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월중선류 가야금병창 악보집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19호저자임종복출판민속원 | 2021.9.15.페이지수264 | 사이즈 221*306mm판매가서적 28,800원
책소개
『장월중선류 가야금병창 악보집』에는 장월중선류 가야금병창 전승곡 전곡(23곡)과 본인이 편곡한 가야금병창(9곡)을 수록하였고 부록으로 1966년 4월 선생님께서 직접 녹음하신 가야금병창 고음원을 복원하여 가사를 첨부하였다.
수록곡은 장월중선 창작 민요 6곡, 단가병창 4곡, 판소리병창 수궁가, 춘향가, 심청가 12대목(22곡) 총 32곡이며 고음원에 복원된 판소리병창은 수궁가와 춘향가 총 10곡이다.
이를 통해 후학들이 가야금병창 소리길을 가는 데 많은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장월중선류 가야금병창의 학술적 연구에 보탬이 되어 가야금병창의 발전에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 나아가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19호인 장월중선류 가야금병창을 널리 알리고 지역에 한정된 소리가 아닌 누구나 쉽게 접하고 배울 수 있는 장월중선류 가야금병창으로 남기를 바란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저자
임종복
저자 : 임종복
●사사
1975~1980 광주시립국악원-한애순 문하에서 판소리, 한재옥 문하에서 무용, 선영숙 문하에서 가야금산조 사사
1977~1978 염정관 문하에서 가야금병창 사사
1990~1998 장월중선 문하에서 가야금산조 및 병창 사사
1998~2015 정경옥 문하에서 가야금병창 사사
1998~2018 정순임 문하에서 판소리 사사
●학력
1959 전라남도 광주시 출생
1977 광주여고 졸업
1980 광주보건대학 졸업
2015 초당대학교 음악과 국악전공 졸업
2018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원 불교예술학과 석사학위 취득
●경력
現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19호 가야금병창 전수교육조교
現 장월중선류 가야금병창 보존회 회장
現 포항시 무형문화재 이수자협회 부회장
現 포항국악원 원장
現 포항민속예술단 단장
現 노래하는 가얏고 전문예술사
現 포항예술고등학교 출강
現 포항 여성문화관 출강
現 포항 해맞이호미곶예술단 출강
포항여성예술인연합회 회장 역임
총 12회 월은 임종복 가야금병창 독주회
총 18회 월은 가야금병창대향연 정기발표회 (제자발표회)
총 25회 경상북도 무형문화제 제19호 가야금병창 정기발표회
●음반 및 저서
2018 「장월중선류 가야금병창 연구: 단가 〈인생백년〉, 심청가 중 〈주과포혜〉, 〈행화는〉, 〈뺑덕어멈 심술타령〉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월은 임종복 가야금병창 『심청』 음반 발매 (국설당)
2020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19호 『장월중선류 가야금병창 가사집』 출판 (민속원)
2021 월은 임종복 가야금병창 2집 『장월중선류 가야금병창 전승곡집』 음반 발매 (국설당)
2021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19호 『장월중선류 가야금병창 악보집』 출판 (민속원)
●수상
2005 제55회 진주개천예술제 전국국악경연대회 전체대상
2005 세계예술교류협회 세계예술문화대상 가야금병창부문
2008 제2회 대한민국 국악예술대상 가야금병창부문
2010 제3회 낙안읍성 전국 가야금병창대회 대상
2010 제35회 부산동래 전국전통예술경연대회 성악부문 대상
2012 The UCLA School of the Art and Architecture 감사장(11th Annual Korean Music Symposium at UCLA)
2013/15/16/18 연변대학예술학원 감사장(제15,17,18,20회 한중 학술 및 실연교류회)
그 외 다수
●심사위촉
임방울 국악제 전국대회
판소리 명가 장월중선 명창대회
낙안읍성 전국 가야금병창 경연대회
대한민국 가야금병창 대제전
포항 천하명인 국악대제전
그 외 다수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목차
머리말
격려사
추천사
장월중선류 가야금병창과 그 계보
일러두기(가야금 연주법)
01 장월중선 창작 민요병창
1. 신라고도가
2. 찬기파랑가
3. 서라벌의 향기
4. 무상계
5. 자진풍년가
6. 봄타령
02 단가 병창
1. 백발가
2. 백구가
3. 인생백년
4. 사철가
03
판소리 병창
수궁가
1. 〈토끼화상〉 토끼화상 그리는 대목
춘향가
1. 〈긴사랑가(진양)〉ㆍ〈긴사랑가(중모리)〉ㆍ〈긴사랑가(중중모리)〉ㆍ〈긴사랑가(자진 중중모리)〉 사랑가로 노니는 대목
2. 〈사랑가 중 정자노래(중증모리)〉ㆍ〈사랑가 중 정자노래(자진 중중모리)〉 정자노래로 노니는 대목
심청가
1. 〈주과포혜〉 곽씨부인 땅에 묻고 자탄하는 대목
2. 〈조객들게〉 심봉사 곽씨부인 묻고 집에 들어오는 대목
3. 〈날이 차차〉 심봉사 젖동냥 대목
4. 〈강두를 당도하니〉ㆍ〈범피중류〉ㆍ〈이곳은 어디냐 허면〉ㆍ〈어야 듸여차〉 심청이 물에 빠지는 대목
5. 〈행화는〉 심청이 임당수에 빠진 후 선인들이 자탄하는 대목
6. 〈뺑덕어멈 심술타령〉 뺑덕어멈 심술부리는 대목
7. 〈화초타령〉 천자께서 기화요초를 모아 소일하시는 대목
8. 〈일일은 천자님이〉 천자께서 꽃봉속의 심청을 만나는 대목
9. 〈천지신명이〉ㆍ〈예 소맹이 아뢰리다〉ㆍ〈심황후 이말 듣고〉ㆍ〈얼씨구나 절씨구〉 심봉사 눈 뜨는 대목
부록
1. 전승곡, 편곡, 고음원 분류표
2. 장월중선 고음원 가사
ㆍ 수궁가
ㆍ 춘향가
ㆍ장월중선張月中仙
ㆍ월은月垠 임종복
ㆍ장월중선류 가야금병창보존회
ㆍ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19호 가야금병창보존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