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식교가 이단인 이유 7가지 국내외 신학자, 이단 연구 통한 내용
안식교(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성경 해석과 신학적 입장에서 전통 기독교와 상충하는 요소들이 있다는 이유로 국내외 이단 연구가들에 의해 비판되어 왔습니다.
주요 이단성 논쟁의 핵심은 구원론, 안식일 준수, 예수님의 구속 사역의 해석, 심판 교리, 그리고 창시자인 엘렌 화잇의 예언적 권위 등에 관한 신학적 차이에 있습니다.
국내외 저명한 이단 연구가와 학자들의 분석을 통해 안식교 신학의 이단성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구원론의 혼합적 관점
안식교는 구원을 단순히 믿음만으로 받는 것이 아니라 율법 준수, 특히 안식일 준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르칩니다. 이러한 입장은 개신교 전통의 "오직 믿음으로"(sola fide) 구원을 강조하는 구원론과 충돌합니다.
바시티 맥클라크린(Versie MacClurkin)과 같은 학자는 안식교의 구원론이 은혜를 통한 믿음만으로 구원을 얻는 기독교의 근본 교리를 왜곡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국내에서는 탁지원 소장(국제종교문제연구소)이 그의 저서 한국교회와 이단문제에서 안식교의 구원관이 구원의 조건에 인간의 행위를 포함하여 예수님의 구원 사역을 축소시킨다고 비판합니다(탁지원, 2004).
2. 안식일 준수 절대주의
안식교는 토요일을 안식일로 지키는 것을 구원의 필수 요소로 삼습니다. 이들은 주일 예배를 드리는 기독교 전통을 부정하고 이를 이교적 관습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미국의 저명한 이단 연구가인 월터 마틴(Walter Martin)은 그의 저서 Kingdom of the Cults에서 안식교가 안식일 준수를 구원의 필수 요소로 삼는 것은 교회 예배의 자유와 신앙의 본질을 훼손한다고 지적합니다.
최삼경 목사(빛과소금교회, 전 이단상담소 소장) 역시 이단 바로알기에서 안식교의 안식일 절대주의가 신앙의 자유를 제한한다고 분석합니다(최삼경, 1999).
3. 엘렌 화잇의 예언적 권위
안식교는 엘렌 화잇의 예언적 권위를 성경과 동등한 수준으로 여깁니다. 이는 개신교 전통에서 성경의 권위가 절대적이라는 관점과 상충됩니다.
로드니 스탁(Anthony A. Hoekema)는 그의 저서 The Four Major Cults에서 엘렌 화잇의 가르침을 교리적 기준으로 삼는 안식교의 태도가 성경 해석의 왜곡을 초래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인규 연구원(평신도이단대책협의회)도 안식교의 문제점에서 엘렌 화잇의 예언적 권위를 지나치게 중시하는 것이 안식교 교리의 문제를 일으킨다고 평가합니다(이인규, 2005).
4. 심판의 이중 단계 교리 - 조사 심판(Investigative Judgment)
안식교는 1844년에 시작된 '조사 심판' 교리를 통해 예수님이 현재 하늘 성소에서 구원받을 자들을 심사 중이라고 가르칩니다. 이는 구원의 확신과 보장을 강조하는 전통 기독교 구원론과 충돌합니다.
리차드 라이스(Richard Rice)와 같은 신학자들은 조사 심판 교리가 신자들에게 구원 확신을 흔드는 역할을 한다고 분석했습니다.
탁지원 소장은 조사 심판 교리가 믿음과 은혜를 통한 구원의 본질을 훼손한다고 비판합니다(탁지원, 2004).
5. 예수님의 구속 사역의 미완성성
안식교는 예수님의 구속 사역이 십자가에서 완성되지 않았으며, 현재 하늘에서 계속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예수님의 십자가 사건에서 속죄가 완성되었음을 강조하는 개신교 신학과 큰 차이를 보입니다.
월터 마틴은 Kingdom of the Cults에서 이 교리가 예수님의 구속 사역에 대한 왜곡이라고 설명합니다.
최삼경 목사는 안식교의 하늘 성소 정화 교리가 예수님의 완전한 속죄를 부정하는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고 경고합니다(최삼경, 1999).
6. 영원한 지옥 형벌의 부정
안식교는 악인들이 영원한 고통을 받는 지옥 형벌을 부정하고, 악인들이 멸절된다고 가르칩니다. 이들은 하나님의 자비를 강조하며, 영원한 형벌보다는 죄인의 최종 소멸을 주장합니다.
이 관점은 크리스 월터스(Chris Walters)와 같은 신학자에 의해 비판을 받고요.
이인규는 안식교의 멸절설이 성경적 심판 교리와 어긋난다고 지적합니다(이인규, 2005).
7. 율법 준수와 안식일 준수를 통한 구원론
안식교는 신자가 구원을 위해 율법을 준수해야 한다고 가르치며, 이는 "오직 믿음"으로 구원받는다는 개신교의 교리와 상충됩니다.
앤서니 후케마(Anthony A. Hoekema)는 그의 저서에서 안식교의 율법주의적 구원관이 구원론을 왜곡하고 신자들의 신앙을 구속한다고 비판했습니다.
최삼경 목사는 안식교가 구원론에서 믿음의 역할을 약화하고 율법 준수를 강조한다고 분석합니다(최삼경, 1999).
참고 문헌
탁지원 (2004). 한국교회와 이단문제. 서울: 국제종교문제연구소.
최삼경 (1999). 이단 바로알기.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이인규 (2005). 안식교의 문제점. 평신도이단대책협의회.
Walter Martin (1965). Kingdom of the Cults. 미국: Baker Publishing Group.
Anthony A. Hoekema (1963). The Four Major Cults. Grand Rapids: Eerdmans.
Chris Walters (1999). “The Theology of Seventh-day Adventism” in Religious Studies Review, USA.
국내외 저명한 이단 연구가들은 위와 같은 근거를 통해 안식교의 신학이 전통적인 기독교 교리와 상충하며, 주요 신학적 요소에서 왜곡이 있음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출처] 안식교가 이단인 이유 7가지 국내외 신학자, 이단 연구 통한 내용|작성자 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