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호흡 및 순환 생리
(1) 호흡생리
1) 호흡계의 구조와 기능
▶ 호흡 ; 대사에 필요한 산소를 조직까지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몸밖으로 내보내는 일
▶ 흉막 사이의 공간을 흉막강(pleural cavity) ; 늑막액(윤활제)- 대기압보다 낮은 음압상태
▶ 기도 ; 공기를 가스교환이 일어나는 폐포까지 전달하는 구조물.
1. 기관 내 이물질을 제거, 계면활성제를 생산.
2. 가스교환
3. 산-염기 균형 (PH 7.35 - 7.45) ; 폐의 PCO₂; 3.5 - 4.5 가 유지되어야 함(많을수록 산성화)
/ O₂; 80 - 100
2) 호흡기전
▶. 외호흡 ; 대기와 폐포 사이의 폐환기. (폐포와 모세혈관 사이의 산소와 탄산가스의 확산)
▶. 내호흡(internal respiration) ; 혈액과 조직세포사이의 확산.
1. 환기(ventilation)
▶ 가스교환을 하기 위해 공기가 폐로 들어가고 밖으로 나가게 되는 공기의 순환과정.
- 흡기와 호기에 의해 일어남.
▶ 폐에 공기가 들어올땐 폐내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다.
▶ 흡기 동안 횡격막과 외늑간근은 수축 ↔ 호기시는 이완되고 흉곽내의 압력이 증가, 공기가 폐밖으로 나감
2. 폐의 신장성, 탄성반동, 기도저항
▶ 폐신장성(lung compliance) ; 폐 팽창력 , 신장력 - 호흡시 폐가 완전히 신전하면 다시 원상태로 돌아
가려는 탄성반동의 결과 폐포내압과 흉곽내압이 균형을 이룬다.
▶ 탄성반동(elastic recoil) ; 흉벽으로부터 떨어져 폐가 허탈되려고 하는 지속적인 경향
3. 폐용적과 폐용량(pulmonary volumes & capacities)
① 일회 호흡용적(tidal volume) ; 500ml
② 흡기성 예비용적(inspiratory reserve IRV) ; 3100 ml
③ 호기성 예비용적(expiratory reserve ERV); 1200
④ 잔기용적(residual v. RV); 1200ml
⑤ 폐활량 (vital capacity VC); 4800ml
⑥ 총폐용량 ; 6000ml
▶ 폐용적은 임신,운동, 비만, 폐질환 유뮤에 따라 다양하게 변한다.
4. 가스확산(gas diffusion)
① 확산은 산소,이산환탄소와 같은 가스가 분자나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성질.
② 폐포내 산소압이 혈액 내 산소압보다 크면 산소는 혈액으로 확산된다.
③ 폐포 내 산소분압은 100mmHg / 정맥혈 내의 산소분압은 60
④ 폐모세혈관을 통과한 혈액은 산소화된 동맥혈로서 체순환.
⑤ 폐부종이나, 다른 폐질환이 있어 호흡막이 두꺼워지면 가스의 확산은 감소,
⑥ 호흡막의 표면적이 폐기종, 폐엽절제로 감소되면 가스교환이 방해.
5. 가스운반(transport of gases in the blood)
① 혈액 내에 물리적으로 용해된 상태 / 헤모글로빈과 결합된 상태로 운반.
→ 폐포에서 확산되어 혈액속으로 들어온 산소는 97%가 적혈구의 헤모글로빈과 결합
= 산화헤모글로빈 (Hbo) 3% 는 혈장에 용해되어 수송.
② 폐에서 조직으로의 산소이동은
㉠ 심박출량 ㉡ 적혈구수와 적혈구 용적률, ㉢ 운동에 의해 영향을 받음.
③ 정상적인 심박출량 1분에 5L / 혈액 100ml 당 산소는 20ml 가 결합.
④ 적혈구 남자 500만 mm³, 여자 450만 mm³(남자는 40~50%, 여자는 37~47%)
⑤ 적혈구 용적률의 비정상적인 상승
㉠ 혈액의 점성을 상승 ㉡ 심박출량 감소 ㉢ 산소운반 감소
6. 호흡조절
▶ 신경성 조절로서 뇌의 호흡중추의 활동성을 통하여 호흡률과 깊이, 호흡수를 조절.
① 신경성 조절 ; 연수와 교(medulla, pons)에 흡식과 호식조절.
② 화학적 조절 ; 체액 내에 산소,탄산가스, 수소이온의 농도를 적절하게 유지.
㉠ 항상성 유지에 기여
㉡ 체내의 대사상태를 조절.
③ 극심하게 춥거나 심한 저체온은 호흡을 억제.
