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 명조의 조직법
사주 명조 조직의 대강
인간의 운명을 감정하는 데 있어서 명리학의 감정 기반이 되는 도식을 사주 명조라고 한다. 이는 각자의 생년월일시를 판단의 기초로 하여 확립되는데 단순히 명조 또는 원명조라고도 한다.
사주 명조는 개인의 선천수품운명을 관장하는 생년월일 및 생시의 간지 팔자를 일정한 방식에 의해서 도식화한 것이다. 간지팔자 외에 인원장간, 통변성, 십이운, 오행표, 諸貴人, 諸神殺을 배치하여 개인의 근기와 타고난 복덕의 분량이나 육친골육관계, 성질, 적성, 직업 등 만반의 인사, 사업 상황을 알려고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생시가 명백하지 않은 사람은 정확성을 결여하게 되고 확실한 감정 결론을 얻기 어렵다.
사주 명조의 조직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명조례) 1935년 9월 13일 오전 10시생
남명(자축 공망)
생년 을 해 (술) 편관 겁재 태
생월 병 술 (신) 인수 식신 양
생일 기 미 (정) 편인 관대
생시 기 사(술) 비견 겁재 제왕
오행 목 1 화2 토 4, 금0, 수 1
후천운
제2운 을해 편관운
재3운 갑신 정관운
제4운 계미 편재운
제5운 임오 정재운
제6운 신사 식신운
제7운 경진 상관운
제8운 기묘 비견운
위 예는 맨 위가 선천명조표, 아래가 후천운세표인데 제1운이 빠진 것은 누구나
생월의 간지를 후천대운의 제 1운으로 하기 때문이다.(위 예의 경우 생월 간지인 병술이 제1운임)
남녀 순역의 차이로 후천운세가 흐르는 방향은 변하지만(이 이치는 뒤에 설명) 대체로 두 개의 표에 매년 매년의 세운표를 대조하면서 해마다의 선악이나 앞으로의 인사, 사업 상태의 길흉을 보는 것이다.
이밖에 제 귀인, 제 신살을 나열하여 일정한 방법을 통해서 감정하는 방법을 간명법이라 한다. 그 방법론적 핵심은 오행의 생극화합의 원리나 기타의 원칙을 적용하는 것이다.
또 사주명리학은 길흉의 기준을 中和에 두고 있다. 명조가 중화된 것을 최상의 길명으로 보며 그것을 벗어난 것은 빈고의 명운을 가진 사람으로 본다.
이처럼 사주 명조란 그 안에 선천의 복덕을 계측하고 후천에서 시정되어 길과 행이 되는 요소들, 역으로 悲運이 되는 것, 초년이 번영하고 만년이 고생하는 것, 초년은 인고의 운이지만 만년이 풍요한 것 등등 허다한 인간의 영고 성쇠, 또는 이합집산을 여실히 말해 주는 것을 내장하고 있다. 누구든 한번은 공부해 둘 필요가 있는 학문이다.
오늘날 각종의 유파를 내세워 운위하는 경향이 있으나 인간의 운명은 본래 하나밖에 있을 수 없다. 따라서 이것을 해명하는 데는 넓은 시야에 입각하면 간법도 하나 밖에 있을 수 없다
사주 명조 조직법 1
사주 명조를 조직하기 위한 가장 첫 번째 작업은 각자의 생년월일 및 생시의 간지 팔자를 생년, 생월, 생일, 생시의 순으로 네 개의 기둥처럼 도식화하는 것이다. 이것을 원명조 또는 원명이라 한다. 本命은 이 명조의 사람이라는 뜻이며, 看名은사주명리 간명법에 의해서 감정하는 것을 말한다.
사주 명조를 조직하는데 있어선 일반 서점에서 시판되고 있는 만세력을 참조한다.
여기에는 몇 가지 원칙이 있는데 각각의 명조의 생년월일시가 그 원칙 중에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를 먼저 고려하여 순서대로 조직한다.
