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 활성화제도 (42) : 상권활성화사업 1
상권활성화사업과 상권활성화구역
전통시장법은 상권활성화사업의 촉진을 위하여 상권활성화구역의 지정·변경 및 해제, 상권활성화사업계획의 수립, 상권활성화사업계획의 승인, 상권활성화의 지원, 상권관리기구의 설치, 상권활성화사업에 대한 지원효과 평가 등을 규정하고 있다.
중소기업청은 그 동안 상권의 일부분인 전통시장 및 상점가에 대한 지원에 치중하여왔다.
그러나 오랫동안 상점가·지하상가 등 주변 상업지역과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며 상권을 형성하여 왔던 전통시장은 신도시 개발 등의 영향으로 구도심의 공동화 현상과 함께 그 침체가 심화되었다. 이에 중소기업청은 전통시장이나 상점가가 하나 이상 포함되어 있고 일정수 이상의 점포가 밀집하여 상권을 형성하고 있는 상업지역으로서 상업기능이 침체되었거나 침체될 우려가 있는 지역을 ‘상권활성화구역’으로 지정하여 지원하고자 2011년부터 상권활성화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전통시장·상점가와 상권활성화구역의 구분
출처 : 2016 중소기업 연차보고서
상권활성화구역은 시장·군수·구청장이 직접 또는 상인조직을 대표하는 자가 신청하는 경우에 시·도지사의 승인을 받아 지정한다. 상권활성화구역을 지정한 경우에는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상권관리기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상권활성화사업은 2011년 최초 7개의 시범사업구역(서울 마포, 경기 성남, 강원 동해, 충북 청주, 경남 창원, 부산 동구, 전북 군산)이 선정되었으나, 기반인프라사업 예산 미확보에 따른 사업계획 미수립으로 인하여 전북 군산이 포기함에 따라 전국 6개의 사업이 실시되었다.
서울시 마포상권활성화구역은 주 고객층이 30∼40대의 직장인이고, 마포갈매기·족발골목 등 먹거리 중심의 상점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변의 대형마트 등이 입점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쇠퇴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들은 상권활성화구역 지정 이후 상인회를 중심으로 사단법인의 상권관리기구를 설치하여 지역 역사를 연계한 스토리텔링 홍보콘텐츠 제작과 축제, 마포나루 길 BI(Brand Identity)를 활용한 비누·팬시용품 등의 판매, 빈 점포를 활용한 임대용 판매부스 지원사업 등을 추진하였다.
경기도 성남시상권활성화구역은 주 고객층이 40대 이상이며, 현대시장·중앙시장·신흥시장을 중심으로 농·축·수산물, 잡화, 생활서비스상품을 판매하는 상권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들은 상권활성화구역 지정 이후 상인회를 중심으로 재단법인의 상권관리기구를 설치하여 고객들에게 개별점포의 행사·가격 정보의 제공, 소상공인들에게 DB를 활용한 정보제공 등의 판촉·마케팅 활동의 지원, 공동마케팅을 위한 판촉비 지원, 창업업종 발굴과 기존 점포의 신제품 메뉴개발 지원 등의 점포 육성, ICT를 활용한 온라인 커뮤니티구축사업 등을 추진하였다.
강원도 동해시상권활성화구역은 주 고객층이 40대 이상이며, 동쪽바다중앙시장만을 중심으로 지역 특산물, 농·축·수산물, 식당 상점가로 상권을 형성하고 있고, 주변에 묵호시장·북평시장과 대형할인마트가 입점하고 있어 쇠퇴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들은 상권활성화구역 지정 이후 재단법인의 상권관리기구를 설치하여 요리경연대회 및 전문가컨설팅을 통한 먹거리상품 개발·판매의 지원, 동해지역 관광지 연계, 노후 건물의 대형벽화·야외문화공연·동아리지원 등의 문화·예술창조사업 등을 추진하였다.
충북 청주상권활성화구역은 주로 40대 주부층을 대상으로 농산물·공산품 등을 판매하는 육거리시장과 10∼30대 고객들을 대상으로 레스토랑·커피전문점 등 로드 상점가 형태의 상점가로 구성되어 있는 성안길상점가로 상권을 형성하고 있고, 주변에는 대형백화점과 의류쇼핑몰 등이 입점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쇠퇴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들은 상권활성화구역 지정 이후 재단법인의 상권관리기구를 설치하여 지역의 역사·문화를 통한 스토리텔링 개발 및 활용, 빈 점포를 활용한 상인카페·체험교실·문화교실 운영, 지역유관기관과 협력하여 초등학생 대상의 문화자원과 전통시장 체험활동인 스탬프트레일 사업 운영, 특화거리 및 축제사업 등을 추진하였다.