④ 동통 ; 호흡수를 증가
⑤ 호르몬 ; 아드레날린, 프로게스테론이 증가되었을 때 호흡 증가.
⑥ morphine, barbiturates, 마취제, 알콜 - 호흡 저하.
⑦ salicylates (아스피린 계) ; 호흡수와 일회용적을 증가.
7. 정상적인 호흡양상
① 신생아 ; 30 - 60회 / 성인 1분에 12 - 20회
② 호기에 걸리는 시간은 흡기에 비해 두배 차이가 난다.
③ 깨어있는 사람은 수면중인 사람에 비해 약간 빠르다.
(1) 순환생리
1) 순환기전
1. 심장전도계
▶ 동방결절 ; 심장박동을 시작하는 지점. pacemaker.
2. 심장박동
▶ 정상 박동수 ; 60 - 80회 / 신생아 분당 120 -160회
3. 혈액과 혈류량
① 적혈구 ; 산소를 운반 / 플라즈마(혈액의 혈장 단백) ; 세포에 영양분, 미네랄, 전해질 운반
② 적혈구, 혈장단백질의 증가로 인한 혈액점도의 증가는 혈압을 상승.
③ 빈혈, 적혈구 감소는 혈압을 하강.
④ 혈류량은 심박출량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4. 전신순환.
▶ 상대/하대정맥 - 우심방 - 우심실 - 폐동맥 - 폐(폐포 ; 가스교환) - 폐정맥 - 좌심방 - 좌심실
▶ 우심방으로 들어가는 피가 못들어가면 - 간비대, 전신부종
▶ 좌심방의 문제 - 호흡곤란
5. 관상순환
① 목적
㉠ 심장근육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
㉡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해 동맥, 정맥으로 구성.
② 심장은 공급받은 산소의 75%를 소모 - 뇌, 신장
Ⅱ. 산소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생리적 요인
1) 산소 운반력
- 호흡수 증가, 호흡곤란이 발생요인
① 순환 혈액량 감소
② 빈혈에 의한 헤모글리빈 감소
③ 이산화탄소의 중독으로 산소운반력 감소시
2) 대사율
- 감염증, 뇌출혈, 뇌종양 ; 체온이 상승하면 신체 대사율이 증가 - 산소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호흡수 증가
3) 흉곽 팽창 정도
① 무기폐 ; 폐조직이 경직, 두꺼워지면 폐흉부의 팽창을 방해해서 폐실질과 폐포 손상된 상태.
② 임신 말기 ; 흉곽의 용적이 감소.(태아가 횡격막을 향해 상복부를 밀어 올리므로)
③ 비만한 사람 ; 폐가 충분히 팽창하지 못해 폐용적 감소, 과소환기되어 상기도염, 폐렴
④ 누두흉,척추후만(kyphosis) ; 폐확장을 방해하여 과소환기증, 혈액 내 산소량 감소.
4) 기도폐색(airway obstruction)
① 공기는 좁아진 기도를 통과하기 위해 호흡시 더 많은 노력이 요구
② 폐암환자 ; 종양이 대기관지를 막아서 호흡곤란
③ 염증반은 ; 기도의 부종을 유발
④ 후두염 ; 목의 조직을 붓게 하여 상부기도를 막아 기도폐색을 유발.
(2) 환경적 요인
1) 공기오염 ; 호흡계를 자극하여 점액생성의 증가를 유발, 기관지염과 천식에 영향.
2) 화분과 알러젠
(3) 일상생활 요인
1) 영양
1. 쇠약증 ; 기침능력을 감소시켜 폐의 분비물 축적을 초래.
2. 콜레스테롤 (density lipopotein)
① LDL(low) ; 지질을 간으로부터 말초조직에 운반하여 혈관내막에 침착, 혈관내피 세포손상 초래.
- 100이하 정상
② HDL(high ); 혈관이나 몸속의 지질을 간으로 운반,저장. 손상된 혈관을 보수, 혈관의 막힘을 청소.
- 35-70
3. 흡연
4. 운동 ; 신체의 대사율과 산소요구를 증가.
5. 체위 ; 똑바로 선자세 ( 폐의 팽창을 쉽게) → 앉아있기 → 누워있기
6. 약물과 음주
① 중추신경계의 기능을 약화시켜 호흡감소
② 피임약 ; 색전의 위험을 증가, 혈액응고 과정을 향상 - 색전증, 하지정맥류 가진 사람은 사용불가.
③ 폐경기 후 ; 호르몬 대체요법을 사용시 LDL / HDL 콜레스테롤이 증가. (정상유지하면 심장기능 원활)
7. 비만 ; 호흡부전, 심부전 발생의 주요 위험인자.
