하고 배석영(裴锡荣)은 “무당기공(武当氣功)”을 전수함.
25. 1980년 3월 1일, 여병규(呂炳奎)등 34인이 국가 과학기술위원회, 위생부, 중국과학원 및 중앙영도에게 《기공과학연구강화에 대한 지시요청서》를 올림.
26. 1980년 4월, 기공사 장광덕(张广德)이 “도인양생공(導引養生功)”을 만들어 보급하기 시작.
27. 1980년 5월 9일, 상해시 제8인민의원수술실에서 최초로 “기공마취실험”에 성공. “외기”발공자는 기공사 임후성(林厚省)임.
28. 1980년 8월, 《기공정선(氣功精選)》과《속편(續編)》이 인민체육출판사에서 출판됨.
29. 1980년 10월 12일, 북경기공과학연구회의 심사허가를 받고 조금향(赵金香)의 “학상장(鹤翔庄)”이 사회로 널리 전파됨.
30. 1980년 12월, 《기공》월간잡지가 항주에서 창간되는데 중국 최초의 기공잡지임.
31. 1981년 4월, 기공사 유한문(刘汉文)이 “선밀공(禅密功)”을 전국으로 보급.
32. 1981년 6월, 도병복(陶秉福)의 저작 《기공요법집금(气功疗法集锦)》이 출판됨.
33. 1981년 9월 9일, 중화전국기공과학연구회가 보정(保定)에서 성립되고 여병규(吕炳奎)가 주임직 담임함으로써 과학기공의 전면발전 서막을 염.
34. 1982년, 전국기공총참(全国气功总站)이 성립됨.
35. 1982년 7월, 여작가 가암(柯岩)이 《북경문학》잡지에 “암병#사망”을 표제로 장편보고문학을 실어 곽림(郭林) 기공사의 “신기공항암의 기적”을 소개함으로써 전국적인 반향을 일으켰고 북경에서는 기공열풍이 불기시작함.
36. 1982년 8월, 《기공과 과학》잡지가 광주에서 창간됨. 광동성기공과학연구회에서 주최.
37. 1983년, 《중화기공》잡지가 창간됨. 중화전국중의학기공과학연구회에서 주최.
38. 1983년, 전학삼(钱学森)의 제의로 기공과학연구소가 설립되고 여병규(吕炳奎)가 소장직을 담임하며 사무실은 북경중의학원에 설치.
39. 1983년 9월, 상해 마제인(马济人)이 집필한 《중국기공학》도서가 출판됨.
40. 1983년 12월 27일, 전 북대하기공요양원원장 유귀진(劉貴珍)이 북경에서 63세로 별세. 문화대혁명 전에 충격을 받기 시작했고 1980년에 명예회복.
41. 1984년 9월 《북대하기공》잡지가 창간되고 1986년 《중국기공》으로 개명. 첫 편집장은 좌림(左林).
42. 1984년 11월, 중화기공연수학원(中华气功进修学院)이 북경에서 성립되고 임중붕(林中鹏)이 상무원장직을, 여병규(吕炳奎)가 원장직을 담임. 중국최초의 민간기공교육실체임.
43. 1984년 12월 14일, 신기공의 창작인 곽림여사가 뇌출혈로 병세(75세).
44. 1985년, 《기공과 체육》잡지가 섬서성 서안(西安)에서 창간됨. 훗날 국제기공과학연합회와 중국체육기공연구회 회간으로 선정됨. 편집장은 곽주례.
45. 1985년, 기공사 노학지(卢学智)가 “범등공(凡腾功)”을 전수하면서 기공으로 또 암병과 난치병을 치료하기 시작.
46. 1985년, 국가교육위원회에서 임야곡(林雅谷)이 소재하고 있는 상해기공연구소를 기공학석사수여점으로 확정하고 임야곡이 석사지도교수로 지정됨. (당시 전국에 기공학 석사학위수여점은 전국에 단 두 곳.)
47. 1985년 10월, 기공사 방명(庞明)의 “지능공(智能功)”이 대규모적으로 전파되기 시작.
48. 1985년 12월 25일, 국가체제개혁위원회에서 “중국기공과학연구회”성립을 허가함.
49. 1986년 2월 《동방기공》잡지가 창간됨. 북경기공연구회가 주최. 첫 편집장은 서일성(徐一星).
