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 치(治)를 논(論)하다
一. 구창(口瘡) 구고(口苦)
삼초(三焦)의 내열(內熱) 등의 증(證)에는 마땅히 감로음(甘露飮) 사신음(徙薪飮)으로 주(主)하여야 한다.
화(火)가 심(甚)하면 마땅히 양격산(凉膈散) 현삼산(玄蔘散)으로 주(主)하여야 한다.
위화(胃火)가 성(盛)하면 마땅히 죽엽석고탕(竹葉石膏湯) 삼황환(三黃丸)의 종류(類)로 주(主)하여야 한다.
만약 심화(心火) 간화(肝火)의 속(屬)이면 마땅히 사심탕(瀉心湯)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의 종류(類)로 주(主)하여야 한다.
주(酒)를 많이 하여 습열(濕熱)로 구미(口糜)하면 마땅히 도적산(導赤散) 대분청음(大分淸飮) 오령산(五苓散)의 종류(類)로 주(主)하여야 한다.
만약 노(勞)가 심비(心脾)를 상(傷)하고 화(火)를 겸하면 마땅히 이음전(二陰煎) 청심연자음(淸心蓮子飮)의 종류(類)로 주(主)하여야 한다.
만약 사려(思慮)나 도모(謀)가 불수(不遂)하여 간담(肝膽)이 허(虛)하면서 구고(口苦)하면 마땅히 칠복음(七福飮) 이음전(理陰煎) 혹은 오군자전(五君子煎)의 종류(類)로 주(主)하여야 한다. 화(火)를 겸하면 황금(黃芩) 용담초(龍膽草)의 종류(類)로 마땅함을 따라 좌(佐)하여야 한다.
구창(口瘡)에 육맥(六脈)이 허약(虛弱)하거나 한량(寒凉)을 오래 사용하여도 불효(不效)하면 반드시 무근(無根)의 허화(虛火)와 관계(係)되니, 마땅히 이음전(理陰煎) 이중탕(理中湯)의 종류(類)로 반치(反治)하여야 한다. 혹 관계(官桂)를 써서 금연(噙嚥: 머금고 빨아먹다)하여도 된다.
一. 구창(口瘡)을 외치(外治)하는 부약(敷藥)
음양산(陰陽散) 녹운산(綠雲散) 세신황백산(細辛黃柏散) 백잠황백산(白蠶黃柏散)에서 모두 선택(選)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혹 임와(臨臥)할 시(時)에 천황백(川黃柏)을 구(口)에 머금고 과숙(過宿: 밤을 보내다)하여도 묘(妙)한다.
만약 구설(口舌)에 창(瘡)이 생(生)하고 미란(糜爛)하면 마땅히 빙옥산(氷玉散)으로 주(主)하여야 한다. 감란(疳爛)하면 빙백산(氷白散)으로 하여야 한다.
一. 구취(口臭)가 위화(胃火)로 말미암으면 마땅히 청위음(淸胃飮) 승마황연환(升麻黃連丸)이나 죽엽석고탕(竹葉石膏湯)에 향유(香薷)를 가한 것으로 주(主)하거나, 천금([千金])의 구취방(口臭方)으로 하여야 하니, 모두 그 화(火)를 내청(內淸)할 수 있다.
이 외(外)에 정향환(丁香丸) 성혜구치방([聖惠]口齒方) 복건향다병(福建香茶餠)의 종류(類)도 그 예(穢)함을 잠시 해(解)할 수 있다.
一. 설태(舌胎) 설흑(舌黑)은 비록 화증(火證)이라 말하지만 실화(實火)와 허화(虛火)가 모두 이를 일으킬 수가 있다.
이를 치료(治)하려면 단지 맥증(脈證)을 살펴서 허실(虛實)을 위주로 하여야 하고, 다시 색(色)을 변(辨)하는 법(法)을 참고(參)하면 거의 잘못이 없게 된다.
실열(實熱)의 흑(黑)은 반드시 홍자(紅紫) 건갈(乾渴)을 겸하거나 망자(芒刺)가 많다.
만약 침흑(沈黑)하고 조금 홍(紅)하면서 윤활(潤滑)을 띠면 본래 실열(實熱)의 증(證)이 아니다. 만약 육맥(六脈)이 세약(細弱)하면서 형곤(形困) 기권(氣倦)하면 또한 가장 허(虛)한 증후(候)이니, 이는 반드시 한수(寒水)가 심(心)을 승(乘)하여 화(火)가 귀원(歸原)하지 못하는 병(病)이다. 이 때 근본(本)을 구(救)하지 않고 단지 표(標)만 치료(治)할 줄 안다면 만(萬)에 하나라도 생(生)하지 못할 것이다.