(4) 발달적 요인
1. 미숙아 ; 폐의 계면활성제 합성 능력 부족.
2. 영유아 ; 상기도 감염, 기도폐쇄.
3. 학령기 아동, 청소년 ; 흡연으로 인한 심폐질병
4. 노년기
(5) 정서적 요인
1) 스트레스
2) 불안과 우울
Ⅲ. 산소화 기능변화와 일반적인 증상
(1) 산소화 기능변화
1) 호흡양상의 변화 ; 1분에 10-24회
1. 무호흡 ; 일시적, 영구적 호흡의 정지
2. 과대호흡 ; 깊은 호흡
3. 과소호흡 ; 얕은 호흡 - 진정제(Lartotics) , 마약투여후, 호흡근육의 부분마비시
4. 빈호흡 ; 1분에 24회 이상의 빠른 호흡
5. 느린호흡 ; 1분에 10회미만 - 뇌내압의 상승,진정제나 마약투여
6. 기좌호흡 ; 직립의 자세에서 편한 호흡- 심부전
7. 역행호흡 ; 흡기동안에 폐가 팽창 - 다발성 늑골 골절시
8. Kussmaul's respiration ; 발작적 호흡곤란으로 깊고 긴 호흡 - 당뇨병성 혼수시
→ 350, 600 이상일 때 acid 로 빠짐(산독증), 케톤산(과일향)이 나오면 생기는 호흡
9. Biot's respiration ; 과소호흡이면서 빈호흡하며 무호흡
- 뇌내압(ICP)의 상승, 두부손상, 뇌막염, 뇌농양
10. Cheyne Stokes respiratiom ; 규칙적인 무호흡,심한 과소환기 - 심부전증, 신경질환으로 인한 무의식
에서 발생(ICP상승시)
2) 저산소증(hypoxia)
1.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한 체조직의 산소부족.
2. 초기증상 ; 과대환기, 빈맥, 고혈압, 안절부절, 두통, 경미한 착란.
3) 심박출량 변화
1. 심장근육 손상
① 영양공급의 장애로 발생
② 과도한 운동, 감염,염증, 침윤되는 신진대사, 질병, 영양부족, 약물남용
2. 판막기능 부전 ; 류머티스성 열
3. 전도장애
① 심장의 펌프기능 부전을 초래
② 부정맥은 전도장애 이상 ; 심장근육, 전도계 손상, 관상혈류 감소,혈액내 산소부족,투약,혈청 전해질의
변화, 스트레스
4) 혈류의 변화
1. 동맥기능 부전 ; 동맥폐색(이 주된 원인 - 죽상경화증(지질쌓임 ; 동맥내벽에 끼는 기름기가 마치 죽과
같다해서)은 동맥폐색의 원인
2. 모세혈관 기능부전 ; 허혈, 주위 신경의 압박으로 통증 유발
3. 정맥기능 부전 ; 고혈압을 악화, 허혈의 원인(우심장 기능부전과 비효율적인 판막때문)
(2) 산소화 기능변화의 일반적인 증상
1) 기침
1. 기도의 자극에 대한 반사반응
2. 주요기능 ; 기도를 막는 이물질을 제거.
2) 객담생성
1. 기도의 또 다른 방어적인 특징 ; 건강한 사람의 기침은 마르고 점액이 거의 없다.
2. 객담의 색상, 양, 점도를 알아낸다.
3) 호흡곤란(dyspnea)
1. 힘든 호흡과 숨이 찬 감정
2. 주증상(chief complain) ; 폐질환
4) 흉통(chest pain) ; 통증 유발, 폐렴환자(심호흡시 통증 - 폐렴은 폐포의 염증이여서 가스교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음)
5) 비정상적인 호흡음
6) 보조근육의 사용 ; 어깨가 올라가는지, 목의 근육 긴장
7) 청색증(cyanosis) ; 눈과 입안의 점막 내 산소의 양이 감소상태.
- 말초청색증은 추운날 손끝이 푸른것일뿐..
8) 곤봉상(clubbing) ; 말초에 장기간 산소공급이 부족상태, 손톱의 각도가 180°이상증가.
- 폐질환환자에게.
9) 일상생활 활동의 변화
1. 무력감
2. 요리 ; 영양불량의 문제
3. 옷입기
4. 목욕 ; 후두절제술, 영구기관 절제술 환자는 주의 / 샤워는 기도내의 점막에 습기를 부여
(호흡곤란 환자에게 좋음)
5. 배변 ; 매주 중요, 빠른 호흡유발. / 변비는 복부팽창을 유발, 횡격막의 운동을 제한.
6. 의사소통 ; 호흡계 환자는 의사소통을 거의 하지 않음.