50. 1986년, 중국체육기공연구회가 성립됨.
51. 1986년, 기공사 동조웅(童朝雄)이 “주체개혜건신공(主体开慧健身功)”을 전파하기 시작.
52. 1986년 4월, 중국기공과학연구회가 북경에서 성립되고 장진환(张震寰)장군이 이사장직을 임함.
53. 1986년 6월, 중국기공과학연구회에서 기공대사 엄신(严新)을 북경으로 초빙하여 과학연구를 하고 병 치료와 기공을 전수를 하게 함으로써 엄신이 기공보고의 선두자가 되게 했고 이로부터 기공사들의 기공보고가 전국을 휩쓸기 시작했다.
54. 1986년 9월, 상해시 기공연구소에서 제1기중외기공연구토론회 주최.
55. 1987년 4월 20일, 군의 겸 기공사 양호(杨祜)가 서안에서 “기공보건문진부(气功保健门诊部)”를 창립.
56. 1987년 5월, 중국인체과학연구회가 성립되고 장진환 장군이 이사장직 임함.
57. 1987년 5월, 제1기 국제기공학술연구토론회가 광동성 심천에서 개최됨.
58. 1987년, 기공사 장옥뢰(张玉磊)가 “혜통단전공(慧通丹田功)”을 전수하기 시작.
59. 1987년, 기공사 곡성춘(曲成春)이 “삼삼구승원공(三三九乘元功)”을 보급하기 시작.
60. 1987년 8월 8일, 기공대사 장홍보(张宏堡)가 출산, 그가 창제한 “중화양생익지공(中华养生益智功)”은 바로 신바람을 일으켰고 국내외로 널리 전파됨.
61. 1987년 10월, 기공사 진발황(陈发煌)이 “삼청공(三清功)”을 전파하기 시작.
62. 1987년 10월, 제1기 국제의학기공학술교류회가 북경에서 개최됨.
63. 1987년 12월 9~13일, “전국기공고적연구토론회의”가 항주(杭州)에서 개최됨. 이와 동시에 중국기공과학연구회와 광동성기공과학연구회가 연합하여 광주시에서 中国气功观摩交流会를 개최했는데 국내의 유명한 기공사 10인을 초빙하여 선후 6회의 시범을 했는데 관중규모가 성황리에 이르렀다고 함.
64. 1988년 2월, 《학교기공교학(学校气功教学)》도서가 인민체육출판사에서 출판됨.
65. 1988년 2월 26일, “전국장밀기공연구회(全国藏密气功研究会)”가 북경에서 성립.
66. 1988년 3월, 동남아기공학술회의가 싱가포르에서 개최되면서 “국제기공과학연합회”가 성립되었고 곽주례(郭周礼)가 이사장직을 임하고 사무지점은 중국 서안으로 정함.
67. 1988년 5월 8일, 기공가 전서생(田瑞生)이 “향공(香功)”을 전파하기 시작하면서 그 “향”기가 천하에 널리 퍼지며 향공의 기적을 이룸.
68. 1988년 6월 1일, 신문“기공보(气功报)”가 창간됨.
69. 1988년 7월, 중국중의연구원에서 기공연구생 한빈(韩彬)과 하광덕(贺德广)석사를 배출함. 지도교사는 초국서(焦国瑞)임. 이들은 중국최초의 기공석사연구생들임.
70. 1988년 8월, 상해과학기술출판사에서 《중국의학백과전서. 기공학》분권을 출판함. 이는 중국 제1부 국가급 기공전문저작임.
71. 1988년 9월 사환장(谢焕章)교수의 저작 《기공의 과학기초》가 출판됨.
72. 1988년 12월, 장향옥(张香玉)의 “자연중심공(自然中心功)”이 전파되기 시작.
73. 1988년, 《자연》잡지 제8기와 제9기에 육조음(陆祖荫)이 주최하고 엄신(严新)이 참여한 기공외기실험에 대한 연구보고서를 6편으로 나눠 연재함. 전학삼(钱学森)은 “이 시리즈의 원고는 인체가 물질의 직접적인 접촉이 없이 그 분자의 성질을 개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세계최초로 확실하게 증명했다”고 심사의견을 적었다.
74. 1989년, 《기공천지(气功天地)》잡지가 창간됨.
75. 1989년 5월, 왕극성(王极盛)의 《중국기공심리학》도서가 출판됨.
