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prefix 're'의 개념과 용례들
1. 're'의 의미
라틴어로부터 차용된 단어들에 부가되어 '반복(repetition)'이라는 개념(again, again and again)과 '철회나 취소, 역행(후방)으로'이라는 개념(back or backward)을 전달합니다. 반복과 철회(취소, 역행)는 별개의 대념이 아니고 반복하려면 뒤로 돌아가야만 가능합니다, 결국 뒤로 돌아가는 동작 자체를 강조하게 되면 '반복'이라는 그림과 '후방으로(backward)'라는 그림에 그려지고 '뒤로 가는 목적'을 강조하게 되면 '철회나 취소'라는 개념을 가지게 됩니다. 또한 뒤로 돌아가는 것은 undoing의 개념도 가지게 되며, 다른 모든 접두어들과 같이 강조(intensive)의 용법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2. 형태의 변화
주로 're'라는 형태로 사용되나 가끔씩은 'red'라는 형태로 같은 의미를 전달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3. 주요 용례들
react는 '다시(re=again) 무엇인가를 하다(act)'라는 그림에서 '다시 행하다, 재연하다'라는 뜻과 '반대로(re=against) 행동하다(act)'라는 그림에서는 '반작용하다, 되튀다, 반대하다, 반항하다, 반응(감응)하다, 역행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bate는 '두드려서(bate=beat) 되돌리다(re=back)'라는 그림에서 '환불, (어음의)할인, (금액의)일부를 반려하다, (고어)약화시키다나 칼날을 무디게 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할인은 본래의 것을 두드려서 약화시키는 그림입니다.
rebuke는 '뒤를 향해(re=back) 나무로 때리다(buke=bush)'라는 그림에서 '비난하다, 꾸짖다, 억제(저지)하다, 비난'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but는 '뒤를 향해(re=back) 때리다(but_butt_bat=beat)'라는 그림에서 '논박(반박)하다, 퇴짜 놓다, 반증을 들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암기라는 관점에서 뒤(re=back)를 향해 'but'이라고 하다'로 생각하면 어떨까?)
recalcitrant는 '뒤꿈치(calcitr=heel)로 차다(re=back)'라는 그림에서 '반항(저항)하는, 반대하는, 고집 센, 다루기 어려운, 반항자'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끌려가지 않으려고 발뒤꿈치로 버티는 삶이나 말을 생각해보세요. 'calcitr'는 heel이라는 어근입니다만, 발뒤꿈치는 유난하게 단단하지요? calcium(chalk)에서 변화된 것으로 생가하면 잘 기억할 수 있습니다.
recant는 '취소(철회)의(re=back) 노래를 하다(cant_chant=sing)'라는 그림에서 '(신앙이나 주장을)바꾸다, (주장을)취소(철회)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capitulate는 '중요한 요점(머리=cap)들을 다시(re) 모으다'라는 그림에서 '~의 요점을 되풀이하다, 요약(개괄)하다, (생물)발달단계를 반복하다'라는 뜻으로 쓰이며, recap으로 줄여 쓰기도 합니다. recap은 '다시(re=again) 모자(cap)를 쓰다'라는 그림에서 'to 모자를 씌우다, ~에게 모자를 다시 씌우다'라는 뜻으로도 사용됩니다.
recede는 '뒤로(back) 가다(cede=go)'라는 그림에서 '물러나다, 멀어지다, 철회하다, 움츠리다, 대머리가 되다, 수축하다, (가치나 품질이)떨어지다, (기억이)희미해지다, 감퇴하다, (원소유자에게)반환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머리 있는 부분이 뒤로 가면 '대머리'가 됩니다. recession은 '퇴거, 후퇴, 퇴장, 경기후퇴, 반환'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ceipt은 '무엇인가를 구매하고 대가로 준 것에 대응하여 반대로(re=back) 잡다(ceipt_ceive_cap=take)'라는 그림에서 '수령, 영수, 영수증, 받은 물건, 영수증을 끊다'라는 뜻으로, receive는 '받다, 수령하다, (제안을)수리하다, 응하다, 맞이하다, 접대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cidivism은 '다시(re=again) (범죄로)빠지다(cid_cad=fall)'라는 그림에서 '(정신의학)상습성, 누범, 상습적 범행'이라는 뜻으로 쓰이게 됩니다.
reciprocal은 '뒤(reci=back)로, 앞으로(procal=front)'라는 그림에서 상호의, 호혜적인, 보답으로서의, 보복의'라는 뜻으로, reciprocate는 '주고 받다, 교환하다, 보답(답례)하다, (기계)왕복 운동을 하다, 서로 상응하다'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recite는 '다시(re=again, back) 말하다(cite=say)'라는 그림에서 '암송하다, 이야기하다, 열거하다, 재인용하다'라는 뜻으로, recital은 '암송, 낭독, 이야기, (문서의)사실의 열거부분'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claim은 '다시(re=again) 소리치다(claim=cry)'라는 그림에서 '교정하게하다, 교화하다, 동물을 길들이다, 개간하다, 땅을 메우다, 매립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개간(매립)하다'라는 개념은 '버려진 땅을 다시(re=again) 쓰게 하라고 소리치다(claim=cry)'라는 그림에서 만들어진 개념입니다.
recline은 '뒤로(back) 기대다(cline=lean)'라는 그림에서 '기대게 하다, 의지하다, (몸을)눕히다, 기대다, 눕다, 믿다'라는 뜻으로 쓰이게 됩니다.