Ⅳ. 산소화 장애 대상자의 간호과정
(1) 사정(Asses)
1) 주관적 자료
1. 정상적 기능의 확인 ; 대상자가 자주 기침을 하는지, 호흡, 객담.
2. 위험요소의 확인 ; 장기간의 습관, 직업적 노출, 과거질환에서 유래 - 요리취향,식이습관,포화지방,
콜레스테롤,
3. 기능장애의 확인 ; 만성 심폐질환을 가진 대상자는 소외, 냉담 - 우울동반 / 활동제한
2) 객관적 자료(objective data)
1. 신체검진
① 시진(inspection)
㉠ 호흡횟수와 호흡유형 ; 어지러움증과 호흡성 알칼로시스 유발
(O₂가 많이 들어온 상태로 CO₂를 넣어야함)
㉡ 호흡시 어깨나 목의 근육을 사용하는지를 관찰
㉢ 피부색을 확인(입술과 혀밑의 청색증)
㉣ 흉부기형, 상처, 종양 확인
② 촉진(palpation)
㉠ 진탕음(fremitus ; 흉벽을 통한 공기운동으로 인한 진동) - 견갑골 내의 공간은 진탕음을 촉진하기에
가장 좋음.
㉡ 늑막삼출, 폐부종, 폐기종, 기관지폐색시에 나타남.
③ 타진(percussion) ; 체액이 고인 부위
④ 청진(auscultation)
⑤ 객담사정(sputum assesment)
㉠ 정상 분비물 ; 투명, 흰색, 무취, 중정도의 점도
㉡ 탈수 환자 ; 탁하고 끈적이는 객담
㉢ 폐부종 환자 ; 거품이 있는 분홍색의 분비물
㉣ 호흡기 감염시 ; 노란색, 녹색의 악취나 곰팡이 냄새(폐렴증상)
2. 진단적 검사
① 흉부 X-ray ; 늑막 내에 비정상적인 체액(늑막염), 공기가 있는지 알아낼 수 있다(폐기종).
② 폐기능 검사
㉠ 폐의 크기와 기도의 개방 정도를 측정
㉡ 폐량계 ; 폐활량과 폐내의 공기의 흐름을 그래프로 보여줌.
③ 객담배양 ; 감염을 유발하는 균을 확인하기 위해 배양 / 2~3일 소요. / 수집은 이른아침 기침의 객담
④ 동맥혈액 가스분석
㉠ 혈액내의 산소, 이산화탄소와 Ph는 가장 믿을 수 있는 가스확산지표. ㉡ PaO₂는 산소가 유용한지를
보여주는 지표.
⑤ 맥박 산소측정(pulse oxymetry)
㉠ 비침습적 방법, 산소와 결합한 헤모글로빈의 백분율을 알아내기 위해 적외선 사용.
㉡ SaO₂가 95% 이상이면 정상으로 간주.
㉢ 실내불빛, 대상자 움직임, 흡연, 대상자의 손톱, 어두운 광택제의 사용, 감지장치의 정확도에 영향.
⑥ 기관지경(bronchoscopy)
㉠ 코를 통해 삽입하여 기도를 직접 보면서 확인.
㉡ 객담을 채취,조직표본을 얻거나 기도를 폐색시킨 흡입된 물질,거대한 객담을 제거하여 사용.
㉢ 간호중재 ; 대상자의 동의서(consent form)를 받았는지 확인, 구토반사가 돌아올때까지
(시술전 12시간까지) 금식상태 유지.
⑦ 피부반응검사 ; 알레르기 반응을 알아내기 위해 실시. / PPD(purified protein derivative); 결핵에
노출된 과거력여부
⑧ 혈액검사
㉠ 적혈구는 200-300개의 헤모글로빈 분자를 가짐.
㉡ 신생아 ; 14 ~ 20g /100ml , 남자 ; 14 ~ 18 , 여자 ; 12 ~ 16
㉢ 노인이 될 수록 만성 질병, 식욕감퇴, 영양결핍 등이 있을 때 헤모글로빈치는 감소.
㉣ 혈장 전해질, 혈장글루코즈, 갑상선호르몬, 크레아틴(비뇨계의 건강상태 여부)과 BUN의 대사산물,
콜레스테롤 확인.
㉤ LDH, CPK 의 특정효소 검사 ; 심근경색의 진단
⑨ 심전도 검사 ; 심방,심실의 비대, 심근경색증, 부정맥, 전도장애, 심낭염, 심근손상의 기능상태
⑩ 혈역학 검사 ; 혈액순환과 관련된 검사 - 심박출량, 혈압, 정맥압, 폐동맥압의 측정 검사
★ 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y) ; 우심방에서 측정, 들어오는 혈액의 압력을 본다.
