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가장 유용한 적시성 정보이죠~^^》
🔊 5분 만에 훑어보는 연말정산 깨알팁
해마다 돌아오는 연말정산이지만 할 때마다 어렵고 헷갈린다. 매년 세법이 개정되면서 공제 항목이나 내용도 크고 작게 달라지기 때문에 번거롭더라도 미리 확인하고 준비해야 세금을 줄일 수 있다.
?자녀가 있다면,
?기부금을 냈다면,
?교육비, 월세나 주담대가 나간다면,
?신용카드를 쓴다면 등?
5분만 투자해서 연말정산 절세팁을 숙지해보자.
연말정산 Tip1 자녀 관련 공제 중복적용
-자녀세액공제(자녀수 1명은 15만 원, 2명은 30만 원 공제), 6세 이하 자녀세액공제, 출생∙입양세액공제 중복적용 가능
-올해부터 출생∙입양세액공제 확대) 1명당 30만 원 → 첫째 30만 원, 둘째 50만 원, 셋째 이상 70만 원
연말정산 Tip2 기부금 세액공제
-근로자가 부양하는 부모님∙배우자∙형제자매․자녀(나이제한 없으나, 소득요건은 충족해야)가 법정․지정기부금을 기부하는 경우 근로자의 기부금공제 대상
-정치자금기부금 및 우리사주조합기부금은 근로자 본인명의로 기부한 경우에만 공제대상
연말정산 Tip3 교육비 세액공제
-근로자가 대학에 수시 합격한 고등학생 자녀의 대학교 등록금을 미리 납부한 경우 자녀가 대학생이 된 연도에 교육비 세액공제를 받아야 높은 공제한도 적용
-공제 한도) 고등학생 자녀 300만 원 → 대학생 자녀 900만 원
연말정산 Tip4 월세액 세액공제
-집주인의 동의나 확정일자를 받지 않아도 세액공제 가능
-올해부터 배우자 등 기본공제 대상자가 계약을 체결하거나 고시원에 대한 임차 비용도 세액공제
-세액공제를 받지 못한 경우 5년 내에 경정청구
연말정산 Tip5 며느리, 삼촌은 기본공제 적용불가
-이혼한 배우자, 사실혼 관계에 있는 배우자에 대하여는 기본공제를 적용받을 수 없음
-자녀의 배우자(며느리, 사위), 직계존속의 형제자매(삼촌, 외삼촌, 고모, 이모), 형제자매의 가족(형수, 제수, 조카)도 기본공제 적용되지 않음
연말정산 Tip6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공제
장기주택저당차입금 이자상환액 공제대상은 주택의 소유자와 차입금의 차입자가 동일한 경우에 한하여 공제
연말정산 Tip7 장학금으로 낸 교육비 불공제
해당 과세기간에 사내근로복지기금, 학교 등으로부터 지급받은 장학금 또는 학자금으로 지급한 교육비는 세액공제 대상에 해당하지 않음.
연말정산 Tip8 신용카드 등 소득공제
-보험료와 기부금을 결재한 신용카드 사용금액은 신용카드 등 소득공제 대상에 해당하지 않음.
-보험료 세액공제와 기부금 세액공제는 가능
▶️ 출처: 국세청
🛒 알뜰한 부부를 위한 절세 재테크 전략
맞벌이 부부는
연말정산을 잘하면 소득세를 절약할 수 있다.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부터 이해해야
📌소득공제란
소득에서 공제하는 것으로 근로소득에서 근로소득공제를 한 후의 금액인 근로소득에서 공제하는 것을 말한다. 초과누진세율을 적용하는 소득세법에 의해서 같은 공제금액을 공제하더라도 소득이 높은 사람이 높을 세율을 적용 받으므로 더 많은 절세를 할 수 있다.
📌세액공제란
산출세액에서 공제하는 것으로 소득의 차이와 상관없이 공제되는 세액이 일정하다.
📕 맞벌이 부부에게 유용한 연말정산 팁
1. 소득공제는 급여가 높은 사람에게 몰아야
소득이 높으면 높은 세율을 적용 받을 수 있으므로 그만큼 절세 혜택도 커진다. 따라서 인적공제와 추가공제는 둘 중 소득이 높은 사람이 받는 것 유리하다.
단, 신용카드 공제의 경우 신용카드사용액에서 총급여액에 25%만큼을 공제하므로 소득이 낮은 사람이 유리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소득이 낮은 사람명의의 신용카드를 주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2. 소득공제 중 자녀가 있는 경우
기본공제대상자중 6세 미만 자녀가 2이상 있다면 한 사람이 몰아서 소득공제를 받는 것이 유리하다. 6세 이하 자녀가 2이상인 경우 다자녀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다자녀 세액공제는 기본공제 대상자중 6세 이하의 자녀가 2이상 있는 경우 1인 초과 시 1인당 15만원을 추가 공제 받을 수 있다.
3. 연말정산 세액공제 중 의료비공제
세액공제는 대상금액에 일정률 12~30%를 적용 하므로 소득에 상관이 없다. 그러나 세액공제 중 일정금액 총 급여의 일정부분 이상(3%)을 사용하는 경우 그 금액에 15%를 공제 해주는 의료비공제의 경우는 소득이 적은 자가 공제 받는 것이 유리하다.
4. 연말정산 세액공제 중 기부금세액공제
2천만 원까지 15% 초과분은 30%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고, 공제받지 못한 금액은 이월하여 공제받을 수 있다. 부양가족의 기부금도 모두 합산하여 받을 수 있다. 기본공제 대상자중 연령요건이 안 되는 사람의 기부금도 공제받을 수 있으므로 합산하여 공제 받도록 한다.
5. 연말정산의 세액공제 중 연금저축세액공제
연금저축 불입액 중 4백만 원까지 그리고 퇴직연금계좌납입액과 합산하여 7백만 원까지 12%(15%)에 해당하는 금액을 세액공제 받을 수 있다. 총급여액이 5천5백만 원 이하인 경우는 15%를 적용하므로 맞벌이 중 총급여액이 5천5백만 원 이하인 사람의 통장에 많이 불입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코노믹리뷰]
미리 준비하는 고소득자 연말정산
?고소득자의 연말정산은
?자산관리와 투자자산의 절세 혜택 이용
?금융종합과세 회피를 위한 분리과세 신청
?주식·채권 등의 투자수익에서 발생하는 세금 줄이기
?금융자산의 증여,상속 과정에서의 절세 방법
등을 중점으로 미리 준비하는 연말정산 내용을 담고 있다.
📌고소득자에 대한 소득세율 변경 내용과
📌연금저축과 신용카드 항목에서도
공제율이 인하되어 그 내용을 함께 안내한다.
요즈음 꼭 읽어보셔야하는 내용이죠~^^
http://m.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3236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