recompense는 '다시(re=back) 같은 무게를(com=together) 달다(pens=hang)'라는 그림에서 '~에게 보답하다, 보상하다, 보수, 배상, 보답'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coil은 '뒤쪽으로(re=back) 튀다(모으다)(coil=cull=collect)'라는 그림에서 '(용수철 따위의)되팀, (총포의)반동, 뒤로 물러남, 움찔함, 되튀다, 되돌아오다, 퇴각(패주)하다, 뒷걸음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coil은 'collection'의 변형으로서 '모은 것'이라는 그림에서 '소용돌이, (밧줄이나 철사 등의)감은 것, 코일, 축전기, 발전기, 감기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concile은 '다시(re=again) 함께(con) 부르다(cil=call)'라는 그림에서 '화해시키다, (싸움이나 논쟁을)조정하다, 조화시키다, 일치시키다'라는 뜻으로, reconciliation은 '조정, 화해, 조화, 일치'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condite는 '뒤에(re=back) 함께(con) 주다, 두다(d=dere, dare_do=give=put=place)'라는 그림에서 '심원한, 알기 어려운, 난해한, 깊이 숨겨진, 눈에 띄지 않는'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connaissance는 '다시(re=again) 철저히(con=completely) 알다(naiss=gno=know)'라는 그림에서 '정찰, 수색, 지형조사, 정찰대'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gno(know)'라는 어근에서 g가 탈락죄면서 'com'의 m이 n으로 변화된 것으로 이해됩니다. 다른 영어 단어로는 recognition의 의미(인식, 알아봄)와 유사합니다.
recover는 '다시(re=again) 완전히(co=com) 덮다(over)'라는 그림에서 '되찾다, 찾아내다, 캐내다, 만회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criminate는 '다시(re=again) 비난(crimi=charge=accusation)하다'라는 그림에서 '되비난하다, 반소하다'라는 뜻으로, recrimination은 '맞고소, 반소'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cruit는 '다시(re=back, again)' 자라게(cruit=grow)하다'라는 그림에서 '뒤를(다시) 자라게 하다'라는 그림에서 '신병을(새 회원을) 들이다(모집하다), 신병으로 삼다, 고용하다, 보충병, 신참자'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ctify는 '바르게(recti_reg=right) 만들다(fy_fac=fic=make)'라는 그림에서 '개정(수정)하다, (악습을)교정하다, (곡선의)길이를 구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곡선의 길이를 구하려고 '곡선을 직선으로 똑바로(recti=straight)펴다'라는 생각입니다.
recumbent는 '뒤로(re=back) 눕다(cumb_cub=lie)'라는 그림에서 '기댄, 가로누운, 굼뜬, 태만한'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cuperate는 '다시(re=again) (원기를)잡다(cup_cep_cap=take)'라는 그림에서 '(건강 따위를)회복하다, (손실 따위를)만회하다'라는 뜻으로 쓰이게 됩니다. 병석에 누워 있다가 다시 일어나 자신의 건강을 되잡는 것이 회복이라는 그림입니다.
recluse는 '뒤로 가서(re=back)' (문을 닫고)숨다(clus=close)'라는 그림에서 '속세를 떠난, 은둔한, 쓸쓸한, 적적한, 은둔자'라는 뜻을 만들어 내고, reclusion은 '은둔, 사회적 소외'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recognition은 '다시(re=again) 완전히 모든 것을 (co=intensive) 알다(gni=know)'라는 그림에서 '인지, 승인, 허가, 감사, 인식'이라는 뜻으로 쓰이게 됩니다. recognize는 '알아보다, 인지하다, (공로를)인정하다, 감사하다, 표창하다, 승인하다, 서약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승인을 하려면 모두 알아야 가능하며, 모든 것을 알면 감사함을 느끼게 됩니다.
recommend는 '철저하게(re=intensive) 함께(com=together) 명하다 또는 믿다(trust, order)'라는 그림에서 '추천(천거)하다, ~을 권하다(권고하다, 충고하다), 맡기다, 위탁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누구를 추천하거나 누구에게 일을 위탁하려면 철저하게 믿어야만 가능합니다.
recommit는 '다시(re=again) 함께(com=together) 두다 또는 보내다(mit=send)'라는 그림에서 '(죄를)다시 범하다, 다시 위탁하다, 다시 위원회에 회부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commit는 'com(together)'와 'mit(send, put)'이 결합되어 '보내려 함께 두다, 함께 보내다'라는 그림에서 '위임하다, 위탁하다, (기록, 기억 등에)맡기다, (병원, 시설에)보내다, 그래서 수용하다, 약속하다, (죄나 과실을)범하다, 말려들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위임한다는 것은 보내는 사람에게 '나의 권리를 함께' 보내는 모습이며, 병원에 보내다는 개념도 환자를 혼자 보내는 것이 아니고 누군가와 함께 보낸다는 개념이고, 보내면 '수용'을 하게 되며, '약속'은 내 말이나 행동과 나의 신뢰를 함께 보내는 그림이고, '죄를 범하다'는 개념은 '무엇인가 잘못된 것과 함께 자신을 보내다'라는 그림에서 생겨나게 됩니다. 당신은 지금 무엇을 보내야만 하는 위치에 있다는 사실(commit)은 무엇인가 할 일이 있다는 것이고 그것은 무엇인가를 잘못한 것이 있기 때문이거나 약속한 것이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또는 자신의 물건과 함께 남의 것도 함께 보내면 실수를 한 것입니다.
