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은 백두산에서 시작해서 백두산에서 끝난다?
□ 산행개요
○ 산 행 지 : 신어산&장척산&백두산 /경남 김해시
○ 산행일자 : 2012년 06월 30일(토) / 비 약간
○ 산 행 자 : 부산토요일산악회와 함께
○ 산행코스 : 대동초교~체육시설~백두산~470봉~장척산~생명고개~탕건바위~신어산~영구암~은하사
○ 산행기점 : 김해시 대동면 초정리 대동초등학교
○ 산행시간 : 6시간 38분(GPS 13.0km)
□ 산행일지
09:01 부산 서면전철역 9, 10번 출구 사이 한국투자증권 앞에서 출발(산악회 버스)
버스는 강서구청역을 경유, 낙동강변로를 따라가다 대동사거리에서 좌회전, 대동면사무소로 진행한다.
09:30 대동초등학교 앞에서 하차(GPS고도 28m)
바로 앞에 대동면사무소가 있다. 가랑비가 한 두 방울 내리는 중에 학교에 들어서서 산행을 준비한다.
09:42 산행시작
들머리는 학교 정문을 들어서면 바로 우측에 있는 쇠창살문이다. 예전에는 교실건물 뒤쪽에 있었던
것인데, 새로이 산행로를 조성해 놓았다. 백두산 등산안내도와 이정표(↑백두산 정상 2.2km)가 있다.
09:45 원지마을에서 올라오는 갈림길 /이정표(↑백두산 정상 2km, ↘원지 0.2km)
09:49 우측 뒤에서 올라오는 갈림길
10:02 진주 강씨 가족묘군
10:05 원명사 갈림길
이정표(↗백두산 정상 0.9km, ←원명사 0.4km, ↓대동초교 1.4km), 119푯말(김해 13-2)
좌측은 원명사에서 올라오는 길. 절 앞에 주차장이 널찍하기 때문에 이 길에서 올라오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진입로가 좁아서 대형버스 통행은 불가하다. 우측 백두산 정상 방향으로 진행한다.
10:09~18 체육시설(GPS고도 172m)
작은 공터에 체육시설이 있고 약수도 있다. 전망시설에서 잠시 대열을 정비하고 길을 잇는다.
체육시설에서 올라서는데 119푯말(김해 13-1)이 있다. 완만했던 길이 제법 가팔라진다.
10:26~28 능선갈림길(GPS고도 252m)
이정표(←백두산 정상 0.3km, →장척산 4.1km/신어산 6.9km, ↓원명사 1.3km)
힘겹게 올라선 능선 안부다. 좌측 백두산 방향으로 진행한다. 가파른 오름길이 이어진다.
10:37~55 백두산 정상(△352.9)
정상석(白頭山 352.9m), 삼각점(밀양 471)
나무계단으로 올라선 백두산 정상은 새롭게 단장되어 있다. 전망 정자(백두정)도 만들어 놓았다.
허나 가랑비와 자욱한 운무가 조망을 가렸다. 왔던 길을 되돌아 내려선다.
11:02~05 능선갈림길(10:26 경유지)
장척산 방향으로 진행한다. 도중에 우측 능선으로 오르는 길이 있으나 보다 널찍한 사면길을 따른다.
11:25~31 전망바위(GPS고도 326m)
11:46~48 351.5m봉(△351.2)
삼각점과 표찰이 있다. 삼각점(422 재설 건설부), 표찰(그곳에 오르고 싶은 산 △351.5m 산지킴이)
11:52 381m봉(×381)
12:14~45 475m봉(×475)
이정표(↖신어산 정상 5km, ↗매리 5.3km<낙남정맥 시발점>, ↓백두산 3km)
표찰(낙남정맥 475m 산사랑)
쉼터의자가 있는 분기봉이다. 회원들과 함께 점심을 먹고 좌측 신어산 방향으로 내려선다.
12:54 갈림길
직진하면 481m봉(×481)으로 오르는 능선길이다. 좌측 편안한 사면길로 진행한다.
13:01 갈림길
이정표(↑신어산 정상 4.1km, ↘백두산 4km, ↓백두산 3.9km)
우측 뒤에서 오는 길은 481m 봉을 넘어오는 길이다. 12:54 경유지점에서 갈라졌던 길이 합쳐졌다.
완만했던 길이 시나브로 고도를 높여가기 시작한다.
13:28~36 522.6m봉(△522.6)
이정표(↑신어산 정상 3.2km, ↓백두산 4.8km), 표찰(낙남정맥 △522.6m 준희), 삼각점(?)
멀리서 보면 장척산과 쌍둥이처럼 붙어있는 삼각점봉이다. 어느 지도에는 △552.2로 표기되어 있으나
GPS를 보더라도 522.6m봉이 옳겠다.
13:42~52 장척산(×531)
표찰(낙남정맥 장척산 531m 산사랑), 이정표(↑하늘마당<상동대감> 70분)
장척산 정상은 직진하는 산행로에서 우측으로 몇 걸음 떨어진 곳에 있다. 장척산은 지도상 표고점으로
표시된 봉우리일 뿐, 이름을 부여받지 못한 봉우리다. 올라섰던 길 우측으로 내려서는데 이정표가 있다.
이정표(→신어산 정상 2.9km, ←백두산 5.1km, ↓롯데야구장 3.2km)
14:01 452m봉(×452)
14:07 포장임도 /이정표(↑신어산 정상 2.1km, ↓백두산 5.9km)
포장길을 건너 능선길로 오르면 405m봉(×405)을 만난다. 낙남정맥은 이게 맞지만 우중산행이므로,
포장길을 따라 우측으로 내려간다.
14:15 이정표(→신어산 정상 1.7km, ↓백두산 6.3km)
포장길에서 산길로 내려섰는데 곧 임도를 만난다. 산행로는 구불구불한 포장길을 질러가는 길이다.
14:16 임도 /이정표(↓백두산)
임도에서 몇 걸음 하다가 포장길이 우측으로 굽어지는 지점에서 다시 산길로 진행한다.
14:18~23 생명고개(GPS고도 304m)
이정표(↖신어산 정상 1.4km, ↓매리<낙남정맥> 8.7km)
널찍한 공터에서 포장길을 다시 만나면 생명고개다. 좌측 포장길을 따라 몇 걸음 걸어가면 이정표가
서 있다. 신어산으로 오르는 길이다.
이정표(→신어산 정상 1.5km, ↑대동<주중리>, ↓백두산 6.5km)
14:56~15:25 탕건바위(GPS고도 595m)
생명고개라는 이름을 절감할 만큼 가파르게 올라섰다. 여름철엔 숲에 가려서 모르고 지나칠 수 있는
탕건바위는 등로 왼쪽으로 서너 걸음 떨어져 있다. 운무가 자욱하지만 쉬어가기 좋은 곳이다.
15:27 신어산 동봉(×605) /정상석(신어산 동봉 605m)
15:30 능선안부
이정표(↑신어산 정상 0.3km, ←선암다리 6.1km/천불사 3.8km, ↓상동매리 10km)
15:35~41 신어산 정상(△631.1)
정상석(신어산 631.1m), 삼각점(밀양 25, 1992 재설)
직전 이정표(↑영운리고개 4.0km, →상동장척 1.5km, ↓매리<낙남정맥> 10.3km/선암다리 6.4km)
영구암 가는 길은 좌측 정자(신어정)로 내려서는 계단길이다.
15:44 헬기장
14:45 삼거리 공터
119푯말(김해 11-1), 신어산 등산로 안내도( ↖영구암 300m, ↗출렁다리 550m)
우측 출렁다리 방향은 낙남정맥. 직진하여 영구암으로 내려서는데, 가파른 내리막에 계단이 설치됐다.
15:52 영구암(GPS고도 518m) /119푯말(김해 11-나)
15:58 갈림길
법구경 표석이 서 있는 곳에서 직진하는 길과 우측으로 내려가는 길로 갈린다. 우측길로 진행한다.
16:07 포장길
119푯말(김해 11-가), 이정표(↖신어산 정상 1.3km, ↗신어산 정상<산림욕로> 1.3km, ↓산림욕장)
내려선 포장길 건너편에 이정표가 있다. 포장길을 따라 우측으로 내려간다.
16:10 은하사 앞 주차장(GPS고도 299m) /산행종료
119푯말(김해 11-2)과 신어산 등산 안내도가 있다. 대기하고 있는 산악회버스를 타고 사상역 부근
음식점에서 저녁식사를 한 후 각자 귀가했다.
▽산행개요도