경남 창원상권활성화구역은 고객층이 다양한 연령층이며, 의류·잡화 및 서비스 등의 점포로 구성되어 있는 오동동·창동 상점가와 농·축·수산물과 특화음식을 판매하는 어시장으로 상권을 형성하고 있고, 창원시의 지역개편에 따른 관공서 이동, 도심 외곽의 대형아파트·대형할인점 등의 건설과 신도시의 형성으로 구도심 상권이 급격히 쇠퇴하였다. 이들은 상권활성화구역 지정 이후 재단법인의 상권관리기구를 설치하여 공동브랜드를 활용한 홍보, 주말 특화거리 축제, 주민들이 자유롭게 참여하는 프리마켓 개장, 지역 청소년을 대상으로 탐방프로그램·체험프로그램 중심의 상권활성화구역의 교육·경제 및 체험활동을 제공하는 3E사업(Education, Economy, Experience) 운영, 상권활성화구역 예술촌의 명사를 구성하여 지역주민과 상인의 교류를 통한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문화아카데미사업 등을 추진하였다.
부산시 동구상권활성화구역은 주 고객층이 40대 이상이며, 의류·잡화, 생활용품, 서비스업 등의 점포로 구성되어 있는 범일동 조방거리의 자유도매시장·철물공구상가 등을 중심으로 상권을 형성하고 있고, 1990년 이후부터 부산의 대형할인점 및 쇼핑몰 등이 입점하면서 상권이 급격히 쇠퇴하였다. 이들은 상권활성화구역 지정 이후 간이시설물 설치와 전선지중화를 통한 구역정비, 공동브랜드를 통한 만화·달력 홍보물의 제작, 구역 맵 제작, 조방상권 캐릭터 개발 및 연계사업, 문화축제사업 등을 추진하였다.
위와 같이 상권활성화구역으로 지정되면 상인, 주민 등 다양한 이해관계인이 참여히여 해당 지역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현가능한 기반인프라구축사업(주차장, 특화거리 조성, 핵심점포 유치, 고객 문화센터 등)과 경영개선사업(캐릭터 및 디자인 개발이벤트 또는 문화축제 개최 지원 등)을 포함한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민·관 협력체인 상권관리기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사업을 수행하게 된다.
상권활성화사업의 지원체계
중소기업청은 3년간 지원되던 상권활성화 시범사업이 종료함에 따라 2014년부터 새로이 6개의 상권활성화구역을 지정하여 본격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신규로 지정되어 실시되고 있는 상권활성화구역은 경기도 의정부의 의정부시구도심상권활성화구역, 경기도 성남의 산성로상권활성화구역, 충남 부여의 부여도심상권활성화구역, 전남 순천의 순천시원도심상권활성화구역, 울산시 울주의 언양시장일원상권활성화구역, 부산시 해운대의 해운대상권활성화구역이다.
경기도 의정부의 의정부시구도심상권활성화구역은 의정부역을 중심으로 전통시장 3개(의정부제일시장, 의정부시장, 의정부청과야채시장)와 상점가 3개(의정부지하상가, 녹색거리, 로데오거리)를 중심으로 패션잡화, 액세서리, 부대찌개거리 등과 같은 식당, 화장품, 전자제품 등으로 상권을 형성하고 있다. 이 지역은 대형 유통업체의 입점과 금오지구, 민락지구 등 대규모의 택지개발로 상권이 쇠퇴하였다.
경기도 성남의 산성로상권활성화구역은 전통시장 1개(단대마트시장)을 중심으로 농·수·축산물, 가공식품, 잡화 및 생활용품, 음식점 등으로 상권을 형성하고 있다. 이 지역은 판교, 위례, 분당 등 인근지역의 개발로 인한 인구이동, 부동산경기침체로 인한 가계부채 중가 등으로 상권이 쇠퇴하였다.
충남 부여의 부여도심상권활성화구역은 전통시장 2개(부여중앙시장, 부여전통시장)을 중심으로 농·축·수산물, 도·소매, 식당, 생활서비스 등으로 상권을 형성하고 있다. 이 지역은 인근에 대형 아울렛, 여가시설 등의 입점으로 상권이 쇠퇴하였다.
전남 순천의 순천시원도심상권활성화구역은 전통시장 1개(중앙시장)와 상점가 5개(웃장인접상가, 원도심상점가, 중앙지하상가, 문화의거리, 황금로패션가)을 중심으로 농·축·수산물, 의류, 식당, 생활서비스 등으로 상권을 형성하고 있다. 이 지역은 대형유통업체의 진출과 교통발달에 따른 고객의 이탈현상 등으로 상권이 쇠퇴하였다.
울산시 울주의 언양시장일원상권활성화구역은 전통시장 3개(언양공설시장, 언양종합상가시장, 언양상점가시장)을 중심으로 가공식품, 농·축·수산물, 의류, 식당, 생활서비스 등으로 상권을 형성하고 있다. 이 지역은 대형유통업체의 입점과 전통시장 노후화로 인한 고객의 이탈현상 등으로 상권이 쇠퇴하였다.
부산시 해운대의 해운대상권활성화구역은 전통시장 3개(해운대시장, 구남로시장, 애향길시장)을 중심으로 식당, 의류, 생활서비스 등으로 상권을 형성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