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nnessee Williams: 1911년 3월 미시시피 주에서 출생. 아버지가 출장 세일즈맨이었던 관계로 외가에서 어린시절을 보냄. 외가의 청교도적 전통과 친가의 귀족 전통이 불안하게 합쳐진 환경 속에서 자라면서 그의 작품 속에서 보이는 양면적인 주제를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1918년 센트루이스로 이주하게 된다. 그는 복잡한 도시 생활에 적응을 잘하지 못했으며, 남부 사투리와 수줍은 성격 때문에 놀림을 받았다. 미주리 대학에 입학하면서 아버지에서 해방되는 것을 느꼈지만 ROTC과정에서 연속에서 낙제점을 받아서 학교를 그만두게 된다.
1.현실과 환상: 사회적 부적응자인 주인공들
Williams는 경제 공황과 전쟁의 사회적인 변동을 지내고 난 후에 정신적인 빈곤과 갈등을 맞이하게 된 황폐하고도 삭막한 세계를 그려내고 있으며, 기계적인 물질 문명의 피해와 인간성의 황폐함을 주인공들이 어떻게 극복해나가느냐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는 현실을 리얼하게 그려내면서도 주인공의 심리 상태에 초점을 맞추고, 즉 내용과 형식의 동일성을 추구하고 있다. A Streetcar Named Desire에서 여주인공은 과거의 화려했던 남부 지주의 시절을 잊지 못하고 자신의 현실에서 도피하기 위해 환상 속으로 빠져든다. 그녀는 “하얀 숲”이라는 이름과는 너무나 동떨어진 세계에서 살고 있다. 그녀가 찾아간 세계는 폭력과 다툼과 시끄러움만이 있는 곳이다. 또한 The Rose Tattoo에서의 여주인공 Rose는 현실상황을 받아들이지 않고 과거의 추억만을 미화시키고 이상화시키며 생의 의미를 완전히 상실하였다가 다시 사랑의 힘을 얻어서 삶의 용기를 되찾은 인물이다. 고립되고 소외된 생활을 해오던 주인공은 과거의 환상을 청산하고 현실로 돌아온다. Orpheus Descending는 신화를 기초로 하고 있는데 Orpheus는 최대의 시인이며 음악가인데 죽은 아내인 Eurydice를 구하기 위해 하계로 내려가 아내를 구출하지만 마지막 순간에 뒤를 돌아봄으로써 영원히 Eurydice를 하계에 잃어버리고 만다는 내용이다. Orpheus로는 작중인물인 Val 이 헌신과 신성을 상징하며 구원자로서의 역할을 하며 보안관의 아내의 대사에서 더욱 선명하게 나타난다. Val은 구원의 길을 보여주며 예수로서의 모습을 보여주게 된것이다. 현실속에서 빠져 나오려는 구원의 노력과 희생적인 사람의 노력이 제 3의 유형의 모습이다. 윌리엄스의 주인공들은 대부분이 남부 귀족의 후손들로 남북 전쟁 전에는 기세가 대단하고 높은 교양과 문화수준을 자랑하던 지주의 계급이었으나 전쟁으로 말미암아 농장 제도가 붕괴하게 되었고 그들의 경제적인 부와 사회적인 지위등이 쇠퇴하게 됨으로써 모든 면에서 부패하고 좌절하게 된다. 등장인물들이 강밥관념에 사로잡혀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방황하고 있으며, 과거지향, 동성연애, 신경쇠약, 알콜중독, 마약중독 등 개인의 문제로 귀착하고 있다.
2. 신화적 요소: 상징성
윌리엄스는 작품 속에서 사건 자체보다 사건이 나타내는 상징성에 더 많은 관심을 가졌다. 대부분의 학자와 비평가들도 윌리엄스의 작품에 대해서 논할때 그의 상징수법에 대해 얘기한다. 사실 상징은 그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언어였으며 그 상징적 언어로써 연극과 우리의 인생에 대한 문제를 바라보는 참신한 방법을 제시해 주고 있다. 미국의 많은 극작가들 중 그 누구보다도 신화에 관심을 나타낸 윌리엄스는 신화를 단순한 주체적 기능으로 한정시키거나 일시적 비극으로 간주한다기 보다는 어떤 고도의 극적 수법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윌리엄스는 극적 수법을 활용함에 있어 심리학적인 면에 역점을 두었으며, 신화를 인간 무의식의 원초적 언어로 간주하고 정신분석학자인 프로이드와 융, 인간심리의 기저와 미묘함을 드러낸 Rilk, Lawrence, Proust 로부터 직, 간접적으로 문학작품 전반에 걸쳐 영향을 받고 있다. 특히 윌리엄스는 대다수의 작품에 신화적 요소를 굴절, 가미했고 또한 고대 그리이스 신화및 기독교 신화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의 이름을 작품의 주인공들이 갖도록 함으로써 그들의 갈등, 비정상적인 성격, 그리고 죽음등의 묘사를 통해 원형으롯의 구심점 복귀를 추구하고 있다.