reconvert는 '다시(re=again) 함께(com=together) (마음과 몸을)돌리다(vert=turn)'라는 그림에서 '재개종(복당)시키다, 예존 상태로 되돌리다, (산업을)다시 전환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count는 '다시(re=again) 세다(count)'라는 그림에서 '자세히 얘기하다, 한하나 열거하다, (re-count의 형태로)다시 세다, 재개표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cur는 '갔던 길을 다시(re=again) 달리다(cur=run)'라는 그림에서 '(좋지 않은 일이)다시 일어나다(occur again), (본래의 화제, 생각 따위로) 되돌아가다)'라는 뜻, 즉 '사건, 사실, 생각 등이 멈추었다가 다시 생기는 그림'입니다. recurrent는 '다시 일어나는(occurring again), 재발하는, 되풀이하는' 등의 의미입니다.
recycle은 '다시(re=again) 순환(cycle=roll, move around)하다'라는 그림에서 '~을 재생 이용하다, 재순환 시키다, 재순환 과정'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deem은 '다시(red_re=again) 잡다(eem_em_sum=take)라는 그림에서 '되사다, 되찾다, 상환(상각)하다, 회복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이런 형태는 'exemption(면제나 공제)이나 exemplar(모범, 본보기=example)에서도 보게 됩니다. 'ex는 out], 'em은'sum(take)'이라는 개념이므로 '잡아서 빼내다(밖에 두다)'라는 그림이 됩니다. 참고로 doom은 '지배를 받다(운명)'이라는 그림에서 '운명, 불운, (불리한)판결, 법령'이라는 뜻으로, deem은 '운명이라고 생각하다'라는 그림에서 '~으로 생각(간주)하다, 보다, 판단(생각)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demption은 '되찾음, 상환, 구출, 구속, 보상하는 것'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dolent는 '정말로(red=intensive) 향기(ol=odor)가 있는'이라는 그림에서 '향기로운, ~의 향기가 나는, ~을 생각나게 하는'의 뜻으로 쓰입니다.
reduce는 '뒤로 다시(re=back) 끌어오다(duc=lead)'라는 그림에서 '(양이나 액수, 정도를)줄이다, 축소하다, 한정하다, 격하시키다, 감수분열 시키다, 분해하다, 통분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dundancy는 '다시(red_re=again) 넘쳐흐르다(und=flow)'라는 그림에서 '과잉, 여분, 중복성'이라는 뜻으로, redundant는 '여분의, 과다한, 매우 풍부한'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duplicate는 '다시(re=again) 두 번(du=two)을 접다(pli=fold)'라는 그림에서 '이중으로 하다, 되풀이하다, 중복한'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fer는 '뒤로(back) 나르다(fer=carry)'라는 그림에서 '무엇을 나르느냐 또는 왜 나르느냐'에 따라, '언급하다 또는 인용하다, 참조하게 하다 또는 유의하게 하다, 위탁하다 또는 위임하다, 참고로 하다, 조회하다'라는 뜻을 가지게 되나, 결국에는 'to 이하의 것의 back(뒤)에 무엇인가 필요로 하는 것(인용, 요구, 설명, 책임, 문의)을 날라놓아(fer) 무엇인가를 하게하거나 얻어내는 그림'에서 보면 이해가 됩니다. refer 다음에 목적어 없이 바로 to와 연계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참고하다, 조회하다) refer라는 단어의 본질상 날라두는(fer) 대상(목적어)이 생략된 것으로 보아야 이해가 빠릅니다. 다만 문맥상 목적어 없이 자동사로 사용하더라도, 그동안의 잦은 사용으로 native speakers에게는 아무런 저항 없이 의미가 들어오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모두가 '뒤(옛날=back)로 한 번 가서 보게 하다(fer=carry)'라는 그림입니다.
refine은 '다시(re=again) 좋게(fine_fin=finish)하다'라는 그림에서 '정련하다, 정제하다, 세련하다, 순수해지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flect는 '반대로(re=agaist) 꺾이다(flect_flex=bend)'라는 그림에서 '(빛이나 소리를)반사하다(되튀기다), (거울 따위가)물건을 비치다, 반영하다, 숙고하다(반성하다), 생각하다, 비난하다'라는 뜻으로, reflection은 '반사, 반사열, 반영'이라는 뜻으로, reflexive는 '반사하는, 반영하는, 숙고하는'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fractory는 '같이 앞으로가지 않고 떨어져서(frac=break) 뒤로(re=back)가다'라는 그림에서 '말을 안 듣는, 다루기 어려운, 고집 센, 난치의, (자극에)반응하지 않는, 무반응성의, 저항력이 있는, 내화성의, 완고한 사람(것)'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fresh는 '다시(re=again) 활기차게(fresh=lively, unsalted)만들다'라는 그림에서 '(심신을)상쾌하게 하다, 쉬게 하다, (비가 공기를)맑게 하다, (가공하여)새롭게 하다, (기억을)새로이 하다, 원기를 회복하다, (배가)양식과 물을 보충하다'라는 뜻으로 쓰이게 됩니다.