76. 1989년 7월, 대기공사 장굉보(张宏堡)는 중국 최초로 기공실업가의 길을 개척하면서 중미합자의 “북경국제기공복무유한회사”를 창립하고 총경리직을 임한다. 이로부터 중국 기공은 “과학연구와 실업병중”의 길을 걷기 시작한다.
77. 1989년 8월 이배재(李培才)의 집필한 기공사 장향옥을 소개한 도서 《대자연의 혼백》이 출판됨.
78. 1989년 9월, 《기공종횡(气功纵横)》잡지가 창간됨.
79. 1989년 10월 14일, 제2기 국제기공회의가 서안에서 개최되고 12개 국가와 지구의 대표 500여명이 참석.
80. 1989년 가운로(柯云路)가 기공대사 엄신을 원형으로 한 저작 《대기공사》가 인민문학출판사에서 출판됨.
81. 1989년 10월 19일, 국가중의관리국에서 《기공의료관리강화에 관한 약간규정(关于加强气功医疗管理的若干规定)》을 인쇄 배포함. 중국최초의 기공관리법규임.
82. 1989년 11월, 세계의학기공학회가 성립대회와 학술회의가 북경에서 개최.
83. 1989년 12월 4일, 국제기공과학연합회 이사회가 열리고 국가체육위원회주임 오소조(伍绍祖)가 국제기공과학연합회주석으로 당선됨.
84. 1990년, 《중국인체과학》잡지가 창간됨. 중국인체과학연구회가 주최. 편집장은 주윤룡(周润龙).
85. 1990년 2월, 도서 《엄신기공(严新气功)》이 출판됨.
86. 1990년 4월, 기일(纪一)이 기공대사 장굉보(张宏堡)를 소개한 저작 《대기공사출산(大气功师出山)》이 출판됨.
87. 1990년 6월, 주세영(周世荣)이 집필한 《마왕퇴양생기공(马王堆养生气功)》이 출판됨.
88. 1990년 10월 19일, 미국 샌프란시스코 에서 미국 대총령 부시가 기공대사 엄신을 접견하고 “당대성인”이라고 칭함.
89. 1990년 12월, 중국기공과학연구회가 처음으로 북경에서 기공과학연구상을 반포함.
90. 1991년 8월, 중국기공과학연구회가 북경에서 전통문화홍양좌담회를 개최.
91. 1991년 8월, 기공사 적옥명(狄玉明)이 “보제공(菩提功)”을 전파하기 시작.
92. 1991년 10월, 풍리달(冯理达)교수가 창건한 북경 중국면역학연구중심에서 ‘전군중의학회 제1기의학기공연구토론회’를 개최됨.
93. 1991년 10월 8~10일, 전국기공응용과학학술연구토론회의가 북경에서 개최됨.
94. 1992년, 국제기공과학연합회 회간《기공과 체육》잡지가 러시아에서 러시아어로 출판되었는데 제1기와 제2기의 발행 량은 8만 여부에 달함.
95. 1992년 4월 24일, 제3차 국제기공회의가 일본도쿄에서 개최됨. 10여 개 국가의 대표 600여명이 참석함.
96. 1992년 6월, 국가민정부에서 “중국기공과학연구회”의 등록을 허가.
97. 1992년 6월, 풍동군(冯同军)이 기공사 장소평(张小平)을 소개한 저작 《불자장소평출산기(佛子张小平出山记)》가 출판됨.
98. 1992년 12월 기공사 장향옥(张香玉)이 북경시해정구 인민법원에서 “미신으로 재물을 편취했다는 죄로 유기형 6년”을 선고받음.
99. 1992년 12월, 곽동욱(郭同旭)의 저작 《엄신이 북아메리카에서—세계의 진동》이 출판됨.
100. 1993년 1월, 국가민정부에서 “중국의학기공협회”등록을 허가함.
101. 1993년 2월 10일, 국무원의 허가로 ‘중국체육기공연구회’가 ‘국제기공과학연합회’에 가입.
102. 1993년 9월, 기공사 심창(沈昌)을 소개한 윤일지(尹一之)의 저작《심창인체과학—21세기의 서광》이 출판됨.
103. 1993년 9월 15~18일, 제2기세계의학기공학술교류회가 북경에서 개최됨.