김해3산(백두산~장척산~신어산) 산행트랙.gtm
▽구글로 본 산행경로

▽산행고도표

▽김해 대동초등학교 앞에서 하차...

▽들머리는 학교 안에 들어서면 바로 우측에 있다.

▽백두산 등산안내도를 확인하고...

▽백두산으로 향한다.

▽널찍한 산길은 동네주민의 산책로인 듯...

▽묘지군을 지나면...

▽원명사에서 오는 갈림길을 만난다.

▽곧 체육공원. 비가 제법 내린다.

▽잠시 오르막길...

▽능선삼거리에 올라섰다.

▽좌측 능선길을 따라...

▽오름길을 올라서면...

▽백두산 정상. 북쪽의 백두산과 능선으로 이어지는 산이다.

▽되돌아 내려선 삼거리에서...

▽장척산으로 향한다.

▽비가 멎는가 했더니...

▽산 아래는 운무가 흐른다.

▽삼각점이 있는 351.5봉...

▽완만한 능선길은...

▽오름길로 이어져...

▽475봉에 올라선다.

▽475봉은 능선이 갈라지는 분기봉이다.

▽좌측 능선으로 내려서서...

▽능선길을 이어간다.

▽갈림길에서 편한 우회길을 택했지만...

▽곧 능선길과 합류, 급한 오르막이 된다.

▽삼각점이 있는 522.6봉. 장척산과 쌍동이처럼 붙어있는 봉우리다.

▽한차례 내려섰다 오르면...

▽장척산을 만난다.

▽이제 신어산을 향해 내려선다...

▽457봉을 살짝 올라서면...

▽잠시 완만하던 길은...

▽급한 경사길이 되어 임도로 내려서고...

▽산길로 들어섰다가...

▽임도로 나오기를 반복해서...

▽생명고개에 이르렀다.

▽잠시 대열 정비...

▽신어산으로 오르는 길은 된비알이다.

▽코가 땅에 닿을 듯한 가풀막...

▽신어산 동봉 직전에 있는 탕건바위...

▽운무 흐르는 바위에 앉아 잠시 쉬었다가...

▽신어산 동봉에 올라섰다.

▽이제 길은 완만하다.

▽신어산 정상. 김해의 진산이다.

▽하산길은 좌측 정자(신어정) 방향...

▽서봉을 우측에 두고 계속 직진하여...

▽급한 계단길을 내려선다.

▽유서깊은 영구암을 지나쳐서...

▽은하사가 있는 포장길로 내려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