refrigerator는 '다시(re=again) 차갑게(frier=make cool)하다'라는 그림에서 '냉장고, 빙고'라는 뜻으로 쓰입니다.(frige는 '냉장고'의 뜻으로 쓰입니다)
refuge는 '뒤로(re=back) 도망가다(fug=flee=escape)'라는 그림에서 '피난, 보호, 피난소, 은신처, 안전지대, 핑계'라는 뜻으로, refugee는 '피난자, 난민, 망명자, 도피자'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fuse는 '뒤에(re=back) 붓다(fuse=pour)'라는 그림에서 '(부탁이나 요구, 명령을)거절하다, (여성이)청혼을 거절하다, 사퇴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fute은 '되받아(re=back) 치다(fut=hit)'이라는 그림에서 '논박(반박)하다, ~에 이의를 제기하다'라는 뜻으로, refutal은 '남의 잘못을 논증함, 반박'의 뜻으로, refutable은 '논박할 수 있는, 잘못된'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gain은 '다시(re=agin) 얻다(gain=desire)'라는 그림에서 '되찾다, 회복하다, ~에 되돌아가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gard는 '다시(re=again) 보다(gar=war=see, gar=seize)'라는 그림에서 '주목해서보다, 응시(주시)하다, 존중하다, ~으로 생각하다, 존경, 호감, (복수로)안부나 전언, 관계나 사항'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generate는 '다시(re=again) 태어나게(gen=birth)하다'라는 그림에서 '(종교)갱생시키다, (생물)잃어버린 기관을 재생시키다, 혁신하다, 재생하다, 쇄신된'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gress는 '다시(re=back) 가다(gress=go)'라는 그림에서 '복귀, 역행, 퇴보, 되돌아가다, 복귀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imburse는 '다시(re=again, back) 주머니(burse=purse)에 넣다(im=in)'라는 그림에서 '(빛 따위를)갚다, 상환하다, ~에게 배상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inforce는 '다시(re=again, intensive) 강하게(forc=strong)하다(en=make)'라는 그림에서 '강화하다, 보강하다, ~에게 기운을 불어넣다, 보강재'라는 뜻으로 쓰이게 됩니다.
reiterate는 '다시(re=again) 반복(iter=repeat, again)하다'라는 그림에서 '(명령이나 탄원을)되풀이하다, 반복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ject는 '뒤로(re=back) 던지다(ject=throw)'라는 그림에서 '(요구나 제의를)거절하다, 각하하다, 퇴짜 놓다, 무시하다, (위가 음식을)받지 않다, (생리)이식된 장기가 거부반응을 나타내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join은 '다시(re=again) 붙이다(join=bind)'라는 그림에서 '재 접합하다, 다시 함께 되게 하다, 본래대로 접합하다, 재회하다'라는 뜻과 '대답하다, 대꾸하다, (피고가)제2답변을 하다'라는 뜻으로, - rejoinder는 '대답, 답변, 피고의 제2답변서'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juvenate는 '다시(re=again) 젊어지게(juven=young_junior)하다'라는 그림에서 '도로 젊어지게 하다, 활기 띠게 하다, 원기를 회복하다'라는 뜻으로, rejuvenesce는 '도로 젊어지게 하다, ~에 활력을 주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late는 '다시 뒤로(re=back, again) 나르다(lat=carry)'라는 그림에서 '관계(관련)시키다, 관련시켜 설명하다, ~와 친척이다, ~와 이어져 있다, 이야기하다, 관계가 있다, 부합(합치)하다, 소급하여 적용하다(발효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관계나 관련은 여기에 잇는 것을 전에 있던(re=back) 다른 일과 연결(날라보는)시켜 보는 것이며, '친척이라는 것도 먼 옛날로 돌아가 연결이 되다'는 그림입니다. refer(뒤로_re=back 나르다_fer=carry)라는 단어와도 꼭 같은 그림입니다.
relegate는 '다시(re=back=again) 보내다(leg_lec=send)'라는 그림에서 '퇴거를 명하다, 추방하다, 지위를 떨어뜨리다, 좌천시키다, 분류하다, (사건 등을)이관하다, 위탁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lent는 '다시(re=again) 부드럽게(lent=soft, slow)하다'라는 그림에서 '다시 부드러워지다, 또는 다시 천천히 하다(less harsh)'라는 그림에서 '상냥스러워지다, 누그러지다, 가엾게 여기다, 바람이 약해지다'라는 뜻으로, relenting은 '상냥스러운'의 뜻으로, relentless는 'less(nothing)'와 결합되어 '부드러움이나 천천함이 없다'라는 그림에서 '가차 없는, 잔인한, 혹독한'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lenient는 'leni(soft)와 ent가 합해져서 '관대한, 너그러운, 자비로운'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levant는 '완전히(re=intensive) 가볍게(lev=light_lever)하는 (ant)'이라는 그림에서 '(당면한 문제에)관련된, 적절한, 타당한(to)'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lic은 '뒤에(re=back) 남다(lic=leave)'라는 그림에서 '유적, 유물, (풍속, 신앙의)잔재, (성인의)유골이나 유품, 기념품'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lic'이 leave라는 의미를 전달하는 것은 '뒤에 남겨두다'라는 그림에서 '포기하다, 양도하다, 단념하다, 철회하다'라는 뜻을 가진 relinquish라는 단어에서 변화되었기 때문입니다.