치법(治法)에서, 이열(裏熱)이 심(甚)하지 않으면서 표(表)로 산(散)하여도 풀리지 않으면 마땅히 여러 시호음(柴胡飮)의 종류(類)로 해표(解表)하여야 한다.
이사(裏邪)로 열(熱)이 심(甚)하면 마땅히 양격산(凉膈散) 서각지황탕(犀角地黃湯)의 종류(類)로 내(內)를 청(淸)하여야 한다. 이들은 실열(實熱)을 치료(治)하는 법(法)이다.
음허(陰虛) 화성(火盛)하면서 겸하여 표사(表邪)의 미해(未解)가 있으면 마땅히 보음익기전(補陰益氣煎)의 종류(類)로 표리(表裏)를 겸하여 치료(治)하여야 한다.
만약 형기(形氣) 병기(病氣)가 모두 부족(不足)하고 한수(寒水)가 심(心)을 승(乘)하여 허양(虛陽)이 불렴(不斂)하면 반드시 이음전(理陰煎) 이중탕(理中湯)이나 대보원전(大補元煎)의 종류(類)를 써서 단순히 리(裏)를 구(救)하면 저절로 염려가 없도록 보(保)할 수 있다. 이는 허화(虛火)를 치료(治)하는 법(法)이다.
만약 설(舌)에 백태(白胎)가 있고 언어(:語言)가 건삽(蹇澁)하면 박하(薄荷) 백밀(白蜜)을 강편(薑片)에 같이 찍어서(:蘸)하여 개찰(揩擦: 문지르고 비비다)하여야 한다.
이 외(外)에 상한({傷寒})의 문에 설(舌)을 변(辨)하는 조(條)가 있으니, 당연히 본문(本門)을 참조(參)하여 살필지니라.
一. 설상(舌上)에 무고(無故)하게 출혈(出血)하면 이를 설뉵(舌衄)이라 말하니, 이는 심화(心火)의 일(溢)이다. 마땅히 금화전(金花煎) 성금산(聖金散) 황백산(黃柏散)으로 주(主)하여야 한다. 혹은 천금구취방([千金]口臭方)을 써도 묘(妙)한다.
一. 중설(重舌) 목설(木舌)
설하(舌下)가 종(腫)하여 마치 설(舌)과 같이 나오므로 중설(重舌)이라 하고 또 자설(子舌)이라고도 한다. 갑자기 목(木)과 같이 종(腫)하면서 경(硬)하면 목설(木舌)이라고도 한다. 모두 상초(上焦)에 열(熱)이 옹(壅)한 까닭이다.
마땅히 오직 폄침(砭針)으로 자(刺)하여 거혈(去血)하는 것이 상책(上策)이고, 청위(淸胃) 강화(降火)하는 방제(劑)를 내복(內服)하면 저절로 낫게 된다.
만약 설(舌)이 갑자기 종(腫)이 기(起)하여 마치 저포(猪胞)와 같거나, 경(硬)하여 마치 목석(木石)과 같고 성(聲)을 출(出)하지 못하며, 창만(脹滿)하여 구(口)를 색(塞)하니 폐민(閉悶)하여 사람을 살(殺)하고, 단지 설하(舌下)를 보면 마치 누고(螻蛄)나 와잠(臥蠶)이 있는 것 같으면 급히 종(腫)이 돌출(突)한 곳에 폄(砭)으로 혈(血)을 거(去)하고 이어 부저(釜底)의 매(煤)를 다소(多少)에 불구(不拘)하고 염초(鹽醋)에 조(調)하여 두껍게 부(敷)한다. 혹은 정화수(井華水: 우물물)에 조(調)하여 부(敷)하여도 된다. 탈거(脫去)하면 다시 부(敷)한다. 만약 심(甚)하지 않으면 단순히 이것만 부(敷)하여도 나으니라.
정전([正傳])에는 설(舌)이 종대(腫大)하여 구(口)를 색(塞)하고 음식(飮食)이 불통(不通)하는 것을 치료(治)한 경험방(經驗方)이 있었으니, 진포황(眞蒲黃) 일미(一味)를 자주 설상(舌上)을 닦으면(:刷) 그 종(腫)이 저절로 물러갔느니라. 만약 약(藥)을 삼킬(:嚥) 수 있으면 곧 황연(黃連) 일미(一味)를 진하게(:濃) 달인 즙(汁)을 세세(細細)하게 마셔서(:呷) 심경(心經)의 화(火)를 사(瀉)하면 낫게 되었다.
의통([醫統])에서는 어떤 사람이 설종(舌腫)하여 만구(滿口)하였고 제약(諸藥)이 불효(不效)한 것을 치료(治)하였는데, 곧 매화빙편(梅花氷片)을 가루내어 부(敷)하였더니 바로 소(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