104. 1993년 11월, 중국기공과학연구회에서 주최한 《중국기공과학》잡지가 시발간.
105. 1993년 12월, 엄신(严新)기공협회가 성립됨.
106. 1993년 12월 9일, 중국엄신기공과학학회가 북경에서 성립됨.
107. 1994년, 기공사 유계능(刘继能)이 “중국자연초능력(中国自然特异功)”을 전수하기 시작, 약칭은 “국공(国功)”임.
108. 1994년 1월 1일, 신문 《국제기공보》가 발간됨.
109. 1994년 1월, 《중국기공과학》잡지가 창간됨. 중국기공과학연회가 주최. 편집장은 양자강(扬子江).
110. 1994년 3월 23일, 중국기공과학연구회 장진환(张震寰)이사장이 북경에서 서거.
111. 1994년 7월, 송천빈(宋天彬), 유원량(刘元亮)이 주필한 《중의기공학》이 출판됨. 이는 전국고등학교에서 협력 편찬한 중국 최초의 기공교과서다.
112. 1994년 8월, 도조래(陶祖莱)와 방명(庞明)의 합작한 도서 《기공의 현대과학연구》가 출판됨.
113. 1994년 8월20~24일, 중국 제1기 도가기공학술연구토론회가 산동성 태안(泰安)에서 개최됨.
114. 1994년 10월, 풍리달(冯理达)교수의 저작 《현대기공학》이 출판됨.
115. 1994년 11월, 국가 민정부에서 국제기공과학연구회 해산령을 내림.
116. 1995년 3월, 황경파(黄静波)가 중국기공과학연구회 대리이사직을 임함.
117. 1995년 4월, 기공사 곽청공(郭青空)의 “우주천밀공(宇宙天秘功)”이 선풍을 일으킴.
118. 1995년 4월, “불자” 장소평(张小平)이 석가장에서 체포됨.
119. 1995년 4월 7~9일, 국제기공과학연합회가 캐나다 밴쿠버에서 제4기 국제기공회의를 개최함.
120. 1995년 7월, 사마남(司马南)의 《신공내막(神功内幕)》이 출판되면서 기공계를 뒤흔들어놓았고 기공진위대변론의 서막을 열었다.
121. 1995년 10월, 《국제기공보》에 장경(章劲)이라는 서명으로 《1995: 중국진위기공대논전》이란 글이 실어 이 단계의 풍파를 종합 서술함.
122. 1995년 10월 20일, 제2기 세계태극권수련대회가 북경에서 개최됨. 31개 나라와 지역의 대표 700여명이 참석하여 5일간 학습 수련과 교류를 진행함.
123. 1995년 12월, 중국기공과학연구회가 북경에서 제2기전체이사회를 개최하고 황경파(黄静波)가 이사장으로 당선됨.
124. 1996년 8월, 중앙7부위(中央七部委)에서 사회기공관리에 관한 통지서를 배포.
125. 1996년 12월, 전민건신기공양생대회가 석가장(石家庄)에서 개최됨.
126. 1996년 12월, 중국체육기공연구회가 석가장에서 이사회를 개최함. 매진약(梅振耀)이 이사장직을 임함.
127. 1996년 12월 7일, 중국기공과학연구회가 연검(年检)에서 이홍지(李洪志)의 “법륜공(法轮功)”을 취소됨.
128. 1997년 3월 30일, 《국제기공보》가 폐쇄됨.
129. 1997년 5월, 오소조(伍绍祖)가 기공관리 공작회의에서 한 연설이 전 사회의 주목을 받음.
130. 1997년 10월, “중국체육기공복무단”이 상해에서 개최된 제8기전국체육운동회에서 서비스하면서 점혈(点穴), 마사지(按摩), 보기(补气)등 기공조리(气功调理)수법으로 훌륭한 효과를 이루어냄.
131. 1997년 11월 23일, 세계 제2기 기공학술대표대회 및 미국 제1기 기공연의대회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됨. 미국 대통령 클링턴이 축하문을 보내옴.
132. 1998년 2월 22일, 국가체육위원회에서 《건신기공관리방법》과 《건신기공사기술등급심사방법(시행)》을 선포함.
133. 1998년 10월 5일, 국가체육총국에서 11종 건신기공공법을 심사통과함.