relinquish는 '뒤에(back) 남다(linquish=leave)'라는 그림에서 '포기하다, 양도하다, 단념하다, 철회하다'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relish는 '뒤에(re=back) 남겨진 것(lish=leave)'이라는 그림에서 '맛, 풍미, 향기, 흥미, 의욕, 양념, 맛있게 먹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lax는 '뒤로(backward) 늘어지다(lax=let go, loose)'라는 그림에서 '늦추다, 완화하다, 변통케하다, (주의나 노력을)덜하다, 늦추다, 긴장을 풀다, 경감하다'라는 뜻으로, relaxant는 '늦추는, 이완성의, 이완제, 완하제'라는 뜻으로, relaxation은 '풀림, 이완, 경감, 완화, 휴양, 오락, 완화법'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luctant는 '대항하여(re=against) 노력(분투)(luct=struggle)하는(ant)'라는 그림에서 '마음이 내키지 않는, 꺼리는, 마지못해 하는, (고어)다루기 어려운'이라는 뜻으로, reluctance는 '마음이 내키지 않음, 마지못해 함, 자기저항'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main은 '뒤에(re=back) 머무르다(main_man=stay)'라는 그림에서 '남아있다, 없어지지 않고 있다, 살아남다, 머무르다, ~의 수중에 있다, 잔존물, 유물, 화석, 유체'라는 뜻으로 쓰이며, remainder는 '뒤에 남아 있는 것(er)'이라는 그림에서 '나머지, 잔여, 잔류, 유적, 잔여권'이라는 뜻으로, remnant는 '뒤에(re=back) 남은(mn_man_main=saty) 것(ant)'이라는 그림에서 '나머지, 잔여, 우수리, 유물, 나머지의'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mansion은 'a place to stay_머무는 곳'이라는 그림에서 '대저택, 장원영주의 저택'의 뜻으로 쓰입니다.
remedy는 '완전하게(re=intensive) 치료하다(medy=heal)'라는 그림에서 '치료, 의료, 치료약, 교정법, 배상, 공차, (법)구제방법, 고치다, (폐해를)제거하다, 개선하다, 배상하다'라는 뜻으로 쓰이며, remedial은 '치료 상의, 교정적인, 학력을 보충하는'의 뜻으로 쓰입니다.
remember는 '다시(re=again) 생각(mem=think)하다'라는 그림에서 '생각해내다, 상기하다, 기억하고 있다, 기억해두다, 회고하다'라는 뜻으로, remembrance는 '기억, 회상, 기억력, 기념'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minisce는 '다시(re=again) 생각하다(minsce_min=think)'라는 그림에서 '추억에 잠기다, 추억을 말하다(쓰다)'라는 뜻으로, reminiscent는 '추억(회고)의, 생각나게 하는'의 뜻으로 쓰입니다.
remit은 '뒤로(back) (돌려)보내다(send, let go)'라는 그림에서 '(돈이나 화물을)보내다, 우송하다, (소송을)하급법원에 보내다, 조회하다, 원상태로 돌이키다, (신이 죄를)용서하다, (부채나 세금을)면제하다, 연기하다'라는 뜻으로, remittance는 '송금, 송급수단'이라는 뜻으로, remission은 '(죄의)용서, 사면, (고통의)완화나 진정, (지급 태무의)면제나 경감'이라는 뜻으로 쓰이게 됩니다.
remnant는 '뒤에(re=back) 남은(mn_man_main=saty) 것(ant)'이라는 그림에서 '나머지, 잔여, 우수리, 유물, 나머지의'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morse는 '다시(뒤돌아_re=back) 입술을 물어뜯다(mor=bite)'라는 그림에서 '후회, 양심의 가책, 연민'이라는 뜻으로(사람들이 누구에겐 가에게 꾸중을 들으며 후회할 때에는 입술을 뒤로(backward) 당겨 물어뜯는(bite)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쓰입니다.
remove는 '특히 뒤로(re=back) 움직이게(mov=move)하다'라는 그림에서 '~을 옮기다, 이전시키다, ~을 제거하다, 벗다, 내쫒다, 해임(해고, 면직)하다, 떼어놓다, 제거되다, 거리, 간격'의 뜻으로 쓰입니다.
remunerate는 '상대방이 행동(일 따위)한 것과는 반대로(re=back) 책임(mun=duty)지다'라는 그림에서 '보수를 주다, 보상하다, 보답하다'라는 뜻으로, remuneration은 '보수, 보상, 급료, 봉급'의 뜻으로, remunerative는 '보수가 있는, 유리한, 수지맞는'의 뜻으로 쓰입니다.
render는 '뒤로(ren_red_re=back) 주다(der_do=give)'라는 그림에서 '(보답으로)주다나 갚다, ~에 보답하다, (세금을)납부하다, (회답을)제출하다, (재판을)집행하다, 양도하다, ~로 만들다, 집세나 지대'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nt는 render가 변화되어 '지대, 소작료, 집세, 임대료, 임차하다, 빌려주다(빌리다)'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즉 rent는 render와 마찬가지로 '다시(ren_red_re=back, again) 주다(t_der_do=give)'라는 그림입니다.
rendezvous는 '너 자신을(vous=yourself) 다시(ren_re=back) (주어라)보여라(dez_do=give)'라는 그림에서 '(특정한 장소 때에)만날 약속, (약속에 의한)회합(장소), (군대나 함선의)지정 집결지(흩어졌다가 다시 멈을 나타냄), (우주선의)궤도회합, 집결하다'라는 뜻으로 쓰이게 됩니다.
renovate는 '다시(re=back) 새롭게(nov=new)하다(ate)'라는 그림에서 '새롭게 하다, 쇄신하다, 개선하다, 회복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patriate는 '다시(re=again, back) 아버지의 나라로 돌려보내다 또는 돌아가다(patriate_patri=father)'라는 그림에서 '본국으로 송환하다, 본국으로 돌아가다, 본국으로의 송환자'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pel은 '뒤로(re=back) 밀다(pel_peal_pul=push)'라는 그림에서 '쫒아버리다, 격퇴하다, 반박하다, 저항하다, 퇴짜 놓다, 거절하다'라는 뜻으로, repellent는 '(사람에게)혐오감을 주는, 불쾌한, 반발력, 구충제'의 뜻으로 쓰입니다.
