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9:28~30 사울이 제자들과 함께 있어 예루살렘에 출입하며 또 주 예수의 이름으로 담대히 말하고 헬라파 유대인들과 함께 말하며 변론하니 그 사람들이 죽이려고 힘쓰거늘 형제들이 알고 가이사랴로 데리고 내려가서 다소로 보내니라 |
헬레니즘(적/계) 유대교 hellenistic Judaism, 독어 hellenistisches Judentum
헬레니즘 문화와 언어의 여러 가치들을 받아들인 유대교(들)의 유형을 가리키는 용어, 예를 들어 알렉산드리아의 필론(Philo of Alexandria, 기원전 약 20-기원후 약 50)은 헬레니즘 철학과 풍유 주석으로 구약을 해석하려 했던 헬레니즘계 유대인 학자였다. 사도 바울은 유대-헬레니즘계 도시였던 타르수스(다소, Tarsus)에서 태어나고 자랐기 때문에 헬레니즘계 유대인이었다(참조, *헬레니즘), 제2 성전기 유대인들은 모두 헬레니즘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을 기억해야 하며, 이에 따라 헬레니즘(적) 유대교는 다양한 수용 정도를 나타낸다. 한국어로 '헬라주의적 유대교' 혹은 '헬라파 유대교'라는 표현이나 용어는 적절치 않다. “서양 고대사에서 고전 그리스 시대와 헬레니즘 시대를 통칭했던 용어인 '헬라'는 더 이상 사용하지 않”기에 성서학에서도 용어 정리가 필요하다. 박정수, 『고대 유대교의 터•무늬』(새물결플러스, 2018), 41, 459를 참고.
헬레니즘, 헬레니즘화 Hellenism, hellenization
알렉산더알렉산드로스대왕(기원전 334)과 함께 시작된 문화적 영향으로, (사상, 관습, 정치, 건축, 언어, 종교 등의) 헬레니즘 문화가 지중해 문화권에 전파되고, 많은 비헬레니즘 문화와 사회가 이를 받아들였다. 예를 들어 팔레스타인은 당시 상당히 '헬레니즘화' 되었다. 디아스포라로 살던 대다수의 유대인은 그리스어로 말하고 많은 헬레니즘 관습을 따르며 칠십인경을 그들의 성경으로 여겼기에, 스스로를 '헬레니즘계 유대인'으로 보았다〔참조, 행 6:1 의 "헬라파 유대인 (개역개정), 그리스말을 사용하는 유대인"(공동번역, 새번역)]. 헬라적, 헬라주의, 헬라화는 헬레니즘(적/화)으로 대체될 필요가 있다. “서양 고대사에서 고전 그리스 시대와 헬레니즘 시대를 통칭했던 용어인 '헬라'는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 박정수, 『고대 유대교의 터•무늬』, (새물결플러스, 2018), 41, 459를 참고.
출처: 아서 G. 팻지아 등, 『성서학 용어사전』, p.76.
첫댓글 행6:1-4 그 때에 제자가 더 많아졌는데 헬라파 유대인들이 자기의 과부들이 매일의 구제에 빠지므로 히브리파 사람을 원망하니 열두 사도가 모든 제자를 불러 이르되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을 제쳐 놓고 접대를 일삼는 것이 마땅하지 아니하니 형제들아 너희 가운데서 성령과 지혜가 충만하여 칭찬 받는 사람 일곱을 택하라 우리가 이 일을 그들에게 맡기고 우리는 오로지 기도하는 일과 말씀 사역에 힘쓰리라 하니
본문에 인용된 새물결 플러스는 좋은 책을 출판하고 있습니다. 신약성경이 헬라어로 기록되어 있으므로 교양 차원에서 헬라 문화를 조금 아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헬라파, 헬라주의적이라는 용어는 더이상 사용하지 않아야겠군요. 잘 알겠습니다. 헬레니즘이라는 용어로 통일해서 사용하겠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저도 이번에 타자를 치면서 알게 되었습니다.
유익한 지식을 올려 주셔서 잘 읽고 감사합니다.
격려와 공감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