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불교식 장례
임종에서부터 입관까지의 절차는 일반 상례와 대동소이(大同小異)하며, 오직 영결식의 방법이 다를 뿐이다. 불교의 장례의식은 의례 법규인《직문의법》에서 설명하고 있지만 자세하지는 않다.
개신교(기독교)식 장례
운명한 시신의 정제 수시 에서부터 하관에 이르기까지의 모든의식 절차가 목사(牧師)의 집례 (執禮)에 행해진다. 운명을 하면 찬송과 기도로 고인의 영혼을 하나님께 맡기는 뜻의 예배(禮拜)를 보며 초종 중에는 날마다 목사의 집례로 기도회를 갖고, 유가족은 빈소에서 기도회를 가지는데, 찬송이 그치지 않게 한다. 곡은 하지 않고 음식도 차리지 않으며 절도하지 않는다. 또한 아침, 저녁으로 전과 상식(上食)을 올리지 않고 염습할 때에 묶지도 않는다. 영결식은 영구를 교회에 안치하거나 상가에서 간단하게 행하는 경우가 있으며, 분향대신 영전에 꽃 한 송이씩 바친다. 하지만 일반 조객들을 위해 분향을 준비하기도 한다.
천주교식 장례
생전에 영세를 받은 사람은《성교 예규》에 의하여 장례를 치른다. 신자로서의 정신에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우리나라의 고유 풍습이나 장례 의식을 존중하여 병행하기도 한다.
천도교식 장례
사람의 죽음을 환원이라 하고, 직후에 청수(淸水)를 봉전(奉奠)하고 온 가족이 심고(心告)한 후 시신은 염습한다. 심고란 교인들이 어는 동작을 할 때마다 먼저 한울님(하느님)께 마음으로 고하는 일종의 기도로 "성령(性靈)이 우리의 성령에 융합되어 길이 인계 극락(人界極樂)을 향수(享受: 복을 받아 누림) 하옵소서"라고 한다.

결관바
시신이 든 관을 운반하기 좋게 관을 묶는 노끈(세줄을 묶어 6명이 관을 들 수 있게 묶는다.)
공포
상례에서 관을 닦는데 쓰는 삼베
금침(金枕)=베게
기중(忌中)
상중(喪中)임을 알리기 위하여 상가의 대문이나 상주가 경영하는 점포의 문 앞에 붙여놓는 안내 표지
만장(輓章)
상여로 발인을 할 때 죽은 이를 슬퍼하여 지은 글을 비단천(布)에 적어서 기(旗)를 만들어 상여 뒤를 따라 갑니다.
멧베
시신에 수의를 입힌 후 삼베 이십자(尺) 한필을 일곱쪽으로 잘라서 다시 각 한쪽의 반 정도를 3등분하면 21매듭이 되는데 이것으로 시신을 결박할 때 사용 합니다.
면모악수(面帽握手)
시신의 얼굴을 싸고(면모) 손톱을 깎아 담는 주머니를 손에 쥐어주고 감아주는 장갑(악수)
병풍
영좌를 설치하는 곳에 세워 놓으나 병풍의 앞면(문자표시)과 뒷면(그림)을 혼돈되지 않게 하여야 합니다.
상복(喪服)
상주가 입는 옷입니다. 가정의례준칙에 "상복은 별도로 마련하지 아니하고 남자는 검은색, 여자는 흰색 옷을 입되 평상복도 가능하다"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남자 상주는 두루 마기, 바지저고리 등이 있습니다. 여자 상제는 치마, 저고리가 있습니다. 상복은 일반적으로 바지저고리와 치마저고리를 말 합니다. 남자는 바지저고리를 입고 그 위에 두루마기 또는 굴건제복을 착용 합니다. 또는 검은 양복을 입고 그 위에 굴건제복을 착용 합니다. 여자는 하얀 상복, 광목치마 저고리, 삼베 치마저고리를 입습니다.
- 굴건제복 : 남자상주의 전통 상례복(삼베), 혼인한 상주만 착용합니다. - 두루마기 : 맏상주 맏며느리만 입으며 상복 위에 착용합니다. - 복치마저고리 : 여자상주의 전통 상례복으로 며느리만 착용합니다. - 치마저고리 : 여자의 상복 - 복조끼 : 삼베조끼로 딸과 며느리를 구분하기 위해 며느리만 착용합니다. - 두건 : 상주나 친지들의 머리에 착용(남자) - 행전 : 상주나 친지들의 종아리에 착용(남자) - 수질 : 맏상주와 맏며느리, 딸들의 머리에 두릅니다. - 요질 : 맏상주와 맏며느리, 딸들의 허리에 두릅니다. - 완장 : 현대식 상복일대 상주들의 팔에 착용, 맏상주용, 일반용이 다릅니다. - 가슴 리본 : 상주들의 가슴에 달기 위한 리본 - 머리 리본 : 딸들의 머리에 꽂는 리본입니다.
상장(喪杖) 막대기
상여 뒤를 따라가는 상주가 짚을 지팡이로서 남자상주는 대나무 여자 상주는 오동나무나 버드나무로 만들었습니다. 또는 고인이 아버님일 경우는 대나무 지팡이를 짚고, 어머님 상일 경우는 버드나무 지팡이를 짚습니다.
습신
시신의 신발(꽃신)이며 면이나 종이로 만듭니다.
염습
고인의 몸을 씻긴 다음, 옷을 입히고 염포를 묶는 것.
예단(禮緞)
청실(남자)과 홍실(여)로 만들어 이승을 결별하고 저승과의 결연을 의미하는 비단제품으로서 횡대 위에 올려놓고 예를 표하고 화장 시에는 관속에 넣어서 화장을 합니다.
오랑(조발랑이)
대렴 입관 때 고인의 손톱 발톱 머리털을 깎아 담는 삼베로 된 주머니입니다.
운아(雲亞)
관위에는 운을 아래에는 아로 구분 사용
위패(位牌)
고인의 지방을 써서 간직하는 제품, 신위 (오동나무, 플라스틱)
입관
: 고인을 관속에 넣음.
조등(弔燈)
상가(喪家)임을 표시하기 위하여 집 앞의 대문이나 벽에 걸어놓는 등 - 상가표시 : 조문객이 상가집을 찾아오도록 알려주는 이정표
지관 : 시신의 위치를 잡아주는 사람
지금(地衾) = 요
천금(天衾) = 이불
채반
사자밥 세 그릇과 짚신 세 켤레를 받쳐서 상가의 집 앞에 진열해놓는 그릇
초석(草席)
충해(蟲害)가 없다는 야생초를 건조시켜 여러 묶음(束) 으로 만들어 시신과 관벽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보공)것입니다. 초석대신에 고인이 생전에 입었던 의류 등(매장시에는 화학 섬유질은 피할 것)으로 대체하여도 됩니다. 옛날에는 줄풀을 사용하였지만 요즈음에는 톱밥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축문
제사 때 신명에게 고하는 글
칠성판(七星板)
시신을 바르게 펴기 위하여 시신을 올려 받쳐놓는 판 (폭은 30센티 정도, 길이는 180센티 정도)
한지(韓紙)
일명 "염습지"라고도 하며 시신의 결박이나 입관 전후의 관내부에 미리 깔기도 합니다.
횡대(橫帶)
장지에서 하관 후 관위를 시토하기 전에 광중에 들어갈 관위를 덮는 일곱 장의 나무판자 (나무의 재질과 두께가 다양함)
기타용품
초, 촛대, 향, 향로, 소독약, 부의록(조문객의 명단 및 물품을 기록) 등 차 리본 : 장지로 이동할 때 선두차에 부착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