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재해 사례] 지게차 사고를 예방하려면

어린이들이 있는 집엔 지게차가 있다?
무슨 말인지 고개가 갸우뚱 하실 텐데요.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완구 중 블록에는 지게차를 만들 수 있거나, 이미 만들어진 지게차 블록이 있습니다. 블록 자체가 집이나 건물 등을 지을 수 있도록 된 놀잇감이기 때문입니다. 어릴 적 가지고 노는 것만 익혔던 지게차, 하지만 안전을 익히지 못하면 큰일나는 지게차입니다. 특히나 지게차 사고는 조금만 방심해도 일어날 수 있는 만큼 평상시 주의 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지게차와 관련된 중대재해사례와 예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작업장 내에서 지게차 2대가 이동하던 중 충돌

○○금속 사업장 옥외작업장에서 버킷을 설치한 지게차는 폐알루미늄을 싣고 용해로 방향으로 이동하던 중이었습니다. 바로 이때 다른 지게차 헤드 가드 부분과 충돌하여 지게차가 전복되었고, 사고를 피하려고 운전석에서 뛰어내리는 순간 지게차에 협착되어 사망한 사고가 있었습니다.
지게차 버킷에 화물을 실을 때는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해야 하나 전방 시야가 확보 되지 않은 상태로 운행했고, 적재된 화물로 시야 확보가 불가능할 때는 지게차 유도자를 배치해야 하지만 그마저도 없어 사고가 난 것입니다. 또한 운전자가 안전벨트를 하지 않은것도 사고가 커지게 된 이유 중 하나입니다.
이와 같은 사고를 예방하려면
1. 지게차 버킷에 화물 적재 시 운전자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높이만큼 화물을 적재하여 합니다.
2. 만약 부득이한 경우로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불가능하다면 지게차 유도자를 배치하여 운행해야 합니다.
3. 그리고 지게차도 차,입니다. 전복 시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 안전벨트를 꼭 착용해 주세요.
지게차 위에서 유리창 청소작업 중 추락
○○물류센터 하역장 내에서 건물 외부에 설치된 유리창을 청소하기 위해 작업자 2명은 지게차 포크에 팔레트를 끼워 올라갔습니다.
유리창 청소를 하고 있는데 이때 지게차가 운전자가 물통을 올려주기 위해 지게차 포크를 30cm정도 내리자 청소를 하고 있던 작업자 2명이 몸의 중심을 잃고 추락했습니다. 이 사고로 작업자 1명은 사망하였습니다.
지게차는 화물을 적재, 하역 하는 등 주용도 외의 이유로 사용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승차석 외의 위치에 근로자가 탑승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이와 같은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게차 목적 외 사용을 금지해야 합니다.
그리고 부득이 지게차를 사용하여 고소작업을 할 경우에는 안전난간이 부착된 전용운반구 사용시에만 고소작업을 실시해야 합니다.
지게차 급선회로 인한 중량물 낙하
○○자동차제조 단조공장에서 전동지게차로 철재 팔레트(130㎏)를 지게차 적재하고 운반하는 작업 중이었습니다. 팔레트를 4단으로 적재하고 방향전환을 하던 중 금형 적재대에서 재고현황을 파악하던 피재자 쪽으로 팔레트가 전도되면서 피재자 머리에 충돌하였고 작업자는 사망하게 된 사고가 일어났습니다.
이 사고는 지게차 운행통로와 다른 근로자의 작업장소가 분리되지 않아서 발생했습니다. 또한 팔레트를 4단으로 적재하여 무게중심이 상승한 상태에서 급선회를 하여 낙하한 것이 직접적인 사고의 원인이었습니다. 그리고 사고의 피해를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는 안전모 또한 착용하고 있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려면
지게차 운행경로와 근로자의 이동 통로를 구분하여 작업장 내에서 부딪히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사고의 원인이었던 지게차에 중량물 적재 시 편하중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재하며, 과다한 적재는 금지합니다. 또한 중량물이 붕괴되거나 낙하하지 않도록 로프 등으로 꼭 고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모든 중량물 취급 작업장에서는 안전모를 필히 착용하고 작업을 실시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