replenish는 '다시(re=again) 채우다(plen=fill)'라는 그림에서 '(다시)채우다, (연료를)계속 공급하다, 새로이 보충하다, (사람이나 동물이 땅에)살다, (땅을)사람(동물로)으로 채우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plete는 '완전히(re=intensive) 채우다(plet=fill)'라는 그림에서 '가득 찬, 충만한, 충분한, 포식한'의 뜻으로, repletion은 '충만, 포식, 만복'의 뜻으로 쓰입니다.
replicate는 '다시(re=again) 접다(plic=fold)'라는 그림에서 '되접은, 반복된, 복제의, 되접다, 복사하다, 복제하다'의 뜻으로 쓰입니다.
reply는 '뒤로(re=back) 접다(ply=fold)'라는 그림에서 '대답하다, 응답하다, (법)원고가 항변하다, 반향하다'의 뜻으로 쓰입니다.
report는 '무엇인가를 뒤로 또는 다시(re=back) 나르다(port=carry)'라는 그림에 바탕을 두고 무엇을 나르는가(왜 나르는가)에 따라 '보고하다 또는 복명하다, 연구나 조사 결과를 보고하다, 보고서를 제출하다, 회신하다, 말하다, 발표하다, 알리다, 고자질하다 또는 알리다, 받아 적다, 취재하다, 보도하다, 출두하다' 등의 동사로, '보고(서), 보도, 기사, 성적표, 평판, 의사록' 등의 명사로 사용됩니다. '보고, 복명, 회신, 제출' 등은 '상사나 타인의 지시나 요구에 대하여 뒤로 반응을 하는 행위'로, '발표, 보도, 알림, 말하기, 받아 적는 것' 등은 '어떤 선행 동작을 다시 반복하는 개념'으로, 출두는 '누군가의 요구에 자신을 직접 요구받은 대로 나르는 그림'으로, '성적, 평판'은 '자신이 한 행위의 결과가 자신에 되돌아오는 그림'으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이 모두를 암기하려 하기 보다는 어떤 단어가 왜 그러한 의미로 사용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주세요. 그래야 단어가 생생하게 자신의 기억 속에 자리를 잡게 됩니다.
repose는 '뒤에(re=back) (몸을)두다(pose=put)'이라는 그림에서 '휴식, 휴양, 침착, 쉬게 하다, (신뢰를)두다, (권한을)위임하다'라는 뜻으로, repository는 '용기, 저장소, 납골당'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prieve는 '뒤에(re=back) 잡아두다(pri_prehend=seize)'라는 그림에서 뒤로 잡아두는 것이 시간이어서 '(특히 사형수의)형 집행을 연기하다, (위험이나 곤란에서)일시적으로 구하다, 형집행정지, 일시적 구원이나 도피'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reprehensible은 '뒤를(re=back) 잡아끌다(prehensible)'라는 그림에서 '비난할 만한, 괘씸한'의 의미로, reprehend는 '남의 말의 뒤를(re=back) 잡아채다(prehend=seize)'라는 그림에서 '꾸짖다, 나무라다, 비난하다'라는 뜻으로 쓰이게 됩니다.
reprimand는 '뒷등을(re=back) 누르다(prim=press)_and(end=라틴어에서 여성형)_여러분이 꾸중을 들을 때의 모습'라는 그림에서 '라는 그림에서 '견책, 징계, 비난, 호되게 꾸짖다'의 뜻으로 쓰입니다.
reprisal은 '반격(re=back)을 (잡다_선택하다)하다(prisal_seize)'라는 그림에서 '앙갚음, 보복, 보복적 강탈, 배상금'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prove는 '(그런 것이 아니라고) 반대로re(backward) 증명하다(prove_probe_test)'라는 그림에서 '훈계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prob, prov'는 test, try, good이라는 개념이며, 'prob(v)'는 'pro(in front)'와 'b(be)'가 합해져서 '뒤로 숨기지 않고 앞에다 두다'라는 그림에서 'try나 test'라는 개념을 담게 된 것입니다.
requiem은 '돌아가서(re=back, 강조) 쉬다(quiem_quiet=rest)'라는 그림에서 '(가톨릭)죽은 이를 위한 미사, 미사곡, 위령곡, (죽은 이의 명복을 비는)애가, 진혼가'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scind는 '뒷날에(re=back, after) 잘라내다(sci=cut)'라는 그림에서 '폐지하다, 취소하다'라는 뜻으로, rescission은 '폐지, 취소, 무효로 함, 폐기, 철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sent는 '뒤에 또는 강하게(re=back, after, intensive) 느끼다(sent=feel)'이라는 그림에서 사람들이 분하거나 원망스러운 일에 대해서는 유난히 되씹는 태도를 표현한 것이며 '~에 골내다, ~에 분개하다, 원망하다'라는 의미들을 가지게 됩니다. resentful은 '분개한, 성마른, 성을 잘 내는'의 뜻으로, resentment는 '노함, 분개, 원한'의 뜻으로 사용됩니다.
rest는 '뒤에(re=back) 남아 있다(st=stay)'라는 그림에서 '휴식, 안정, 안심, 수면, 죽음, 휴지, 숙박소, 무덤, 쉬다, 휴식하다, 자다, 지하에서 잠들다, 안심하다, 정지하다, 멈추다, 의지하다, (책임이)지워져 있다, 오래 머무르다, 쉬게 하다, 세워놓다, (경작지를)휴경하다'라는 뜻과, '나머지, 잔여, 여분, 잔류자, 적립금, 준비금'의 뜻으로 쓰입니다. 다른 사람들은 전쟁이나 일터에 나가는 데 뒤에서 머무르는 그림에서 '안심, 휴식'의 개념이, 휴식을 다른 관점에서 '죽음, 무덤'으로 사용하고, 뒤에 머무는 것은 '나머지, 잔여, 여분'이 되기도 합니다. restive는 '(말 따위가)나아가기를 싫어하는(뒤에 남아있고 싶어 하는 이라는 그림), 고집 센, 말 안 듣는, 마음이 들뜬, restless는 침착하지 못한, 활동적인, 끊임없는'의 뜻으로 쓰입니다.
