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晩悔齋公(廷喆)
1. 瀋陽往還日記
병조참판공 휘 정철(廷喆·1583~1657)의 자는 자길(子吉) 또는 정채(廷采)며 호는 만회재이다. 판서공 휘 덕화(德和)의 장남으로 21세 때인 1604년 무과에 등제하여 선전관(宣傳官)·감찰(監察)·함평현감(咸平縣監)을 지냈다. 1621년(광해군 13) 후금 칸이 요양을 공격하자 명의 요동도사(遼東都司) 모문룡(毛文龍)은 도망쳐서 평안도 철산 선천에 주둔했다.
그러나 이곳까지 후금이 공격을 하자 난처해진 조정은 북변(北邊)첨사인 공으로 하여금 모문룡을 가도(椵島)로 옮겨줄 것을 교섭케 했다. 그는 모를 설득, 철산 남쪽 70리에 있는 가도에 진을 치게 했다. 1623년(인조 1) 명나라는 가도에 도독부를 세워, 모문룡을 도독으로 임명하고 동강진(東江鎭)이라 했다. 이와 함께 선천 신미도(身彌島)에 그 분진을 뒀다.
공은 1623년(癸亥) 인조반정 때 정사훈(靖社勳), 1624년 甲子亂 때 진무훈(振武勳) 1등의 녹훈을 받았다. 1627년 정묘호란(丁卯胡亂) 때는 서북양도순찰사로 임명돼 방어에 만전을 기했다. 이후 조정은 공에게 길주(吉州) 책임자로 임명했다가 부임 전에 영흥(永興)도호부사 겸 남도방어사로 제수했다. 이 무렵 후금과 외교적으로 난처한 사태가 발생했다.
후금은 예단이 미흡하자 명나라에 군량미를 제공하는 등 정묘년 조약위반을 트집 잡았다. 사태가 심상치 않자 1630년 12월 18일 박난영(朴蘭英)을 춘신사로 보냈다. 춘신사는 심양에 도착, 칸에게 예물을 전달코자 했으나 값싼 물품이라는 이유로 수행한 군관을 옥에 가뒀다. 박춘신사는 1631년 3월 4일 귀국길에 올랐는데 차사(差使)가 뒤따르며 위협을 가했다.
조정은 1631년(辛未) 봄 부랴부랴 공에게 병조참판을 제수하여 1631년 3월 19일 회답사로 파견했다. 공은 후금의 수도 심양을 찾아갔다. 후금의 칸은 부재중이라 여러 날을 기다린 끝에 만나서 어렵게 수습하고 1631년 4월 30일 귀국했다. <왕환일기>는 공이 출국해서 후금의 칸을 만나 뒤틀린 양국관계를 풀기 위해 매일일기를 썼던 역사기록을 일컫는 것이다.
일기는 1631년 3월 19일 출국 당일부터 4월 30일 귀국까지 42일간의 기간이다. 회답사 일행은 당일 중국 요동성(遼東省) 구련성에 이르렀다.신은 지난 19일 신시(오후 3-5시)경에 압록강을 건넜는데, 의주(義州) 대안(對岸)에 위치한 중강(中江)이라는 지역에 간신히 이르렀을 때 날이 이미 저물어 그곳에서 잠시 머무르면서 말에게 꼴을 먹이고는 달뜨기를 가다렸다가 길을 나섰습니다. 그리고 구련성(九連城)을 지나 5리쯤 되는 곳에 후금(後金)의 차사(差使)들이 머무는 데서 묵었습니다.라고 첫날의 여정을 적고 있다.
1) 3월 21일 (後金 差使와 一泊)
(중략) 용호(용골대)가 먼저 말에서 내려 길가에서 마치 기다리고 있는 모습이라 臣도 도착하자마자 곧 말에서 내려 마주앉아 각기 문안 인사를 나눈 후에, 용호가 먼저 물었습니다.
“국왕께서 평안하신가?”
신이 대답하였습니다.
“아주 평안하시다”
신이 또한 칸(汗)의 안부를 물었습니다.
“편안하시다”
신이 또 물었습니다.
“이번 그대들의 일행이 거느린 군병 및 장사꾼과 물품이 얼마나 되는가?”
