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즈음 해외투자가 대안이랍니다.
맞나요?
어떻게 투자하나요?
1. 직접투자와 간접투자
* 직접투자란 것은 증권사에 해외투자계좌를 열고, 본인이 직접 투자하는 것을 말합니다. 미래에셋대우증권의 HTS 화면을 보니, '해외주식대표종목'이란 메뉴가 있고, 미국, 중국, 홍콩, 일본,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의 주요종목 정보가 있더군요.
* 간접투자란 증권사, 은행 등을 통해 국내. 외 자산운용회사에서 운용하는 펀드에 가입해서 자금을 운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남이 대신 운용해주는 것이죠
* ETF는 간접투자 상품을 내가 직접투자하는 것이어서 독특합니다.
2. ETF가 뭔가요?
*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 상장지수펀드라고 합니다.
* 상장 개방형 펀드 또는 단위 투자신탁. 주로 주가지수나 채권가 지수 등 특정 지수를 추종한다. 전세계 약 200개 자산운용사가 발행하고 있으며, 자산 기준 상위 운용사로는 iShares, SSgA, Vanguard 등이 있다.
기초 자산(대표적으로 주가지수)이 올라가면 ETF 가격도 그만큼 올라가고, 기초 자산이 내려가면 ETF 가격도 그만큼 떨어지기 때문에 주식시장 문외한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또한 기초 자산이 주가지수, 파생(레버리지/인버스), 원자재, 해외 주식, 채권, 환율 등 다양하기 때문에 투자의 폭이 넓다. (위키백과 인용)
3. ETF 투자
* 미래에셋대우증권 HTS 화면을 보니, ETF 종류가 많네요. Arirang, Hanaro, KBStar, Kindex, Kodex 등은 발행한 회사에 따른 분류입니다. 미래에셋대우와 삼성증권 등이 강자로 꼽히죠?
* 주식거래하듯 매매하면 됩니다. 가급적 거래량이나 거래대금이 많은 것을 이용하세요.
* 큰 그림을 보고 투자하는 것이기 때문에 쉽고 편리합니다.
* 세금 문제가 있습니다. 꼭 읽어보세요.
http://www.samsungfundblog.com/archives/39463
4. 나의 ETF 투자법
* 관심그룹 ETF를 HTS 화면에 올려놓았습니다.
* 국내 주식 ETF는 Kodex 200, Kodex 인버스, Kodex 레버리지, Kodex 200 선물인버스2X// Kodex 코스닥 150, Kodex 코스닥150 레버리지, Kodex 코스닥150 선물인버스 등으로 시장에 대응합니다.
* 해외 주식 ETF는 Tiger 차이나 CSI300, Tiger 차이나 CSI300 레버리지 등이 있습니다.
* 주식시장을 아주 낙관적으로 볼 때는 레버리지 상품을 이용하고, 비관적으로 보고 (1)하락장에서도 수익을 얻고자 하거나 (2)직접투자 포지션을 방어하고자 할 때는 인버스 상품을 이용합니다.
* 주식이외의 ETF: 채권, 통화(currency), 상품(commodity), 부동산 등이 있어요. 나의 관심종목은, Tiger 원유선물/인버스, Kodex 골드선물/인버스, Kodex 은선물, Kodex 구리선물, Tiger 농산물선물 등입니다.
5. 제안
* 잘 아는 것에 집중하세요. 위에 꼽은 것들은 내가 잘 아는 것들입니다.
* 투자 목적이 뭔가를 미리 정하세요. 공격이냐 방어냐에 따라 레버리지와 인버스로 투자하는 상품이 달라집니다.
성공투자를 빌어요.
굿럭 투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