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게차운전기능사 필기
정가: 15,000원
2021년 1월 20일 개정판
☸ 저자 소개
▪이재건
1. 학력
1968년 : 부산동래중학교 졸업
1970년 : 대입검정고시 합격
1984년 : 미국 캘리포니아 유니언 전문대 2년 중퇴
2016년 : 한국폴리텍대학 자동차과 기능장 과정 수료
2. 경력
1973년 : 육군 전차부대 정비부사관 9년 복무
1984년 : 미국 자동차정비검사관 (Q.R. mechanic) 자격 취득
1985년 : L & M 자동차 공업사 근무
1992년 : 영주귀국 및 한독자동차정비학원 강사
2002년 : 대우직업전문학교 건설기계 강사
2017년 : 제트로 모터스 선박엔진 수리 기사
2018년 : 현 국방부 지게차운전기능사 국가시험 실기 채점위원
인간은 환경을 극복하는 데에 그 시대에 따른 인간의 지혜와 사용 가능한 자재 및 도구를 이용하여 필요한 기계 장비를 고안하여 사용하였다.
건설 기계(construction equipment)란 건설 공사 및 토목 공사에서 시공 수단으로 이용하는 기계 및 설비의 총칭이다.
우리나라는 건설 기계 관리법에 의해 건설 공사에 사용할 수 있는 기계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을 건설 기계로 정의한다. 건설 기계 관리법 및 동 시행령에서는 일반 26종 외 기타 7종의 특수 건설 기계 기종으로 규정하고 있다.
우리나라 현장에서 본격적으로 건설 기계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 미군 공병대가 사용하던 것을 도입하여 건설 공사에 사용한 것이 시초라고 할 수 있다. 특히, 1965년 이후부터 1970년대 초까지는 경인 및 경부 고속 도로, 소양강 다목적 댐 공사 등의 대형건설 현장에 건설 기계가 대량 수입 및 투입되었으며, 1973년부터 정부의 공업 육성 주도로 선진 기업들과 기술 제휴에 의한 굴삭기 및 지게차 등의 국내 생산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1980년대에는 자체 생산뿐만 아니라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 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 방식에 의한 수출을 통해 건설기계의 성장기가 이루어졌다. 1990년대부터 굴삭기 및 지게차 등 일부 기종이 세계 건설 기계 시장에서 호평을 받는 계기가 되었다.
국내 건설 기계 등록 대수는 2020년 말 기준으로 약 370만 대를 넘어섰으며, 굴삭기 및 지게차 등의 주요 기종을 중심으로 연간 생산대수가 약 5만 3천 대를 초과하고 있다.
▪이 책의 특징
∙최근 변경된 새 출제기준으로 구성하였습니다.
∙전문적인 용어해설을 문제풀이에 알기 쉽도록 접근하였습니다.
∙기출문제를 복원하여 모의고사 테스트 3회분 수록하였습니다.
∙출제 예상문제를 960개의 핵심문제로 기술하였습니다.
∙컴퓨터 기반 시험 테스트용 5회분을 수록하여 시험요령을 숙지하도록 하였습니다.
∙최신 개정법령 반영하였습니다.
▶ 실기 시험 구간별 동작 요령
1. 출발준비 구간
① 왼쪽으로 승차하고 곧바로 안전벨트를 착용한다.(좌석, 백미러 조정)
②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주차브레이크를 해제한다.
③ 틸트 레버를 조금 당겨서 포크의 끝이 지면과 5센티 정도 떨어지면 포크와 지면이 수평 상태이다.
④ 리프트 레버를 당겨서 포크를 지면에서 20∼30센티 정도 올린다.
⑤ 전⋅후진 레버를 앞으로 밀어서 전진 위치로 한다.
⑥ 왼손은 핸들을 잡고 오른손은 리프트 레버 위에 가볍게 올리고 브레이크를 떼고 출발.
⑦ 천천히 가면서 파랫트 구멍을 정확히 포크와 직선이 되도록 포크를 상승시키면서 주행.
2. 파랫트 상승
① 포크의 끝부분이 파랫트 구멍 앞 약 10센티 정도에 지게차를 정지시키고 정확히 삽입.
② 포크의 맨 뒷면, 즉 백래스트까지 파랫트가 조금 닿도록 지게차를 전진시킨다.
③ 리프트 레버를 당겨서 20센티 정도 올린 후 틸트 레버를 조금 당겨 포크를 뒤로 기울임.
④ 후진기어를 넣은 후 천천히 고개를 돌려 좌측 라인 20센티 정도가 유지되도록 후진을 하면서 뒷바퀴가 후진제한선(출발선)에 닿지 않도록 조심한다.
⑤ 브레이크를 확실히 밟고 포크를 지면에서 30센티 정도 되도록 내린다.
3. 전진 주행
① 전진기어를 넣고 살짝 앞으로 가면서 최대로 왼쪽으로 조향을 한다. 이 때 지게차의 속도가 너무 느리면 가속 페달을 살짝만 밟아 주면서 회전을 한다.
② 지게차가 완전히 직진 상태가 되기 전에 핸들을 한 바퀴 정도를 풀어준다.
③ 우측선에서 30센티 정도를 유지하면서 주행하다가 우측 코너 부근에서 자신의 신발이 코너와 일치될 때 최대로 조향을 하면서 코너를 회전한다.
