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께서 수업중 언급하셨던 Human Development Index(HDI)에 관하여 나라별 비교, 한국의 HDI지수에 대한 전망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수업내용 이해에 도움이 되었으면 해서 자료 공유합니다ㅎㅎ
-인간개발지수(HDI)는 국제연합개발계획(UNDP)이 매년 문해율과 평균수명, 1인당 실질국민소득 등을 토대로 각 나라의 선진화 정도를 평가하는 수치. -각 순위 및 세부지표 수치는 각 해당년도 인간개발보고서(HDR) 발표시점 기준이며, 2020 HDI 및 구성지표 기준년도는 2019년이나, ‘기대교육연수’와 ‘평균교육연수’는 2019 혹은 2019년에 가장 근접한 연도를 기준으로 함. - 1인당 GNI는 구매력 평가 지수(PPP) 기준. - 평균 교육년수는 각 나라의 인구조사와 가구조사를 통해 조사됨. - (정의) 25세 이상 성인의 시점에서 초등교육 이상 교육 완료·이수한 평균 교육기간. - 기대 교육년수는 각 학교별, 나이별 취학률과 모든 교육기관 법정 수학연령 인구를 바탕으로 계산됨. - (정의) 특정연령집단이 일생동안 재학할 것으로 예상되는 교육기간.
-Human Development Indicator는 "0~1"의 값을 가지며 수치가 높을수록 인간개발 성취도가 높음.
개인적 견해: 고령화사회에 따른 다양한 복지로 우리나라의 HDI지수는 계속해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다양한 사회불평등과 관련한 개선과 기대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현재의 복지정책에서 더 나아가 노령에 대한 적극적인 인적자원개발 및 관리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첫댓글와우~ 주희가 역시 적극적으로 시작하네~ㅎ 인간개발지수의 측정항목들 거의 대부분은 앞서 말한 행복지수의 평가 항목에도 포함 된단다. 순위상으로 보면 HDI와 1인당 GNI는 거의 엇 비슷하네 우리 대한민국의 경우는 전 세계 순위에서 GDP > 1인당 GNI 와 HDI 엇 비슷 > 부패지수 > 행복지수 순으로 랭크되고 있구나. 역시 부패지수와 행복지수 측면에 부족한 면이 많구나.
첫댓글 와우~ 주희가 역시 적극적으로 시작하네~ㅎ
인간개발지수의 측정항목들 거의 대부분은 앞서 말한 행복지수의 평가 항목에도 포함 된단다.
순위상으로 보면 HDI와 1인당 GNI는 거의 엇 비슷하네
우리 대한민국의 경우는 전 세계 순위에서 GDP > 1인당 GNI 와 HDI 엇 비슷 > 부패지수 > 행복지수 순으로 랭크되고 있구나.
역시 부패지수와 행복지수 측면에 부족한 면이 많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