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경찬의 불교문화 한 토막]
매주 목요일 불교문화에 대한 짧은 글을 올립니다.
40. (6) 대지 문수보살, (7) 대행 보현보살
보현보살 석가모니불 문수보살
< 전북 부안 개암사 대웅보전 >
대웅전 석가모니불 좌우에 보관을 쓴 분이 있다면,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문수보살은 지혜를 상징하기 때문에 대지(大智) 문수보살, 보현보살은 실천을 상징하기 때문에 대행(大行) 보현보살이라고 합니다.
보현보살 석가모니불 문수보살
< 전북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 >
문수(文殊)는 만수시리의 준말입니다. 문수시리는 인도말 만주슈리의 음역입니다.
뛰어난 지혜공덕을 지녔다는 뜻입니다. 묘길상(妙吉祥), 묘덕(妙德) 등으로 의역합니다.
보현(普賢)은 인도말 삼만타바드라를 의역한 말입니다.
삼만타바드라는 ‘두루 훌륭하다’ 등의 뜻입니다. 변길(徧吉), 보현 등으로 번역합니다.
보현보살 비로자나불 문수보살
< 경남 창원 진불선원 >
보통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은 석가모니불 좌우로 모십니다.
물론 비로자나불 좌우로도 모십니다.
부처님은 양족존(兩足尊)이라고 합니다.
두 가지[양(兩)]를 갖춘[족(足)] 분[존(尊)]이라는 뜻입니다.
두 가지는 바로 지혜와 자비 또는 지혜와 방편 또는 지혜와 복덕입니다.
지혜는 문수보살과 연결되고, 자비와 방편과 복덕은 실천과 관계되니 보현보살과 연결됩니다.
따라서 부처님의 두 가지 덕을 문수보살과 보현보살로 나타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찰에서는 왼쪽을 정적으로, 오른쪽은 동적으로 봅니다.
따라서 실천이 지혜보다 동적이므로 문수보살이 (부처님을 중심으로) 왼쪽, 보현보살이 오른쪽에 자리합니다.
보현보살
< 충남 공주 마곡사 해탈문 >
문수보살
< 충남 공주 마곡사 해탈문 >
간혹 문수보살은 지혜를 상징하는 푸른 사자 위에 있고, 보현보살은 실천을 상징하는 하얀 코끼리 위에 자리합니다.
푸른 사자를 탄 문수보살과 하얀 코끼리를 탄 보현보살은 사찰의 산문[해탈문, 금강문] 등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때 보살들은 동자[어린아이]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문수동자, 보현동자라고 합니다.
보현보살 석가모니불 문수보살
< 강원 양양 진전사 대웅전 >
문수보살 보관 사자
< 강원 양양 진전사 대웅전 >
보현보살 보관 코끼리
< 강원 양양 진전사 대웅전 >
문수보살
< 강원 원주 보문사 >
보현보살
< 강원 원주 보문사 >
요즈음 문수보살과 보현보살 보관에 각각 사자와 코끼리를 새겨놓기도 합니다.
문수보살
< 경북 영동 반야사 문수전 >
문수보살을 별도로 모신 문수전은 있지만, 보현보살을 모신 보현전은 저는 아직 보지 못했습니다.
보현보살 문수보살
< 경남 하동 쌍계사 국사암 문수전 >
지리산 쌍계사 국사암 문수전에는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함께 모시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