“군병은 600여명이고, 장사꾼은 800여명이며 물품은 단지 6만여 냥 어치다.”
이 같이 운운하였는데, 지난번 용호가 먼저 와서 말한 것과는 서로 크게 같지 않을 뿐더러, 이번 말도 그대로 믿을 수가 없습니다.
용호가 또 물었습니다.
“근래 도중(島中 : 椵島)의 소식은 어떠한가?”
신은 ‘아마도 아지호(阿之好) 박중남(朴仲男) 두 차사가 이미 도중의 변고를 먼저 알고 먼저 길을 나섰기 때문에 이처럼 만나서 묻는 것이다’고 생각하고는 천천히 대답하였습니다.
“도중에 이른바 변고가 일어났다고 운운하는 말은 내가 압록강을 건너는 날에 잠시 풍문으로 들었는데, 그곳에서 멀리 바라보매 서로 싸운 것 같다고 하지만 지금은 뱃길이 통하지 않고 막혔는지라 그간의 실상을 어떻게 알겠는가?”
용호가 또 말하였습니다.
“내가 만약 귀국에 도착하면 알 수 있을 것이다”
오늘 팔도하(八道河)에 이르러 이곳에서 묵었습니다.
※龍骨大란?
타타라 잉굴다이로 만주어로 ??????????????,, 중국어 간체로는 他塔喇 英俄尔岱, 정체로는 他塔喇 英俄爾岱, 병음으론 Tatara Ingg?ldai으로 불린다. 그는 청나라 장수로 1596년부터 1648년까지 활동했다. 한국어권에는 한자로 음차한 용골대(龍骨大)로 더 알려져 있다. 병자호란 때 조선에 침입, 남한산성에 피신한 인조로부터 항복을 받아낸 삼전도의 주역들이다.
누르하치는 1616년 대금이란 국호를 제정해 독자적인 여진국가를 천하에 공표한다. 이후 1618년, 명의 요동지역 요충지 무순성을 함락시키면서 대명공략을 시작했다. 이후 1619년 사르후 전역에서 명, 조선, 여허 연합군으로 이루어진 10만의 군사를 괴멸시킴으로써 후금의 기세는 한껏 올라갔다. 누르하치 후금 군대의 용맹은 바로 용골대가 한 축을 이루고 있다.
잉굴다이는 자손 대대로 자쿠무(요녕성 무순 동남쪽 일대)에 거주했는데 그의 조부 다이투쿠하리가 누르하치에게 귀순하면서 인연을 맺었다. 잉굴다이는 젊어서부터 누루하치를 따라다니면서 대소전투에 참가, 전공을 세워 니루이 어전(niru-i ejen, 牛祿 額眞)으로 승진했다. 특히 1621년 요양, 심양(瀋陽)전투에 참전, 결정적인 공을 세워 참장(參將)으로 승진했다.
하지만 그해 말 사고에 연루되어 비어(備御)로 강등했다. 그러나 이에 굴하지 않고 천명 8년(1623년)에 무훈을 세워 삼등유격으로 진급했다. 그 이후 천명 10년(1625년)에 무훈을 또 한 번 더 세워 삼등참장으로 승진한 후, 대죄를 지어 참수형을 당할 일이 생길 때도 1번 면제받을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는 등 청나라 황제로부터 엄청난 총애를 받은 주인공이다.
2) 3월 26일 (閭閻家에서의 酒宴)
비를 맞으며 길을 떠나서 아직 심양까지는 15리쯤 남은 곳에 이르니, 어떤 여염집이 있었는데, 호장(胡將), 능시(能時), 아벌아(阿伐阿), 천타변(千他卞), 박중남과 이름을 알 수 없는 호인(胡人) 2명 등 모두 6명이 그 마을에 미리 와서 소와 양을 잡아 주연(酒宴)을 베풀 준비를 해놓고 호인 1명을 먼저 보내어 臣일행을 맞으며 말하였습니다.
“오늘 빗줄기가 이와 같이 세차서 들판에 장막을 둘러치는 것이 어려울 듯해 촌집에서 영접하게 되었다. 비록 비좁고 누추할지라도 예(禮)를 폐할 수 없으니, 잠시만 머물러 주시오.”