restitute는 '본래의 자리로(st=stand) 회복(re=back)시키다'라는 그림에서 '본래의 지위로 회복시키다, 되돌리다'의 뜻으로 쓰입니다. restitution은 '(정당한 소유자로의)반환, 상환, 배상, 복권, 복구(복원)성'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strain은 '뒤로(re=back) 끌다(strain=끌다)'라는 그림에서 '제지하다, 금(제한)하다, 억누르다, 억제하다, 구속하다'의 뜻으로, restraint은 '제지, 금지, 억제, 속박, 자제'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strict는 '뒤에(re=back) 잡아두다(strict_strain=끌다)'라는 그림에서 '제한하다, 한정하다, 금지하다, 제지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sult는 '뛰어(sul=leap) 뒤에(re=back) 남은 것'이라는 그림에서 '결과, 성과, 계산의 답, 결의, 결과로서 일어나다, 유래하다, 귀착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 모든 개념들을 나누어 생각하면 정말 외우기 어렵지 않나요? 그냥 뛴(sul=sal) 뒤에(back)남아 있는 것이라는 생각으로 접근하면 의미들이 다가옵니다. 다만, 이 단어는 sal과 re가 합쳐진 점을 고려하면 뛴 동작을 함께 해석할 고려하여야 합니다. 즉 성적이라는 결과는 그 과정을 포함하게 되는 것이지요. resultant는 '결과로서 생기는, 합성력'의 뜻으로 쓰입니다. outcome이 결과 자체만을, fruit는 좋은 결과를, consequence (com 과 sequ=follow의 합성)는 잇따라 일어나는 그래서 필연적이라는 개념을 수반하는 것과 비교해서 외워두면 좋을 듯합니다.
resile은 '되(re=again) 튀다(sil_sal=leap)'라는 그림에서 '되튀다, 탄력이 있다, 원기를 회복하다, 계약 등에서 손을 떼다'는 의미를 만들어 내고, resilience는 '탄성, 되튐, 원기회복력, 쾌활함'이라는 뜻으로, resilient는 '되튀는, 탄력 있는, 원기를 회복하는, 쾌활한'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sult와 같은 그림이지만 result는 '튀고 난 뒤의 결과'를 중시하는 데 비해서 resile은 튀는 동작에 초점에 맞추어져 있습니다.
resurrection은 '다시(re=again) 일어나다(sur_surg=rise)'라는 그림에서 '소생, 부활(특히 예수의 부활), 재기, 시체 도굴'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suscitate는 '다시(re=again) 혼절로부터 깨어나(sus_sub=from) 부르다(cite=call=speak)'라는 그림에서 '(인공호흡 따위로)소생시키다, 의식이나 원기를 회복시키다, 부흥시키다, 부활시키다, 의식을 회복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pugnant는 '반대하여(re=back) 싸우다(pugn=fight)'라는 그림에서 '비위에 거슬리는, 불유쾌한, 반항하는, 모순된'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pulse는 '뒤로(re=back) 밀다(pulse_pel=push)'라는 그림에서 '격퇴하다, 논박하다, 되쫓아 버리다, 격퇴'의 뜻으로 쓰입니다.
repel은 '뒤로(re=back) 밀다(pel=push)'라는 그림에서 '쫓아버리다, 격퇴하다, 반박하다, 거절하다, 불쾌하게 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side는 '뒤에(re=back) 앉아 있다(sid=sit)_전투에 나가지 않고 머무르는 그림)'라는 그림에서 '살다, 주재하다, 존재하다, (권리 등이)~에 귀속하다, ~으로 돌아가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sident는 '거주하는, 거류하는, 들어가 사는, 고유의, 내재하는'의 뜻으로 쓰입니다.
residue는 're(back)'과 'sid(sit)'이 결합되어 '뒤에(re=back) 앉아 있다(sid=sit)'라는 그림에서 '찌꺼기, (수학)나머지, (법)잔여재산'의 뜻으로 쓰입니다.
resign은 '반대로(re=back) 표시하다(sign=mark)'라는 그림에서 '(지위나 관직을)사임하다, 그만두다, (권리를)포기하다, 양도하다, 복종하다'의 뜻으로 쓰입니다.
resist는 '반대로 대항하여(re=against) 서다(sist=stand)'라는 그림에서 '~에 저항하다, 격퇴하다, 방해하다, (병, 화학작용 등)견디다, 침식되지 않다, 참다, 방부제, 절연도료'의 뜻으로 쓰입니다. resistance는 '저항, 반항, 반대, 방해, 저항운동, (물리, 전기)저항'의 뜻으로, resistant는 '저항하는. 반항하는, 저항자, 방염제'의 뜻으로 쓰입니다.
resonance는 '반대로 되돌려(re=back) 소리를 내다(son=sound)'라는 그림에서 '공명, 반향, 공진'의 뜻으로 쓰입니다.