그의 이러한 신화적 양상이 여러 작품속에 내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신화적 양상의 내재 여부를 분석하는 비평가들의 견해가 각기 찬반론으로 엇갈리고 있다. 먼저 윌리엄스 극에 신화적인 요소가 내재해 있다고 분석하는 관점에서 보면 몇편의 고대희랍 비극의 연구를 통해 그것의 신화적인 근원을 찾아 풍요의 시과 여신, 희생과 부활의 원형적인 양상이 전체의 의미에 어떻게 연관되고 있는가를 알수 있다. 또한 일부는 윌리엄스의 극에 사회적, 역사적, 정치적 신화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그의 극에서 신화적 요소들과의 무관계설을 주장하고 있는 일부 학자들은 윌리엄스의 극에서 음악이 Orpheus Descending에서는 절대적인 세력에 어떠한 능력도 발휘하지 못하므로 Orpheus Theme을 찾아보기 어려우며, 희랍 신화에 나오는 Orpheus와는 전혀 관계없는 소재의 잔찌꺼기를 끼워 맞춰 억지로 Orpheus 신화와는 전혀 무관한 Battle에서 제목을 바꾸고 주인공에 기타만 갖게 함으로써 어색한 신호의 고전적 의미를 부여했다고 혹평하였다. 또한 윌리엄스의 작품에 신화적인 요소가 보인다고는 하면서도 희생자, 희생시키는자, 그리고 희생되는 환경과 세부적 작용들이 윌리엄스극의 전체적인 이미지며, 그의 사상이며 예술을 통해 표현된 개인적 환상이라고 주장하는 의견도 있다. 또한 그것은 신화적 요소가 없는 신화일 뿐이라며 Sophocles의 작품이나 생활에서 신화-종교-제사가 어떤 필요한 이미지와 같은 역할을 했던 것처럼 우리같이 신화-종교-제사가 없는 경우에는 하나의학문인 동신에 예술로서의 심리학이 하나의 활동적인 image of reality를 제공해 주었다는 것이 윌리엄스극의 특징이라고 한다. 극 전개에 가장 중요한 요소의 하나인 인물들이 신화에 나오는 이름을 차용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신화와의 관련상을 추적할 수 있으며 생성과 생각과 실존 양상에서 많은 신화적 모티프를 지적해 낼 수 있다. 신화는 외부세계를 인식함에 있어서 벽에 갇힌 인간존재의 한계를 탈피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창조되는 진화의 과정이다. 따라서 윌리엄스는 암담한 현실을 초월하기 위한 도구로서 신화를 인식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그의 작품에 나타난 신화적 양상에 대한 연구는 작품의 핵심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관건이라 할 수 있다. Orpheus Descending은 고대 희랍 신화에 나오는 Orpheus신화에서 인용한 제목이며, Suddenly Last Summer또한 로마황제 Diocletion의 신하였으나 기독교로 개종했기 때문에 처형당한 st.Sebastian의 순교를 적용한 작품이며 , The Night of the Iguana역시 총독에게 미움받아 화형당한 로마교회의 재산관리 집사였던 st.Lawrence Shannon의 이름을 차용하여 구성한 극이다.
3.심리학적 관점
윌리엄스는 인간의 내면적 리얼리티에 관심을 가진 작가이므로, 개인 영혼의 갈등과 심리적 강박관념 내지는 정신병적 분열의 징후를 노정하는 인간상, 다시말해 동성연애자, 음주광, 색정광, 살인자, 부랑아 등과 같은 심리적으로 왜곡된 인간들을 주로 그의 작품에 등장시켰다. 그는 자신의 체험을 통하여 인간이 자각하고 있는 것보다 더 큰 '그 무엇'이 존재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그 무엇'을 자아와 동일시 하여 자신의 진정한 자아를 추구하는 일을 가치있는 삶의 목적으로 설정했다. 따라서 윌리엄스가 그의 작품에서 일관적으로 추구하고 있는 주제는 정신적 완성을 위하여 자아를 추구하는 인간의 심리적 실체의 문제인 것이다. 윌리엄스의 작품에 나타나는 주인공들의 자아추구 과정은 융의 이론처럼 인간이 자기 안에서 자기 실현으로 나아가는 개성화 과정이기도 하다.
1947-1961년까지 윌리엄스의 희곡세계는 그의 주인공들이 개성화 과정에서 persona와 shadow가 조성하는 정신적 갈등을 겪는 주인공들의 내면세계를 그리고 있다. 1947년과 1961년 사이에 윌리엄스는 Summer and Smoke를 비롯하여 인간의 무의식적 원형의 세계를 그려낸 The Night of the Iguana 에 이르기까지 10편의 희곡을 완성했다. The Glass Managerie가 작품과 공연의 양면에서 대성공을 거둔후 윌리엄스는 그의 관심을 독신 여성에 집중했다. 신경증을 나타내기에 좋은 소재가 되기 때문이다. A Streetcar Named Desire의 블랑쉬도 숙녀의식으로 나타나는 persona와 그녀의 심층 의식 속에 잠재하는 욕망인 shadow 와 갈등을 겪게 되어 결국 신경증에 이르게 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참고문헌: Parker, Dorothy. Essays on Modern American Drama.. University of Toronto. 1987
http://engliterature.hihome.com에서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