정상 3-11mmhg
(2) 간호진단 ; NANDA(North American Nursing Diagnosis Association)
1)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 흡기, 호기유형이 적절한 폐의 확장과 축소를 할수 없는 상태
1. 특성 ; 호흡곤란,빈호흡,진탕음, 비정상적인 동맥혈 가스분석 수치,청색증,기침,호흡깊이 변화,손상된
가슴운동 / three-point position의 가장,pursed-lip breathing, 증가된 전후지름,
2. 관련요인 ; 신경 근육계의 손상, 통증, 근골격손상, 지각이나 인지 손상, 불안, 에너지 감소와 피로
2) 비율적인 기도청결 ; 기도의 개방성을 유지하기 위해 호흡기 통로의 분비물, 폐쇄물질을 제거할수 없는
상태
1. 특성 ; 비정상적 호흡음, 호흡횟수와 깊이변화, 빈호흡, 객담있는 기침, 청색증,호흡곤란
2. 관련요인 ; 감소된 에너지와 피로, 기관과 기관지의 감염, 폐색, 분비물, 지각이나 인지손상, 상해
3) 손상된 가스교환 ; 폐포와 혈관계 사이의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감소된 상태
1, 특성 ; 혼돈,기면,불안정, 과탄산증, 저산소증
2. 관련요인 ; 환기와 관류의 손상
4) 심박출량 감소 ; 불충분한 심장 펌프작용으로 인해 조직에 충분한 혈액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
1. 특성 ; 부정맥, 빈맥, 말초맥박의 감소, 추위, 수포음, 호흡곤란, 좌위호흡, 부종, 어지러운, 기침,
허약함 피로감
2. 관련요인 ; 고혈압,심장,혈관질환,흡연,고콜레스테롤혈증,노화,당뇨병,비활동성 생활,비만,스트레스,
심장부하증가, 증가된 체액량
5) 활동 내구성 결여 ; 요구된 일상생활을 수행하기에 불충분한 에너지 상태
1. 특성 ; 빈호흡, 호흡곤란, 약한 맥박, 활동시 과도한 맥박 증가나 감소
2. 관련요인 ; 심장이나 혈관질환, 폐질환의 병력, 운동내구력 저하, 흡연, 부동, 스트레스, 근육약화, 통증,
피로
(3) 간호계획
1. 효율적인 호흡양상
2. 적절한 산소화 유지.
3. 호흡기계 분비물을 제거하는 능력
4. 자기 개념과 생활양식의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응
5. 심폐기능을 회복.
(4) 간호수행
1) 산소화 유지증진에 대한 간호 ; "기도유지" 가 최우선.
1. 호흡기 감염예방
① 감기나 폐렴같은 감염성 질환의 발생을 감소.
② 고위험 집단 ; 노인,천식,C OPD (만성 폐쇄성 질환자-만성기관지염,천식,폐기종)와 같은 호흡계질환자,
AIDS 같이 면역기능 부전환자, 건강간호 전문가들 - 인풀루엔자에 대한 예방접종
2. 금연의 격려
3. 알레르기원의 감소
① 알레르기 항원의 노출을 줄이는 것이 중요 예방
② 항원 탈감작법 프로그램 적용.
4. 적절한 수분의 공급 ; 금기 아니라면 하루 1500 ~2000 ml 의 수분섭취를 권장.
5. 적절한 체위와 운동 ; 기도점액을 기도에서 배출하기 쉽도록 하는데 도움.
2) 산소화 문제를 가진 대상자 간호
1. 환기증진
① 기침 ; 분비물을 상부기도로 밀어 올려서 제거.
㉠ 깊은 기침 ; 폐질환이 없는 수술 후 대상자에게 깊은 기침을 하도록 함 - 협착된 폐포를 개방
㉡ 여러번 나누어 하는 기침 ; 봉합부위의 과도한 긴장을 예방, 깊은 기침에 수반될 수 있는 기도협착을
줄인다.
㉢ 낮게 부는 기침 ; 만성 폐쇄성 폐질환 대상자에게 효과적. 3~4회 나누어 "huff" 라고 한다.
㉣ Quad 기침 ; 신경근육질환자, 사지마비 대상자, 상기도쪽으로 힘을 주어 공기를 위로 밀어냄
(Heimlich maneuver)
② 흉곽 물리요법 ; 과도한 기관지 분비물 제거
㉠ 타진(percussion)
ⓐ 배액시킬 부위의 흉벽을 두드리는 것.
ⓑ 분비물의 농도를 변화시킴,
ⓒ 기도벽으로부터 끈끈한 분비무를 떨어뜨려 이동.