134. 1998년 12월, 인민체육출판사에서 국가체육총국 무술운동관리중심에서 편찬한 《건신기공교육교정(시용)》을 출판함. 중국 최초의 국가관리부문에서 편찬한 기공교육교과서임.
135. 1998년, 중국최초의 기공사이트” 중국기공망”이 개통됨.
136. 1999년 7월 22일, 국가민정부에서 “법균(파륜)대법연구회”취소결정을 선포하고 사이비조직으로 판정함. 공안부에서는 여느 사람 여느 지점 여느 형식의 법륜공수련을 금지한다고, 중공중앙에서는 공산당원은 법륜대법을 수련해서는 안 된다는 통지를 선포.
137. 1999년 12월, 《중화독서보》에서 당대10대위과학작품(当代十大伪科学作品)을 선정했는데 그 중 8부가 기공류서적임.
138. 2000년 7월 10일, 새로운 《의료기공관리임시규정(医疗气功管理暂行规定)》을 선포.
“규정”에 의하면 의료기공(医疗气功)은 의료기구진료과목의 “중의과(中医科)—기타”에 속하며 의료기공활동은 반드시 허가 받은 병원의 중의과에서만 진행되며 의료기공에 종사하는 인원은 반드시 “공인중의사자격증“혹은 “공인조리중의사자격증”, “공인의사자격증”과 “의료기공기능합격증”을 소지해야 함
139. 2000년 9월 11일 《건신기공관리임시방법 (健身气功管理暂行办法)》을 선포.
“방법”에 의하면 건신기공기능전수활동에 종사하는 인원을 건신기공지도원이라 하며 건신기공지도원의 기술등급은 국가급, 1급, 2급, 3급으로 나뉘며 그 자격은 반드시 국가체육행정부문 혹은 그 위탁기구의 교육과 심사에 합격해야만 취득할 수 있다. 건신기공사회단체는 종합성사회단체로서 현급이하 단위에서는 설립할 수 없음. 그리고 기공공법의 종류별 건신기공사회단체를 성립해서는 안되며 단체내부에는 기공공법종류별, 혹은 지역성지점을 설치해서는 안 된다.
140. 2000년 9월, 북경제5기도서문화절에서 사천대학출판사가 저명한 작가 겸 기공사 기일(纪一)의 10년 동안의 저작권을 구입함으로써 기일은 그 해 전국에서 작가계약금이 제일 높은 작가로 거듭남.
141. 2000년 말, 중국 모든 기공관련 잡지와 신문이 폐쇄되거나 개판되어 발행됨.
142. 2001년 1월 16일, 사천성 면양시 중급인민법원에서 비법경영의 이유로 기공사 유계능(刘继能)을 체포했고 유기형 12년을 선포.
143. 2001년 4월, 사천성 남충시 중급법원에서 사기, 비법경영의 액수가 많고 악영향이 크다는 이유로 기공사 굴성춘(屈成春)을 체포하고 유기형 20년을 선포함.
144. 2001년 4월, 국가신문출판서에서 기공류도서처리결정이 선포되면서 기공류 도서출판이 희소해짐.
145. 2001년 4월 30일, 중국국가체육총국 건신기공관리중심이 성립됨.
146. 2001년 5월 25일, 북경일통산업의 총재이자 저명한 작가이며 기공사인 기일(纪一)이 비법출판혐의로 북경시인민검사원제1분원에 체포되고 2003년 “비법경영죄”와 “세금포탈죄”로 유기형 19년이 선포됨.
147. 2001년 9월 15일, 제8기 국제의학기공연구토론회가 상해에서 개최됨. 상해중의약대학에서 주최하고 상해시기공연구소에서 책임짐. 국내외 대표 100여명이 참석.
148. 2001년 9월 18일, 기공사 심창(沈昌)이 세금포탈과 비법경영죄로 소주시호구구 인민법원일심에서 유기형 12년이 선포됨.
149. 2002년 7월 13일 대안공(大雁功)의 전인 양군매가 북경에서 99세(116세라는 설도 있음)로 별세.
150. 2002년 12월 4일, 제일 큰 민간기공사이트—“국제기공왕(.http:// www.qg100.com)”폐쇄됨.