예1)(만세력을 구입해서 펼쳐 볼 것)
1974년 10월 25일 오전 8시생(음력)
를 예로 들어 그 원칙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칙>
1.생년 간지 정하는 법
사주 명조 조직에 있어서의 생년 간지는 음력 정월 초 1일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입춘일을 기준으로 한다는 것을 우선적으로 명심해야 한다.
그러니까 생년월일이 입춘까지에 출생한 사람의 생년 간지는 전년의 간지를 사용하고 이후에 출생한 사람은 해당되는 해의 간지를 사용한다.
(만세력 참조)
만세력의 서기 1974년란에는 甲寅으로 기재되어 있다. 곧 이 사람의 생년 간지는 갑인이다.
하지만 예컨대 1982년 양력 2월 3일 생(음력 1월 10일 생)인 경우 입춘일은 다음날인 2월 4일(음력 1월 11일)이 되어 절입일인 입춘 전의 날짜에 출생하였다. 따라서 1982년생이라 하더라도 당해 간지인 임술을 채택하지 않고 전년도 간지인 신유가 되는 것이다.
다른 예로 1977년(정사년) 양력 2월 5일 생인 경우 음력으로는 12월 18일생이 되어 1977년의 전년도 간지인 병진이 되는 것 같지만 입춘일이 음력 12월 17일이다. 이때는 입춘일 이후의 생이 되어 1977년의 간지인 丁巳를 그대로 쓰게 된다.
그리고 입춘 당일에 태어난 사람이라면 절입일시를 모두 따져서 결정한다. 예컨대 음력 12월 17일 오후 12시 30분이 입춘 절입일시이면 그 시간 이전에는 전년도 간지를, 그 시간부터 태어난 사람은 해당되는 해의 간지를 사용하게 된다.
2.생월 간지 정하는 법
생월의 간은 매년 변하지만 생월의 지지는 어느 해에도 변함이 없다.
생월 간지는 각 달의 절입일을 기준으로 정하는데 이를 위해선 먼저 月健월건과 月節을 알아야 한다.
월건이란 매월의 지지를 말하는 것인데 그 달의 월절에서 다음달의 월절까지의 일개월을 주재하는 신이다. 물론 지신만으로 독립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당연히 그 위에 승하는 간과도 밀접한 관계에 있기는 하나 월건은 매년의 流年에 성가심을 받지 않고 엄연히 불변한 것이다.
월절이란 월의 節을 말한다.
년년세세 되돌아오는 해에 절분이 있는 것처럼 매월의 월에도 월절이라는 절이 있다.
1년은 12개월로 나눠져 사시의 기후를 만든다. 입춘 인월부터 시작하여 동토용 축월로 1년이 된다. 1년을 4계로 나누고 24氣로 구분하여 1기를 15일여로 한다. 2기를 합하여 1절이 되고, 12월 12절로서 1년이 된다.
월절일시는 음력상으로 해마다 많은 차이가 있으나 양력으로 환산하면 약간의 차이는 있어도 대체로 전반은 4,5, 6,7일 경 후반은 6,7,8,9일 경인데 드물게는 10일이 되는 달도 있다.
천지 사시 기후는 5일쯤마다 변천한다고 하며 월절일 직후는 아직 전달의 기를 다량으로 남겨 놓고 있으므로 월건분야 藏干(후설)에서는 전달의 正氣가 다음달의 初氣에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책정되어 있다.
월건과 월절은 다음과 같다.
1 월절(인월) 입춘
2 월절(묘월) 경칩
3 월절(진월) 청명
4 월절(사월) 입하
5 월절(오월) 망종
6 월절(미월) 소서
7 월절(신월) 입추
8 월절(유월) 백로
9 월절(술월) 한로
10월절(해월) 입동
11월절(자월) 대설
12월절(축월) 소한
각 달의 월절(절입 일시)까지에 출생한 사람의 생월 간지는 전달의 간지를 사용한다.
절입일부터 출생한 사람의 생월 간지는 다음달의 간지를 사용한다.
예컨대 1974년 란에 기재되어 있는 10월의 간지는 乙亥로 되어 있으나 10월 24일(대설)이 절입일이다. 곧 절입일 이후에 태어난 사람은 미래절인 다음달의 간지를 채용한다는 원칙에 따라 11월의 간지인 丙子를 사용한다. 따라서 병자가 생월 간지가 된다.