㉡ 진동(vibration) ; 공기의 와류를 증가시켜 짙은 분비물을 묽게 하기 위해 사용.
㉢ 체위배액(postural drainage) ; 중력을 사용하여 분비물을 움직이도록 하는 것.
ⓐ 각 체위는 10~20분간 유지
ⓑ 배액전에 기관지 확장제나 분무치료를 받아 분비물을 묽게 한후 시행.
ⓒ 하루 2~3 회 계획, 식전, 늦은 오후 잠자기 전이 가장 좋은 시간.
③ 분무요법 ; 천식, 비염, 폐기종 환자
- 공기나 산소와 함께 물방울 입자를 혼합하여 흡입시 공기와 함께 약물이나 습기를 첨가시켜 흡입.
- 산소운반 체계에 습도, 진한 객담에 수분공급, 점액충전을 예방, 기도에 다양한 약물투여 위해.
- 대량 분무기(가습, 산소공급)는 250ml , 기관절개와 같은 장기치료에 사용.
㉠ 분무투약
ⓐ 기관이나 폐에 직접 투약, 기관지 경련을 가장 빨리 없앤다.
ⓑ 부작용 크다 ; 심박동수의 증가, 신경흥분, 불안정의 증상.
㉡ 정량식 흡입기 (metered-dose inhalers) ; MDI
ⓐ 정량식 흡입통에 압축가스와 함께 넣고 밀봉, 누룰 때마다 일정한 용량이 분무.
ⓑ 약물투여가 용이한 분무요법,
ⓒ 두 번을 눌러야 한번의 사용용량이 들어가도록 설계(폐에 들어가기 힘드므로 심한 천식 환자에게는
어렵다.)
ⓓ 경구투여에 비해 적은 용량으로 전신적 치료효과. 기도의 통증이 없어서 흔히 사용.
ⓔ 많은 흡입용 약물들이 급성 발작시에 효과가 전혀 없기 때문에 매우 중요 - 쓸수록 내성이 생김.
㉢ 손에 들고 쓰는 분무기
ⓐ MDIs를 사용할 수 없는 대상자들에게 대안적으로 사용.
ⓑ 대상자가 몇 분에 걸쳐 호흡하는 동안 일정한 흐름으로 연무화된 약물을 흡입
㉣ 저용량 분무기 ; 좌위, 반좌위(횡격막 팽창, 3배로 기전 용이)/1일 3-4회, 15분(간헐적), 8분(연속적)
④ 산소요법 ; 농축된 산소를 특수한 방법에 의해 투여.
- 조직의 산소화를 증가. 호흡곤란 대상자에게서 감소된 호흡노력. 심질환을 가진 대상자의 감소된
심장의 노력.
- 산소운반 능력은 동맥혈 산소분압이 60mmHg 이하시 산소요법 적응
㉠ 산소투여
ⓐ 산소통(oxygen cylinder), 산소출구(wall - outlet oxygen)
ⓑ 산소통 ; 사람이 많이 지나 다니는 곳, 난방기구를 피해 침대 머리쪽 가까이에 둔다.
ⓒ 사용하기 전에 조절기와 가습기를 부착(습기가 점막을 건조시킴)
㉡ 산소투여의 일반적 원칙 ; 가장 낮은 농도,유량을 사용하여 적절한 혈중 산소농도를 성취
ⓐ "산소사용 중, 금연" 등의 표지판.
ⓑ 성냥, 라이터를 치우고 금연
㉢ 면도기, 보청기,라디오, 전기담요 등 전기기구를 치운다.
ⓓ 모직담요,합성섬유등을 피하고 면담요 사용.(간호사의 옷도 면으로 한다. )
ⓔ 휘발성 가연성 물질을 대상자 근처에 두지 않는다.(알콜 마사지도 피하고 메니큐어 제거제도 치운다.
ⓕ 전기감시 기구,흡입기, 이동식 진단기계 등은 접지.
ⓖ 소화기를 주위에 배치
㉢ 산소요법의 부작용 ; 만성 폐쇄성 폐질환. 기구를 잘 소독하고 무균적으로 다룬다(습기유지)
㉣ 산소공급 체계의 선택
ⓐ 고유통 체계 ; 고농도의 산소공급 - 벤투리 마스크 ⓑ 저유통 체계 ; 비강 캐뉼라, 비강관, 산소마스크,
산소텐트
⑤ 호흡곤란 관리
㉠ 호흡곤란의 원인을 확인 ; 환경적, 신체적(감염,폐색전증,기관지경련), 정서적
㉡ 복식 호흡법
ⓐ 흡기시(호기의 2배)에 횡격막을 내리고 폐를 부풀리며 호기시에 횡격막을 올려 폐속의 공기를 토해냄
ⓑ 흡기시에는 복부가 부풀고 호기시에는 꺼진다.
