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통증의 원인을 찾는 이학적 검사 1번은 바로 ROM검사다.
첫번째 관절움직임의 정상각도가 만들어지지 않는 정도를 찾고, 다음으로 그 원인을 찾는 것이다.
loosed packed position Glenohumeral 55-70 abduction, 30 horizontal adduction,neutral rotation
- 어깨관절은 중립자세에서 55~70도 외전, 30도 수평내전이 열린자세
panic bird....
1. ROM 검사
- 수동적 ROM, 능동적 ROM검사를 따로 시행해야
- 반드시 각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해야 함
- 반드시 양측을 측정하여 비교해야
1) 어깨 굴국(flexion) : 160~180도가 정상 또는 150~170도 정상
- 환자가 선 자세로 손바닥이 정면을 보게하고(farm facing forward), 굴곡하게 함.
- 환자가 굴곡검사에서 통증이 발생한다면 가장 흔하게 고려해야 할 질환은 "충돌증후군", "상완이두근 문제"
2. 어깨 신전(shoulder extension) : 45~60도 또는 40도
- 환자가 선 자세로 상체가 앞으로 기울이지 않게 하여 신전

3. 내회전(internal rotation) : 60~90도 또는 70도
- 환자 선자세, 팔꿈치 90도 굴곡, 손은 중립자세로 어깨 내회전
- 내회전은 어깨탈구와 같은 불안정성의 문제를 검사, 내회전 제한은 습관성 탈구일때 나타남
4. 외회전(external rotation) : 80~90도 또는 60도
- 환자 선자세, 팔꿈치 90도 굴곡, 손은 중립자세로 어깨 외회전
- 팔꿈치가 몸에서 떨어지면서 검사하면 80~90도까지 외회전 됨.
- 오훼돌기하 점액낭염(subcoracoid bursitis), 어깨 외회전근육 문제가 있을때 rom 제한 발생


5) 외전(abduction) : 170~180도
- 환자가 선자세, 환자의 팔이 90도에 도달하면 환자에게 손바닥이 하늘을 보게 하면서 외전
- 손바닥이 하늘을 보게 forearm을 회외시키면 상완골의 대결절이 오훼돌기로부터 멀어짐.
6) 내전(adduction) : 45~75도
- 환자 선자세에서 팔을 펴고 내전
- 만약 극상근 문제가 있다면 이 동작에서 제한이 발생함.
7) 어깨 빠른 테스트(quick test)
- 반대측 견갑돌 터치하기(Apley's scratch test)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는 quick test로 Apley's scratch test를 시행
수동적 rom> 능동적 rom 또는 능동적 rom과 수동적 rom이 같다면
충돌증후군 검사, locking position test를 시행


첫댓글 아래 순서도는 어떤 책이나 논문인지 알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