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토주해 마의상법
상리형진
왕안석은 용의 눈(용안)이라 한다.
상법에서는 용안을 얻으면 관거극품(官居極品)으로 극히 귀한 벼슬을 한다고 한다.
마의상법과 상리형진편에 나와있다.
그럼 용안은 어떻게 생겼을까??
1.흑백이 분명해야 한다.
: 눈은 그 사람의 정신이다. 그러니 눈은 맑고 밝아야 한다.
눈이 흐리멍텅한 사람은 그 정신또한 흐리멍텅하고 눈에 살기가 있는 사람은 그 또한 마음이 흉악한 사람이다.
사람을 상대할때 그 사람의 눈을 보면 그 사람에 대해 80%는 알수가 있다.
우리들은 눈을 뜨면 사람을 상대한다. 내 옆에 있는 사람의 눈을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특히 남녀사이에는 그 사람의 눈을 잘 보아야 한다.
얼굴이 이쁘고 잘생겼다고 해서 모든것이 다 좋은 것이 아니다.
하기야 나비가 꽃을 찾고 꽃은 나비가 찾아올수 있도록 달콤한 꿀을 제공하지만 ...
상대가 어떤 사람인지 알고 싶으면 눈을 보세요
그 눈이 모든것을 말해줄겁니다.
※ 눈이 늘 피곤하거나 충혈되는 사람은 눈운동을 하세요
눈을 감고 눈동자를 상하좌우로 돌리면 눈의 피로가 가시고 맑아집니다.
2.마의상법에
波長眼大氣神藏(파장안대기신장)
파장이긴눈은기력과 정신을 갈무리한다.
그림처럼 파장이 길어야 정신과 기력이 있다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눈은 흑백이 분명하고 가늘고 길어야 좋다는 것이다.
가늘고 긴것이 좋다고 해서 너무 가늘고 길면 좋치않다 여기에 눈에 살기가 있다고 하면 이사람은
성품이 강하고 모진사람이다.
가늘고 긴 눈의 대표적인 눈이 부처님눈이라 할수 있다.
3.눈에 살기가 있으면 안된다.
소의눈과 호랑이의 눈을 생각해보세요
소의 눈은 크고 선합니다. 하지만 호랑이는 맹수의 왕으로 모든 동물이 범의 먹이감입니다.
그리고 초식동물은 지천에 초목이 널려 있으나 호랑이는 그렇치가 못합니다.
물론 동물들이 많이 있지만 항상 그자리에 있는 것이 아닙니다.즉 동물은 움직인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맹수는 그 동물을 잡아먹기위해 강한 기가 있어야 합니다.
그 강한기가 바로 눈으로 나타나는것이지요
이렇듯 사람이 눈에 강한기가 있는 사람은 사회적으로 성공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강한기와 살기는 다릅니다.
살기(殺氣)는 죽이는 기입니다.
하지만 강한기는 생명력을 나타냅니다.
그러니 강한기와 살기를 잘 구분하셔야 합니다.
◆ 왕안석의 눈이 용안이라 하였는데
이 용안이란 물형법으로 판단한것입니다.
여기서 또 물형법을 언급했습니다.
탄현선생이 쓴 관상수상으로 운명을 알수 있다 에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피일휴란 분은 중국 당나라 때의 시인이자 관상가였다고 합니다.
이렇듯 물형관상법에 회의적인 분들도 있었으나 많은 기록에 의하면 이 물형관상법이 성행했고
또한 이 물형관상법으로 예견했다고 합니다.
첫댓글 많이 배우고 갑니다
와우~~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_()_
감사합니다
용안에 대한 글 잘보았고 조금이라도 더 알게 되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