ⓒ 천식, 폐기종, 폐수술 환자등은 호흡운동의 이름으로 상기훈련을 적극적으로 행함
- 폐확장을 도와주므로.
ⓓ 횡격막지지 호흡법으로 1분에 10회 정도.
㉢ 입술을 오므린 호흡
ⓐ COPD , 천식환자
ⓑ 심호흡을 한 후 한동안 호흡을 멈추고나서 입술이 닫혀진 상태에서 입을 통해 천천히 호기를 함.
㉣ 병불기 ; 심호흡을 함으로써 폐팽창이 증진.
㉤ 심호흡 ; 폐 합병증을 예방. - 폐속의 고여있는 분비물, 찌꺼기를 배출.
㉥ 강화 폐활량계의 사용.
ⓐ 유출형 강화 폐활량계 ; 작은공, 디스크가 들어있다. 흡기의 양을 정확하게 알 수가 없다
- 폐활량 증진
ⓑ 용적형 강화 폐활량계 ; 흡기량을 자헤히 알수 있다. 피스톤,풀무
㉦ Peak flow
ⓐ "가장 높은 호기 흐름"을 측정. 손에 들고 쓰는 기구.
ⓑ 호흡곤란, 천명음, 증가된 기침과 같은 호흡기 문제의 증상전에 발생.
ⓒ 측정은 기관지 확장제를 사용하기 전에 측정.
- 녹색 영역 ; 80-100% (천식 잘 조절)
- 황색 영역 ; 50-80% (천식 잘 조절되지 않음)
- 적색 영역 ; 50% 이하 (속효성 bata2 agonist를 투여)
- 기관지 확장제로 쓰임 (Theophlline, Aminophylline, α, β)
ⓓ 절차
- 환자와 가족에게 목적에 대해 설명.
- 기관지 확장제 사용여부를 확인.
- 눈금의 기초에 지표를 놓는다.
- 환자에게 심호흡을 하도록 한다. mouthpiece 주위를 완전히 봉하고 혀로 mouthpiece 입구를 막지
않도록 한다.
- 봉한 상태에서 가능한 빠르고 강하게 호기 하도록 한다.
- 3~5단계를 반복 3회의 시도에서 가장 높은 측정치를 기록.
- 2주동안 매일 오전과 오후에 두 번 peak expiratory flow rate를 함-기관지확장제 사용전에 측정.
㉧ 간헐적 양압 호흡기(IPPB)
ⓐ 폐확장, 분비물 이동, 기침유발, 분물한 약물이 더 깊고,작은 호흡기도로 운반되는데 효과적.
ⓑ 산소공급선에 연결,가습기를 끼우며 mouthpiece, mask를 통해 호흡. 10~20분간 .
ⓒ 반혼수상태, 안절부절 상태, 혼돈상태의 환자는 사용할 수 없다.
ⓓ 합병증 ; 분무기의 오염, 흡기압으로 인한 신체적 손상, 호흡성 알칼리증, 뇌압상승
⑥ 과환기 관리
㉠ 혈중 PaCo₂ 35mmhg 이하. 빠른 호흡, 현기증, 감각둔화와 같은 증상, 호흡곤란 - 봉지내에 ..
2. 기도유지
① 인공기도 ; 기도 폐색의 위험
㉠ 구강 인도관
ⓐ 무의식 상태로 자신의 혀로 기도를 막기 쉬운 대상자에게 가장 흔히 삽입.
ⓑ S자 모양, 앙와위 - 목을 과신전시켜 혀가 뒤로 넘어가 인두를 막지 않도록 해야 하며 4시간마다 구강
간호
ⓒ 혈액,토물,점액이 흡인되지 않고 잘 흘러나오도록 측위,반복위를 유지-연하,구토,기침반사 관을 제거.
㉡ 비강 인두관 ; 콧구멍을 통해 후두개 위쪽 인두까지 삽입. - 매 8시간마다
㉢ 기관내관
ⓐ 응급상황에 있는 대상자. 후두경을 사용하여 코나 입을 통해 기관지로 갈라지는 바로 위까지 삽입.
ⓒ 측위, 반복위를 유지, 3시간마다 간호. 계속 가습..
㉣ 기관 절개관.
ⓐ 기도의 개방성 유지,기침을 할 수 없는 대상자의 분비물 제거, 기관내관의 대치, 양압 인공호흡기 사용
ⓑ 기관연골의 외과적 절개를 통하여 기관까지 삽입.