respect는 '뒤로(re=back) 다시 돌아 보다(spec=see)'라는 그림에서 존경, 경의, (복수)인사나 안부를 전함, 존중, 주의, 관심, 세목, 관계, 존경(존중)하다, 주의(참작, 고려)하다'라는 뜻들을 만들어 냅니다. 보기 싫은 사람은 다시 보기도 싫지만 좋아하거나 존경할 만한 사람은 다시 찾고 보게 되는 인간의 속성을 그림 단어입니다.
respire는 '반복하여(re=again) 숨 쉬다(spire=breath)'라는 그림에서 '호흡하다, 휴식하다(후하고 한숨을 돌리는 모습에서)'는 뜻으로 쓰입니다.
resume은 '다시(re=again) 차지하다(sum=take)'라는 그림에서 '(자리 따위를)다시 차지하다(점유하다), (건강을)회복하다, 되찾다, 요약하다, 적요, 요약, 이력서'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tail은 '뒤를(re=back) 잘라내다(tail=cut)'라는 그림에서 '소매의, 소매로, 소매하다(되다), (소문을)퍼뜨리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taliate는 '꼭 같이(tal=such like) 다시(re=again)하다'라는 그림에서 '보복하다, 앙갚음하다, 대꾸하다, 보복 관세를 과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ticence(reticency)는 '완전히(re=intensive) 조용하다(조용하게하다)(tic_tacit=silence)'라는 그림에서 '과묵, 침묵'의 뜻으로 쓰입니다.
retain은 '계속해서(re=again) 잡고 있다(tain_ten=hold)'라는 그림에서 '보류하다, 보유(유지)하다, 고용하다, 존속시키다, 계속 사용(실행)하다'라는 뜻을 만들어 냅니다. 're'라는 접두사는 주로 'again'의 의미를 전달하나, again이라는 개념 자체가 계속이라는 개념과 반복이라는 개념을 담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해석이 가능해지는 것입니다.
retard는 '완전히(re=intensive) 늦추다(tard=slow)'라는 그림에서 '속력을 늦추다, 지체하다, ~의 성장을 방해하다, 저지하다, 지체, 방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tract는 '뒤로(re=back) 끌(고가)다(tract=draw)'라는 그림에서 '(혀 등을 입안으로)끌어넣다, 수축시키다, (약속, 명령 등을)철회(취소)하다, 수축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turn은 '뒤로(re=back) 돌다(turn=twist, throw)'라는 그림에서 '(본래의 장소나 화재, 장소, 상태로)되돌아가(오)다, 다시 오다, (병 등이)재발하다, 말대꾸하다, 반환하다, 답례하다, 이익이 생기다, 복귀, 회복, 보답'이라는 뜻으로 쓰이게 됩니다.
revenue는 '뒤로(re=back) 오다(ven=come)'라는 그림에서 '소득, 수익, 수입, 총수입, 세입, 국세청'의 뜻으로 쓰입니다.
reverberate는 '뒤로(re=back) 돌다(verb=turn)'라는 그림에서 '반향하다(시키다), 울려 퍼지다, 반사하다, 굴절하다(시키다), 되튀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verence는 '다시(re=again) 두렵게 느끼다(vere=feel, fear)'라는 그림에서 '존경하다, 숭배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verse는 '뒤로(re=back) 돌다(ver=turn)'라는 그림에서 '거꾸로 하다, 뒤집다, 뒤엎다, 교환하다, 전환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view는 '다시(re=again) 보다(view_vis=see)'라는 그림에서 '재조사, 재검토, (법)재심리, 회고, 열병, 비평, 논평, 재검토하다, 재심리하다, 복습하다, 세밀히 검사(조사, 검열)하다, (책을)비평하다, 서평을 쓰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vue는 review와 같이'이미 일어난 일에 대해 다시(re=again) 보다(vue_vis=see)'라는 그림에서 '시사 풍자의 익살극'의 뜻으로 쓰입니다.
revise는 '다시(re=back) 보다(vis=see)'라는 그림에서 '개정하다, 교정하다, 재검사하다, (의견이나 분류를)바꾸다, 복습하다, 교정, 개정, 개정판'이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vival은 '다시(re=again) 살다(viv=live)'라는 그림에서 '소생, 재생, 부활, 부흥'의 뜻으로, revive는 '소생하게 하다, 기운 나게 하다'라는 뜻으로 쓰입니다.
revoke은 '다시(re=again) 말하다(vok_voc=speak)'라는 그림에서 '(명령, 약속, 특권)철회(폐지)하다, 무효로 하다, 해약하다, 취소, 폐지'의 뜻으로, revocation은 '폐지, 철회, 취소'의 뜻으로 쓰입니다.(k와 c는 발음이 유사합니다)
revolt는 '(반대로 또는)뒤를 향해(re=back) 돌다(vol=turn)'라는 그림에서 '반란, 반역, 폭동, 반항심, 혐오감, 불쾌, 반란을 일으키다, 배반하다, 불쾌감을 갖게 하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revolve는 '(계속)뒤로(re=back) 돌다(vol=turn)'이라는 그림에서 '회전하다, 선회하다, 공전하다, 운행하다, ~의 주위를 덜다, 순환하다, 곰곰이 생각하다'는 뜻으로, revolution은 '혁명, 변혁, 회전운동, 천체의 공전'이라는 뜻으로 쓰이게 됩니다.
|
첫댓글 교수님...휴일엔 좀 쉬셔야죠!!
저에겐 넘 어려운 낱말들이라..이해하긴힘드네요...
언제나 이해하게될까요~~~~;;;;😧
남은시간 에너지가득채우셔야죠!!ㅋㅋ
낼부터 다시힘찬발걸음이되어서 뛸슈있으니...
화이팅 교수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