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진안고원길
 
 
 
 

회원 알림

 

회원 알림

다음
 
  • 방문
  • 가입
    1. 감사한 영숙삶
    2. 김민주
    3. 느린오후
    4. elephant
    5. 정릉토박이
    1. 김혜숙
    2. 박윤주
    3. 니케양
    4. 신은향
    5. 레지나
 
카페 게시글
무진장고원길 큰됫골이 대성리가 된 이야기
최태영 추천 0 조회 174 20.02.10 00:34 댓글 12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0.02.10 14:19

    첫댓글 장수지명유래 연구에 저도 관심이 많습니다.
    자고개가 잣고개, 작고개 전에 장수군 지도를 훑어보고 답사를 해보면서 명칭이 달라 헷갈리는 부분이었습니다.
    저도 자고개가 맞다고 추정은 합니다만 명백한 근거가 없네요.
    예로부터 자고갯길이 합미성과 연결되는 길이며, 비행기재에서 생겨난 신작로로 인해 옛길이 고원 초입 아스팔트로 잘려나갔습니다. 자전거 그란폰도 길을 답사하면서 알게된 사실이죠.
    자고갯길이 산서와 장수읍을 이어주는 길인데 장수읍내로 가는 용계마을로 이어지고, 용계마을 아래 둔덕이 있는데 고인돌과 고분 추정지역이 있습니다.
    큰 교통로 주변에 꼭 고분 추정지 둔덕이 있기 마려입니다. 확인되지 않은 고인돌

  • 작성자 20.02.11 17:30

    자고개는 명백한 근거가 있어요. 옛지도에 척치라고 나와 있습니다.

  • 20.02.10 14:25

    어른들로부터 성재라고 불리는 동네들은 그 인근에 산성이나 봉수봉화 유적이 있는 인근 마을입니다.
    봉수봉화 유적인 석축 주변에 방호벽을 치르는 양식이 많아 시간이 지나면 성벽 흔적들로 보는 경향이 많습니다.

    비행기재의 지명 유래도 비행기가 아닌 저도 뱀(배암)과 같은 동물에 유래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비행기재를 내려와 만나는 19번 국도가 가로지르는 수분재와 장수읍내로 연결되는 도로 옆 금남호남정맥의 산 봉우리 이름이 사두봉입니다. 사두봉은 정맥의 능선이 뱀머리가 길게 자리한 모양이라 사두봉이라 칭하더군요.

  • 작성자 20.02.11 17:30

    비암머리봉. 비암재와 연결되는 재미있는 추리입니다.

  • 20.02.10 14:29

    구평마을 또한 마을이름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지 못했는데, 구암마을 주민들은 유대가 좋습니다. 가끔씩 마을 나가면 시간날때 어르신들에게 마을이름 유래에 대해 물어봅니다만 잘 알고 있는 분들이 다 돌아가셨다고 합니다. 산서지역이 워낙 쌀농사가 많은 지역이라 합미성과도 연결되는 저장창고의 의미가 될텐데 더 깊은 고민은 못했습니다.

    성재라는 마을이 번암에는 성재마을이 공식적으로 존재합니다. 주요 교통로 고갯길 아랫마을은 성재마을이라는 공통점이 있기도 하고요, 몇가지 공통되는 부분으로 저도 추정에 참고하고 있습니다.

  • 20.02.10 14:32

    참고로 장계에서 계북으로 넘어가는 고갯길 이름이 공식적으로 집재라고 나오는데 그 지역 지리에 해박한 어르신의 이야기로는 깁재라고 하였답니다. 깁이 순 우리말로 비단이라는 뜻이죠, 중국에 주요 교통로였던 비단길과 마찬가지로 깁재-깁고개-비단고개 라는 의미로 해석되는 것이죠,
    예로부터 비단이 많이 오고가던 옛 상인들로부터 큰 장을 드나들던 길이였은 틀림없는 부분이죠.,

  • 작성자 20.02.11 23:38

    ‘깁’(비단 羅)이 ‘집’으로 바뀌는 것은 우리말의 구개음화 현상입니다. 그 ‘어르신’의 증언은 신빙성이 있습니다.
    옛지도에도 나치(蘿峙)로 나오거든요.

  • 20.02.12 00:37

    @최태영 구개음화 부정회귀의 예로 기름이 지름으로 불렀단 남도방언의 특징이더라고요, 백화여고 전 교장 선생님이 국어과라 알려주셨고요,
    집재는 깁재가 사실인듯 합니다, 알려주신 어르신은 신흥고 역사교사 출신으로 삯다리(신기)마을 이장님이시고 지명에 대해서 많이 알고 계셔서 저도 많이 배웠습니다
    그리고 방아재 침령산성에 대한 침령으로 잘못 표기된 해프닝을 알고 지적하신분이 장수향교 전교 출신이십니다 이 어르신은 근래 건강히 안좋아지시는데 요전마을 전 이장님이십니다
    어르신들의 귀한 구전 이야기들 기록해두어야 하는데 참 안타깝습니다

  • 20.02.12 00:26

    @최태영 나치의 나 자도 한자로는 비단이란 뜻이고 장계에서 천천으로 하르는 한 줄기의 물줄기가 나치천이라고 저도 지도에서 확인했습니다
    이 사실도 읍내 거주하시는 어르신이 알려주셨습니다
    제가 고대 장수에 대한 해설을 하다보니 여기저기 어르신들이 많이 알려주시고, 이 지역에 관한 많은 책들을 디져보니 고대 반파국 시절 지명이 오래 구전되는 것 같습니다

  • 작성자 20.02.12 00:45

    @명헌 구개음화 현상은 굳이 국어과 교장선생님 아니어도 중학교 국어시간만 제대로 공부했다면 누구나 알고 있는 우리말의 (잘못된) 발음습관입니다. ^^

  • 20.02.10 14:33

    선생님의 글을 보니 흥미롭습니다. 더 많은 생각들 나눠주시면 저도 미미한 정보 보태고 배울 것 같습니다.

  • 작성자 20.02.11 17:31

    감사합니다. 함께 놀아 보시기로 하지요. ^^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