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용 |
누적외상성 근골격계질환
○ 누적외상성 근골격계 질환은 무엇인가?
미국의 NIOSH(산업보건연구원)에서는 누적외상성질환을 "적어도 1주일 이상 또는 과거 1년간 적어도 한 달에 한번이상 지속되는 상지의 관절부위(목, 어깨, 팔꿈치 및 손목)에서 하나 이상의 증상(통증, 쑤시는 느낌, 뻗뻗함, 뜨거운 느낌, 무감각 또는 찌릿찌릿한 느낌)이 존재하는 경우"라 정의. 각 직종별로 작업자세에 따라 허리, 하지에서도 발생할 수 있음
○ 누적외상성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요인은 무엇인가?
1. 위험요인으로는 불안전한 자세, 무리한 힘을 자주 사용하는 경우, 반복동작, 작업시간, 단단하고 날카로운 물체에 지속적 접촉, 진동, 한랭 등이 흔히 거론 2. 가정이나 직장에서 책임정도, 직장의 조직운영체계, 담당임무의 변화, 직장의 안정성, 보너스나 인센티브여부 등 정신, 심리적 요소와 사회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을 촉진
○ 무엇이 누적외상성 근골격계질환인가?
1) 어깨건초염 및 견관절충돌증후군 2) 경추척추증 3) 근막통증증후군 4) 수완진동증후군 5) 상완골외과염 6) 수근관증후군 7) 요골관증후군 8) 척골관증후군 9) 드케르뱅건초염 10) 방아쇠수지 11) 삼각섬유연골복합체손상 12) 주상골 피로골절 13) 요부염좌 14) 슬관절점액낭염 15) 슬관절연골연화증 16) 족저근막염 17) 결절종 18) 기타
○ 누적외상성 근골격계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어떻게 할 것인가?
1. 작업력 조사외 진단시 방사선과적검사, 근전도검사, 신경전도검사 등 특수한 검사가 필요하기 때문에 산업의학과 외래에서 직업관련성 평가
2. 작업관련성여부, 증상 정도, 유병기간 등에 따라 보건교육, 치료, 산재 처리 등 후속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