151. 2002년 말, 국가체육총국 건신기공관리중심에서 “건신기공—팔단금(八段锦)”, “건신기공—오금희(五禽戏)”, “건신기공—역근경(易筋经)”과 “건신기공—6자결(六字诀)”등 네 종류의 새로운 기공공법을 편성하여 북경에서 전문가들의 심사를 받고 시범적으로 보급하기 시작.
152. 2003년 2월, 《건신기공활동참, 점관리방법》을 배포하여 기공활동은 소규모, 분산, 현지, 근방에서 자원적으로 진행 해야 한다는 원칙을 규정함.
153. 2003년 3월, 국가체육총국에서 건신기공을 국가정식체육항목의 제97항으로 정함.
154. 2003년 6월 6일, 민정부에서 63개 기공사회단체의 활동자격을 취소함. 중국기공과학연구회도 포함됨.
155. 2003년 7월 25일, 국가중의약관리국에서 《의료기공지식과 기능시험임시방법》통지서를 배포.
156. 2003년 8월, 중국의학기공학회가 부활하여 다시 활동을 시작.
157. 2003년 11월 상해에서 전국건신기공관리지도자교육이 개최됨.
158. 2003년 12월 10일, 위생부 원 중의국국장, 원 중화전국중의학회기공과학연구회회장 여병규(呂炳奎)선생님이 90세로 별세.
159. 2004년 1월 상해교통대학출판사에서 도서 《중국류과학(中国类科学)》을 출판함. 저자 유화걸(刘华杰)철학과 사회학의 시각에서 인체초능력을 연구함으로써 인체특이공능연구가 “위과학”이 아닌 “류과학”이라고 인정
160. 2004년 초, 중국의학기공학회의 사이트 –의학기공망이 개통됨.
161. 2004년 3월 20일, 중의사 진건민(秦建民)이 사천성야안벽봉협(四川雅安碧峰峡)에서 공개적으로 단식을 하며 단식 49간의 체험을 기록함으로써 대중과 매체의 주목을 받았다
162. 2004년 5월, 민정부의 허가를 받고 중국건신기공협회(中国健身气功协会)가 북경에서 성립되고 중국건신기공협회 사이트가 개통됨.
163. 2004년 9월, 《건신기공(健身气功)》잡지가 창간되고 쌍 월간으로 발행됨. 국가체육총국에서 주관하고 국가체육총국 건신기공관리중심과 중국체육보 본사에서 주최함。
164. 2004년 10월 5일, 중국건신기공협회과학연구위원회에서 주최한 “쓰레기는 버리고 정수를 살리며 관리를 강화(去其糟粕,取其精华,加强管理)”하자는 주제로 건신기공학술교류회의가 북경수도체육관에서 개최되었으며 전국기공전문가와 학자 70여명이 참석.
165. 2004년 11월 20~22일, “기공양생보건과 심신건강”을 주제로 한 제9기 중국상해국제기공과학연구토론회가 상해에서 개최됨. 국내외 기공학계 인사 200여명이 참석.
166. 2004년 말, 자유력중국망(自愈力中国网)의 소식에 의하면,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기공사 하빈휘(何斌辉)가 미국국가건강연구원(NIH)의 보조기금 30만 불을 받고 “기공외기에 의한 골관절염치료”의 임상연구를 시작함.
167. 2005년 6월, 이토생(李土生)이 블로그중국망에서 기공전문난을 개설하여 기공과 역학등 전통문화를 화제로 글을 발표함으로써 인터넷 쟁론을 일으킴.
168. 2005년 8월, 《중의기공학》교과서 제3판이 출판됨, 편집장은 유천군(刘天君), 부편집장은 화위국(华卫国).
169. 2005년 9월, 《광명일보》에서 중국의학기공학회에서 주최한 임상조리견학연시회(临床调理观摩演示会)에서 기공사가 일부 난치병환자를 치료하여 일정한 효과를 보았다고 보도함.
170. 2005년 10월, 학자 이사금(李嗣涔)이 대만대학교 교장직을 임하며서 대만에서 기공과 인체초능력연구가 활성화되어 사회대중들에게 익숙해짐.
171. 2005년 10월 12일, 제10기 전국운동회개막식에서 중국국가체육총국에서 보급한 4가지 건신기공을 연시함
172. 2005년 11월 19일, 중국중의연구원이 중국중의과학원으로 개명되면서 중의와 기공의 발전에 적극적인 의의를 부여. 국무원총리 오의(吴仪)가 경축대회에 참석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