臣이 그의 말대로 하고 그곳에 이르자, 여러 호인들은 문밖까지 나와 서로 읍(揖)하고 臣을 맞아들였습니다. 빈주(貧主)를 구분하여 자리에 앉고 날씨에 대한 인사를 주고받은 후로 능시 등이 먼저 물었습니다.
“국왕은 평안하신가?”
“아주 평안하시다”
“조정의 여러 대신들은 평안하신가?”
“평안하시다”
臣이 또한 물었습니다.
“칸은 평안하신가?”
“평안하시다. 그런데 지난 24일 새로 귀부(歸附)한 몽골의 추장(酋長)등을 만나는 일로 요호(蓼湖) 강변에 나가셨다가 말 먹이는 일 때문에 10여일을 머무르시다가 곧 돌아오실 것이다.” 이같이 말하였고, 이형장(李馨長)등도 그것을 구경시키기 위해 데려갔다고 하였습니다.
잠시 후 주연상을 차려놓았는데, 술과 음식들도 풍성한 것이 비록 습속이라 하나 오늘은 말할 게 없는 것에 가까워 다만 술 세 순배만 들고서 파하였기에 경호(京胡)들과 나란히 말을 타고 성으로 들어가서 관소(館所)에 도착하였습니다. 경호는 후금의 수도 심양사람을 일컫는다.
조금 뒤에 능시, 아벌아, 박중남 및 이름을 알 수 없는 호인 1명 등 모두 4명이 와서 臣을 보고 말하였습니다.
“국서를 보고 싶다”
臣이 대답하였습니다.
“조만간 국서를 칸에게 전달할 것이니, 그런 뒤에 보아도 마땅할 것이다.”
저들이 또 말하였다.
“칸께서 지금 다른 곳에 나가 계시니, 오늘 사신이 들어온 기별을 내일이면 마땅히 달려가서 아뢰어야 할 것이고, 국서 속의 뜻도 알려드리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보기를 청하는 것이다”
臣이 그 생각이 그럴듯하다고 여겨 국서를 꺼내 보이려는데, 저들이 또 말하였습니다.
“우리들은 국서를 이해할 수 없다.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칸을 수행하고 있으니, 국서를 전해주는 것이 마땅하다.”
臣이 대답하였습니다.
“무릇 사신이 중하게 여기는 것은 국서일 뿐이거늘, 받들어 전하지도 않았는데 미리 사신 등이 꺼내 보이려 했던 것조차도 오히려 미안한데, 더구나 국서를 베껴서 보여주겠는가?”
저들이 대답하였습니다.
“사신의 말은 비록 옳지만, 그러나 문장을 잘하는 사람이 마침 칸을 따라 나섰기 때문에 사신의 손을 빌리고자 청하는 것이다.”
그렇게밖에 할 수 없었던 것이지만, 말과 얼굴빛이 매우 진실하고 긴장하였습니다. 臣이 또 말하였습니다.
“꼭 원본을 베끼지 않을 수 없다면, 칸의 사람들 중에서도 베끼기에 능한 사람이 많을 것이니, 그들로 하여금 베끼도록 하면 매우 다행이겠다.”
곧 저들이 또 대답하였습니다.
“두 나라가 우호를 맺는 국서를 관계없는 사람으로 하여금 알게 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
臣이 말하였습니다.
“그 말은 이치가 있는듯하다. 그대들이 쓰도록 하라. 비록 함부로 쓸지라도 국서를 베끼는 데야 무방할 것이다. 그러나 내가 글씨를 쓴 지면에서 자획이라도 본래 국서의 정밀하고 자세한 만큼 같지 못하게 되면 공경하는 마음에 흠결이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체면을 손상시켜 마음이 편치 못하리니, 결단코 따르기가 어렵다.”
저들은 저의 공경한다는 말을 듣고 기뻐서 미소를 지으며 말하기를, “사신은 큰 고집을 부린다. 그러나 지금은 이미 저물었다. 내일 일찍 와서 국서를 베낄 것이다” 운운하였습니다.
관원(館員)을 불러 단지 깨끗하게 치워놓지 않았을 뿐이지, 습성을 점검하도록 엄히 신칙하고 도배한 것은 이미 우대하는 뜻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