3. 생일 간지를 정하는 법
생일의 간지는 위 두 항과는 상관없이 1일의 간지에서 차례로 일수를 헤아려서 그날의 간지를 사용한다.
1974년 란의 10월 1일의 간지는 己未이다. 이 예제는 25일생이므로 육십간지표에 의거하여 기미에서 차례로 이르는 25번째를 헤아리면 계미가 된다. 이 계미가 생일 간지이다. (그냥 만세력을 참조해 찾아도 됨)
4.생시 간지를 정하는 법
생시의 간지는 어느날에 태어나더라도 오후11시에서 오전 0시까지의 한 시간 사이에 출생한 사람은 생시의 천간만은 전날의 천간을 채용한다.
생시간지는 이 경우 생시간지표에 의거하여 산출한다. 곧 이 표의 계일난의 오전 7시부터 오후 9시까지의 난의 간지는 丙辰이다.
*시지 책정의 문제.
*야자시와 명자시(조자시)
자시는 오후 11시(23시)부터 오전 1시까지를 말한다. 그런데 자시를 둘로 나누어 11시부터 자정(24시)까지는 전날의 야자시라 하고 24시부터 01시까지를 다음날인 명자시(혹은 조자시)라 하는 것을 말한다. 자시를 둘로 나누어 전날과 다음날의 천간을 사용한다는 것은 잘못되었다는 주장도 있지만 본서에서는 야자시, 명자시의 구분법을 채택하는 바이다.
*세계 표준시와 십이지시. 서머타임.
원칙상 자시는 밤 11시 0분부터 시작된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서기 1961년 8월 10일부터(1951년 8월 1일을 기준일로 하는 주장도 있다) 지금까지 세계 표준시 규정에 따라 시간의 기준을 동경 135도 자오선에 놓고 맞추느라 시침을 30분 앞당겨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십이지시에 맞는 시를 사용하려면 1961년 이후는 반드시 30분을 뺀 시간에 맞추어야 한다. 또 서울과 부산만 해도 위도에 따라 8분여의 시간차가 있으므로(부산의 11시 24분은 서울의 11시 32분) 아주 상세히는 이런 문제들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이밖에 서머타임 실시기간에 태어난 사람은 태어난 시에서 다시 1시간을 빼고 계산해야 된다는 문제가 있다.
서머타임 실시기간은 양력 기준으로 다음과 같다.
1948년 5월 31일 ~9월 22일
1949년 4월 3일 ~9월 30일
1950년 4월 1일 ~9월 10일
1951년 5월 6일 ~9월 9일
1955년 4월 6일 ~9월 21일
1956년 5월 20일 ~9월 29일
1957년 5월 5일 ~9월 21일
1958년 5월 4일~ 9월 21일
1959년 5월 4일 ~ 9월 19일
1960년 5월 1일 ~ 9월 18일
1987년 5월 10일 ~10월 10일
1988년 5월 8일 ~10월 9일
5. 생일의 간지가 판명되면 육십간지표를 참조 공망의 성을 명조표의 오른쪽 아래에 공망이라 기입한다.(간지가 배합될 때 간은 10자이고 지는 12자이므로 지지 2자가 남는데 이 지지를 공망이라 한다, 공망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공망난 참조)
6. 만세력의 년월표에는 각 달의 월절(절입 일시 또는 절기시각)이 일시분 단위로 기재되어 있는데 이것은 나중에 설명하는 월율분야장간를 산출할 때나 대운의 입운일수 등을 산출 할 때 필요하므로 명조의 오른쪽 아래 기입하여 둔다.
이 예제를 용지에 기입하여 십간, 십이지 오행 분포도에 따라 각각의 간지가 소속하는 오행표를 작성하고 거기다가 空亡, 월절을 기입하면
공망 申酉
월절 24일 오후 9시 5분
생 생 생 생
시 일 월 년
간 간 간 간
지 지 지 지
丙 癸 丙 甲
火 水 火 木
辰 未 子 寅
土 土 水 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