ⓒ 주기적으로 기관절개관 간호를 해야 함.
- 기관절개 부위로 용액이 절대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 기도흡인의 가능성을 없애야 함.
- 조직의 괴사를 막기 위해 주기적으로 공기를 빼주어야 함.
- 내관 내의 분비물을 자주 제거하여 기도의 개방상태를 유지.
② 흡인
㉠ 기도의 분비물을 제거할 수 없을 때
㉡ 호흡음이 부글부글 끓는 소리가 날 때
㉢ 연하가 잘 안될 때
㉣ 문제점
- 기관내 들어갈 때 막다른 곳까지 집어넣었다가 1cm 정도 다시 뺀다 .
- 산소도 흡수되기 때문에 흡인은 일시적으로 저산소증을 유발.
- 흡인은 10초가 넘지 않도록 하며 성인은 80~120mmhg, 유아는 60~80
- 흡인하기 전후에 O₂를 투여.
③ 기도폐색 예방과 대처
㉠ Heimlich maneuver ; 성인, 어린이의 이물질 폐색에 대한 치료. 복부를 세게 밀어붙임.
- 임신부, 유아에게는 사용하지 않는다. - 흉부 밀어붙이기가 대신 사용.
3) 심폐기능 회복에 대한 간호
- 뇌에 산소공급이 안 되면 4~6분 후 영구적이고 광범위한 뇌손상이 온다.
- 1차 소생처치 ; 뇌나 심장 등 주요장기에 산소를 공급
- 2차 소생처치 ; 약물, 수액투여, 심전도 측정과 진단, 제세동 치료(전기파를 심장에)
- 3차 소생처치 ; 후유증을 최소화.
1. 기초 심폐 소생술 (Cardiopulmonary Resuscition . CPR)
① 심폐 소생술의 원칙 (firm matthress ; 딱딱한 침대에 눕히고 시행)
- 우선, 흔들어서 반응 유무 확인 (무반응 시 119 신고) → 호흡,맥박 확인(경동맥에 손을 대고 코에
귀를 대고서 가슴의 움직임을 확인)
- A ; Airway (기도) - 기도확보
- B ; Breathing (호흡) - 인공호흡 (2번의 호흡)
- C ; Circulation (순환) - 심장 마사지
㉮ 기도확보 ; 이물질을 제거 (손으로 꺼냄, 힘주어 토하게, 견갑골 사이를 강하게 4회 정도 두드림)
㉠ 두부후굴 하악거상법 ; 머리는 과신전, 턱을 위로 들어올림
㉡ 하악거상법 ; 경추손상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사용. 하악만을 앞으로 밀어줌
㉯ 인공호흡
㉠ 호기법 ; 성인은 1분에 10~12회 (5초에 한번)- 구강 대 구강 / 구강 대 비강
㉡ 보조기구 이용한 인공호흡
㉰ 심장 마사지
㉠ 성인 ; 80-~100회 / 15;2 (심장마사지 ;인공호흡)
㉡ 맥박, 호흡, 입술이나 얼굴 색이 좋아지는 확인하면서 계속
㉢ 심정지를 추축할 수 있는 징후
- 요골, 경, 대퇴 동맥의 맥박 소실 / 청진상 심음의 소실 / 급작스런 창백, 청색증 / 동공 산대
㉣ 폐흉 심장 압박법 ; 흉골하방 1/3에 두 손바닥을 포개어 얹고(검상돌기 위 2cm) ,
- 4 ~ 5cm(1.5~2 inch) 깊이로 압박 / 영아 0.5~1inch / 유아 1~1.5 inch
㉤ 흉부 강타법 ; 주먹으로 강하게 침 (전기적 제세동과 같은 효과)
② 심폐 소생술의 중단 시기
㉮ 경동맥의 맥박이 촉지 ㉯ 환자의 피부색이 선홍색으로 돌아옴
㉰ 동공반사가 돌아옴 ㉱ 자발적인 반응이 복구됨
㉲ 심장박동이 회복됨. ㉳ 호흡, 맥박이 회복
㉴ 전문소생팀 도착시, 의사가 사망선고를 했을 때
4) 활동 내구성 증진에 대한 간호
1. 조직관류의 개선 ; 따뜻하게 해주고, 불안은 감소, 통증을 완화
2. 지식부족에 대한 교육
3. 불안,두려움의 감소
4. 활동증진 ; 과로는 피한다.
5. 무력감 해소
6. 통증관리
5) 산소화 문제 대상자의 가정 간호 ; peak flow, 분무요법, 폐물리 요법, 산소요법
1. 감염조절 2. 투약
3. 가정 내 산소체계 4. 일상생활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