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한 해의 시작인 음력 1월 1일을 일컫는 말로 설날이라는 말과 같은 우리나라의 명절. 설날·원일·원단·원정·원신·원조·정조·세수·세초·연두·연수·연시·신일·달도·구정이라 일컬음
한편 설이란 용어를 나이를 헤아리는 말로 해석하기도 한다. 해가 바뀌어 새로운 한 해를 맞이하는 첫 날인 ‘설’을 쇨 때마다 한 살 씩 더 먹는다. 설을 한 번 쇠면 1년이며 두 번 쇠면 2년이 되는 이치를 따라 사람의 나이도 한 살씩 더 늘어난다. 결국 ‘설’이 사람의 나이를 헤아리는 단위로 정착하여 오늘날 ‘살’로 바뀌게 된 것이라 한다. 이밖에도 설이 새해 첫 달의 첫 날, 그래서 아직 낯설기 때문에 ‘설다’, ‘낯설다’ 등에서 유래했다는 말도 있다.
2. 설날의 어원 유래
설날의 어원 유래에 대한 3가지 가설을 알아보겠습니다.
첫째 '설'은 새로운 해의 처음으로 만나는 날이기에 '낯설다'라는 말에서 유래되었다고도 합니다.
둘째 설날은 '선날', 즉 시작하다의 뜻으로 '선다'라는 말에서 새해 첫날이 시작되는 날' 이라는 뜻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셋째 설날을 '삼가다' / '조심하여 가만히 있다'라는 뜻의 '섧다'에서 어원을 찾기도 하고 있습니다. 이는 설날을 한자어로 신일 (愼日)이라고 표현하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모든 언행을 삼가고 조심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해서 생긴 말이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3. 설의 역사적 변천
설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7세기에 나온 중국의 역사서에서 볼 수 있다.『수서(隋書)』와『당서(唐書)』의 신라에 대한 기록은 왕권국가다운 설날의 면모를 잘 드러내고 있다. 즉 “매년 정월 원단(元旦)에 서로 경하하며, 왕이 연희를 베풀고 여러 손님과 관원들이 모인다. 이 날 일월신(日月神)을 배례한다”는 기록은 국가 형태의 설날 관습이 분명하게 보이는 내용이다.
그러나 설명절이 역법체계에 따른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3세기에 나온 중국의 진수가 쓴 역사서『삼국지(三國志)』위서 동이전(魏書 東夷傳)을 통해서도 추정해 볼 수 있다.
우리 문헌에도 설명절의 연원과 관련된 기록이 보인다.『삼국유사(三國遺事)』권1, 기이(紀異) 사금갑(射琴匣)조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신라 21대 비처왕[(소지왕이라고도 한다)] 때 궁중에서 궁주(宮主)와 중의 간통사건이 있어 이들을 쏘아 죽였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후 해마다 상해(上亥)·상자(上子)·상오(上午)일에는 만사를 꺼려 근신하였다 하여 달도(怛忉)라 했다. 달도는 설의 이칭이기도 하므로 설의 유래로 볼 수도 있다. 또한 상해·상자·상오일은 정초 십이지일(十二支日)에 해당되는 날로 이때의 금기를 비롯한 풍속은 오늘날까지 그 잔재가 남아 있다.
『고려사』에는 고려 9대 속절(俗節, 명절)로 원단(元旦, 정월 초하루 설날), 상원(上元, 정월 대보름), 상사(上巳, 후에 삼짇날이 됨), 한식(寒食), 단오(端午), 추석( 秋夕), 중구(重九), 팔관(八關), 동지(冬至)가 소개되어 있다.
조선시대는 원단·한식·단오·추석을 4대 명절이라 했지만 그렇다고 다른 명절이 약화된 것은 아니다. 민간에서는 오히려 전 시대보다 세시명절과 그 무렵에 행하는 세시풍속이 다양했다
4. 설날 전통 풍습
설날에는 예로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다양한 풍습들이 있는데 차례 세배, 떡국, 설빔(새옷), 문안비, 설그림, 복조리 걸기, 야광귀 쫓기, 청참, 윷놀이, 널뛰기 등이 그것이다.
♤ 눈썹 세는 날
먼저, 섣달 그믐날에서 설날로 넘어가는 밤에는 방이나 마루, 부엌, 다락, 뒷간, 외양간에 불을 밝게 밝히고 밤을 새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 날 잠이 들면 눈썹이 하얗게 센다는 미신이 있었다.
피곤에 못 이겨 잠 든 아이들의 눈썹에 하얀 밀가루를 발라 장난을 치는 어른들도 있었다고 한다. 이를 가리켜 수세(守歲), 제석(除夕), 제야(除夜)라고도 한다.
♤ 청참
청참(聽讖)이란 새벽에 집 근처에서 맨 처음 들리는 짐승의 울음소리로 한 해의 길흉을 점쳐보는 것으로, 까치 소리가 들리면 길조, 까마귀 소리가 들리면 흉조다. 때문에 설날에 까치 소리를 듣고자 아예 집 근처에 까치가 집을 짓고 살도록 담장에 죽나무를 심어놓기도 했다.
♤ 복조리
설날 새벽에는 집 밖에 복조리(福笊籬)라는 것을 걸어 한 해가 풍족하길 빌었다. 본래 조리란, 쌀에 섞인 모래나 돌 같은 걸 걸러내고 물에 씻어내는 일종의 체를 일컫는데, 대나무를 가늘게 쪼갠 죽사(竹絲)로 엮어 만들었다. 설날이 되면 원래 쓰던 조리 말고, 정초에 새로 조리를 장만하는데, 그게 바로 복조리다. 섣달그믐날 자정이 지나고 잠시 뒤면 복조리 장수들이 "복조리 사려." 라고 외치며 복조리를 팔고 다니거나, 혹은 복조리 장수가 담 너머로 복조리를 던져 놓고 다음날 돈을 받아가는 풍습이 있었다. 이때 복조리를 샀는데, 복을 사는 것이라 여겨 복조리 값은 흥정을 하지 않았다.
한 해 동안 사용할 갯수만큼 조리를 사서 실이나 성냥, 엿 등을 담아 문 위나 벽 등에 걸어두는데, 이는 장수와 재복을 바라는 의미를 담은 것이다.
♤ 설빔
설빔은 새 옷감으로 옷을 지어 설날 아침에 갈아입는 것이다. 어른에게는 바지·저고리·두루마기를 하고 어린아이에게는 색깔이 있는 화사한 것으로 하며, 특히 부녀자의 치마저고리는 화려한 것으로 하여 호사를 한다. 버선·대님도 새것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