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말을 만들 때 모델이 된 말은 “또 싸면서, (하는 말이, 곧) 이어 할게”이다.
이 말을 일본인들은 사투리로 “또 싸미, ‘이아께’ ”라고 했다.
이 말을 다시 현대 일본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백제글자”와 “이두”로 써보면 아래와 같다.
土 産み やげ
토 산미, 야게 (이두한자 ‘산’자의 종성을 없애면)
토 사미, 야게 (한자에는 ‘또’나 ‘싸’자가 없으므로 ‘토’자와 ‘사’자로 대용)
또 싸미, 야게 (‘야’는 ‘이아’의 줄인 말)
또 싸미, 이아게 (이 사투리를 현대인이 알기 쉽게 고치면)
또 싸미, 이아께
또 싸면서, 이어 할게 (가 된다)
*** 싸미; ‘싸면서’의 사투리.
*** ‘이아께(いあけ)’라고 표기하면 조선(한국)사람들이 ‘이것은 한국말이구나!’
하고 눈치 챌까봐 ‘이아게(いあげ→ やげ)’로 살짝 고쳤다.
명치이후 일본정부 산하 조선어 비밀연구원들이 위의 말의 띄어쓰기를
무시하며 함부로 갈라서 아래와 같은 사전적 단어를 만들어 내었다.
사실은 여기서 부터가 백제말(조선말)과 일본말? 과의 경계선이다.
おみやげ[御土産]; 선물 (*お, 御자는 존칭어)
**위 단어 “おみやげ”의 뜻은 ‘土産’자를 뜻으로 해석하여 ‘(또 싸)미 이아게’라는 백제말을 ‘선물’이라는 뜻으로 바꾸어버렸다.
이렇게 단어를 만든 결과 “土産”자를 “みやげ”라고 읽는 웃지 못할 꼴이
되었다.
이런 것을 우리는 “명치 식 읽기”라고 명명해 왔다.
*** ‘土産’자가 없었다면 ‘みやげ’가 원래 무엇을 의미했던 백제말인지 영영
몰랐을 것이다.
*** 위에서 보듯이 “백제글자”와 “이두”가 한 치의 착오도 없이 걸맞아 들어가므로 일본어는
백제어(조선어)를 이리저리 가공하여 만든 언어? 라는 것을 속 시원하게 밝혀주고 있다.
*** 모든 일본말이라는 것은 이렇게 만들어 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