④ 완전히 회전되기 전에 핸들을 한 바퀴 정도 풀어주어야 장비가 직진 상태가 된다.
⑤ 회전을 완료 후 다음 코너에서 좌회전을 하기 위하여 좌측 라인에서 30센티 정도 거리를 유지하면서 자신의 신발이 코너부분과 일치될 때 최대로 조향을 한다.
⑥ 이제는 우측으로 30센티 정도 유지하면서 주행하다가 우측 코너와 자신의 신발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최대 조향을 하면서 고정 파랫트의 중앙을 바라보도록 핸들을 풀어준다.
4. 화물의 하역, 상차 작업
① 틸트 레버를 앞으로 밀어서 포크를 수평으로 유지시킨다.
② 리프트 레버를 앞으로 밀어서 고정 파랫트에 가까이 내린 후 적색 표시가 보이지 않을 때 완전히 내린다.(만약 조금 벗어날 때는 그냥 내려도 되지만 20센티 이상 벗어나게 되면 실격이 되므로 정확히 보고 천천히 작업을 한다.)
③ 체인이 느슨해져 있던 것을 리프트 레버를 당기고 있으면 체인이 팽팽해지고 그 시점에서 2센티만 더 포크를 올린 후 후진기어를 넣고 후진선까지 후진한다.
④ 후진선 위에 포크의 중앙부분이 닿도록 살며시 포크를 내리고 다시 올린다.
⑤ 20센티 정도 포크를 올리고 직진 주행으로 파랫트를 들고 뒤로 약간 기울인다.
5. 후진 주행
① 좌측 후진선을 보면서 50센티 정도 충분히 거리를 두고 후진 주행을 하다가 코너 부근에서 앞바퀴의 끝이 코너부분과 일치 시 최대 조향으로 조향을 한다.
② 완전히 장비가 직진이 되기 전에 핸들을 한 바퀴 정도 풀어 주고 직진 상태가 되도록 핸들을 유지하면서 우측 코너와 앞바퀴의 끝부분이 일치되면 또 다시 최대로 조향한다.
③ 장비가 완전히 직진이 되기 전에 핸들을 한 바퀴만 풀어준다.
④ 코스의 중앙으로 지게차가 운행이 되도록 후진하면서 우측 라인을 보면서 주행하다가 앞바퀴의 끝이 우측 코너와 만나게 되면 최대 조향을 한 후 후진한다.
⑤ 장비를 직진 상태로 한 후 앞바퀴의 앞부분이 좌측 코너와 일치될 때 최대로 좌측 조향 후에 지게차가 직진이 되도록 한다.(이 때 뒷바퀴가 후진선에 닿으면 실격)
6. 파랫트 드럼통 위에 적재
① 전진을 하면서 뒷바퀴가 라인터치가 되는지 확인할 것. 불가능 시 조금 앞으로 가서 선이 없는 곳에서 최대 우회전을 하면서 적재를 할 것.
② 틸트 레버로 수평을 유지 후 리프트 레버로 파랫트를 드럼통 위에 살며시 내려놓는다.
③ 약 1미터 후진 후 포크를 20~30센티로 내린다.
7. 시험 종료
① 앞바퀴가 출발선을 통과하면서 시간체크가 종결된다.
② 주차보조선 위에 포크를 내려놓고 기어를 중립에 위치시킨다.
③ 주차브레이크를 가볍게 당기고 안전벨트를 해제하고 하차한다.
▶ 실기 코스시험 실격 체크리스트
1. 운전조작 미숙, 안전사고 우려, 장비손상 우려 시
2. 시험시간 4분 초과 시
3. 코스 도면 불이행 시
4. 1분 이내 미 출발 시
5. 코스 운행 중 라인 터치 시
6. 주차브레이크 미 해제 시
7. 파랫트 충격, 드럼통 충격 시
8. 운행 중 파랫트, 포크가 지면에 닿을 시
9. 코스 운행 중 포크 높이가 50센티 초과 시
10. 적재, 하역 작업 중 화물 중심이 20센티 전, 후, 좌, 우 벗어날 때
11. 파랫트 구멍에 삽입할 때 깊이 정도가 20센티 이상 시
12. 운행 중 지면과 파랫트 하단부 높이가 지면에서 10센티 미만 시
13. 적재 중, 하역 중 파랫트가 충격으로 3센티 이상 전, 후, 좌, 우 움직일 때
14. 적재, 하역 중 단 한 번도 틸트 레버를 사용하지 않을 때
15. 전진 코스 주행에서 후진을 두 번 이상 하는 경우
16. 후진 코스 주행에서 전진을 두 번 이상 하는 경우
17. 상차 작업 코스에서 화물을 올린 후 다시 내리고 올리는 경우
18. 하역 작업 코스에서 화물을 내린 후 다시 올리고 내리는 경우
19. 코스 내 주행에서 급발진이나 급제동이 2회 이상 발생 시
20. 코스 중 4번의 포크 내림에 있어 2회 이상 강한 충격음 발생 시
21. 주행 중 시동이 한 번이라도 꺼지면 실격
22. 마지막 코스, 즉 드럼통 위에 파랫트를 살포시 내린 다음 포크 높이를 20센티∼30센티로 조정하고 후진으로 출발선을 통과할 것.(포크 높이를 1미터 정도로 높게 들고 후진 통과 시 실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