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사강의(經史講義) 38 ○ 역(易) 1 계묘년(1783, 정조7)에 선발된 이현도(李顯道)ㆍ조제로(趙濟魯)ㆍ이면긍(李勉兢)ㆍ김계락(金啓洛)ㆍ김희조(金煕朝)ㆍ이곤수(李崑秀)ㆍ윤행임(尹行恁)ㆍ성종인(成種仁)ㆍ이청(李晴)ㆍ이익진(李翼晉)ㆍ심진현(沈晉賢)ㆍ신복(申馥)ㆍ강세륜(姜世綸) 등이 답변한 것이다
[대유괘(大有卦)]
《정전(程傳)》과 《본의(本義)》에서는 믿음을 이행하고[履信], 순응하길 생각하고[思順], 어진 이를 높이는 것[尙賢]을 상구(上九)의 일로 보았는데, 곽옹(郭雍)은 육오(六五)의 일이라 하였다. 지금 “믿음을 이행한다.[履信]”고 한 이(履) 자를 관찰해 보면 육오는 성실한 믿음이 있는 자인데, 상구가 그 위에 있어서 성실한 믿음을 밟고 있는 뜻이 있으니, 《정전》의 말이 옳을 듯하다. 또 “어진 이를 높인다.[尙賢]”고 한 상(尙) 자를 관찰해 보면 상구는 어진 이가 되는데 육오가 그 밑에 있으면서 어질고 덕 있는 이를 높이는 뜻이 있으니, 이는 곽옹의 말이 옳은 듯하다. 어느 학설이 더 좋은지 모르겠다. 모든 괘의 공통적인 예를 생각해 보면 상효(上爻)는 쓸모없는 자리이고 오효(五爻)는 임금의 자리인데, 괘의 중요함은 군효(君爻)에 있는 것이고 보면 믿음을 이행하고, 순응하길 생각하고, 어진 이를 높이는 것을 육오에 배속시키는 것이 이치로 보아 더 낫다고 할 수 있겠는가?
[이익진이 대답하였다.]
효(爻)에 여섯 자리가 있는데 그중에서 오효를 임금으로 삼고, 유독 위의 한 효만을 지위는 없으면서 높은 자리에 있는 것으로 여깁니다. 그래서 제가(諸家)의 학설 중에 손님과 스승의 뜻으로 보거나 물러나 쉬는 자리로 말을 하기도 하는데, “기러기가 점점 공중으로 나아간다.[鴻漸于逵]”라든가 “왕후를 섬기지 않는다.[不事王侯]”는 것들이 그러한 것입니다. 이 괘에서 육오의 임금은 아래에 여러 어진 이들의 보필이 있지만, 상구는 강명(剛明)한 덕을 가지고 풍성한 대유(大有)에 처해 있으면서 뚜렷하게 하는 일도 없이 하늘에게 도움 받는 복을 누리고 있으니, 믿음을 이행하고 순응하길 생각하고 어진 이를 높이는 일은 다만 이치에 순응하고 도리에 맞게 하여 하늘과 사람의 도움을 얻는 경사를 말한 것입니다. 《정전》과 《본의》의 해석은 모두 이러한 뜻을 위주로 한 것인데, 만약 곽옹의 말대로라면 애당초 계사(繫辭)에서 어찌하여 육오의 효사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다만 “하늘로부터 돕는다.[自天祐之]”고 한 이하의 것만을 들어서 이어 말하였겠습니까. 이 육오 효의 자리는 아마도 손님과 스승의 뜻으로 보거나 물러나 쉬는 자리로 미루어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합니다. 그러나 64괘 중에 대유괘(大有卦)보다 더 풍성한 것이 없으니, 풍성하면 반드시 쇠퇴하는 것은 진실로 당연한 이치입니다. 그래서 구사(九四)의 효사에서는 이미 “풍성함을 내세우지 않아야 한다.[匪其彭]”고 한 경계가 있었습니다. 더구나 대유(大有)의 마지막 자리에 처해 있으니 반드시 감손(減損)을 초래할 우려가 있으나, 다만 대유가 끝난 다음에는 겸괘(謙卦)로 이어져서 풍부하게 소유하였으면서도 있는 체하지 않고 윗자리에 있으면서도 높은 체하지 않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른바 “믿음을 이행하고 순응하길 생각한다.[履信思順]”고 하는 것은 사실상 겸(謙)이 그렇게 하는 것이지 대유가 그렇게 하는 것은 아닌데, 어찌 육오만을 해당시킬 수 있겠습니까.
양(陽)은 풍부함이 되고 음(陰)은 가난함이 되며 양은 크고 음은 작은 것이 되는데, 지금 이 괘는 음효(陰爻) 하나가 상괘(上卦)의 중간에 있고 그것을 다섯 양이 종주(宗主)로 삼고 있으니, “큰 것이 소유하였다.[大者有之]”는 말이 아니고 “소유한 것이 크다.[所有之大]”는 것이다. 그런데 《정전》에서는 대유(大有)를 부유(富有)로 풀이하였으나, 정여해(鄭汝諧)는 “곧바로 대유를 부유와 성대(盛大)로 보는 것은 그 본뜻을 잃은 것이다.” 하였다. 그러나 만약에 “소유한 것이 크다.”고 하는 뜻으로 미루어 보면 그 ‘부유’라고 한 것도 “소유한 것이 부유하다.”고 할 수는 없겠는가?
[이곤수가 대답하였다.]
대유를 풀이한 이는 모두가 “그 소유함이 크다.”고만 하고 “크면서도 부유하다.”고는 하지 않았습니다. 삼가 고찰해 보면 왕필(王弼)의 주석에서는 “크게 형통하지 않으면 어떻게 대유를 얻겠는가.” 하였고, 공영달(孔穎達)의 소(疏)에서는 “소유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대유’라고 일컬었다.”고 하였으며, 《본의》에서는 “대유는 소유함이 큰 것이다.” 하였으니, 이는 모두 그 소유함이 큼을 말한 것입니다. 유독 《정전》에서만 “대유는 성대하고 풍부하게 소유한 것이다.” 하였고, 또 말하기를, “대유는 번성하고 많다는 뜻이다.” 하였으며, 또 말하기를, “부유하게 되면 해가 없는 경우가 적다.”고 하였으니, 이는 크면서도 부유함을 말한 것입니다. 정여해가 “그 본뜻을 잃은 것이다.”라고 한 것은 이 때문입니다. 그러나 역리(易理)를 잘 연구하려면 그 상(象)을 완미(玩味)하고 말에는 매달리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 이 대유괘로 말하면 음유(陰柔)한 한 효가 높은 자리에 있고 많은 양이 아울러 순응하고 있으니 “그 소유함이 크다.”고도 할 수 있고 “크면서도 부유하다.”고도 할 수 있는데, 어찌 그 뜻을 잃었다고 논할 수 있겠습니까. 만약에 반드시 ‘소유함의 풍부함’을 가지고 “소유함이 크다.”고 풀이한다면 이는 아마도 《정전》의 본뜻이 아닌 것 같습니다.
이상은 대유괘(大有卦)이다. < 출전 : 한국고전번역원 >
[大有]
傳義則以履信思順尙賢。爲上九之事。而郭氏則以爲六五之事。今以履信之履字觀之。則五之孚信而上九履其上。有蹈履誠信之意。程說似然。又以尙賢之尙字觀之。則上九爲賢而六五處其下。有尊尙賢德之意。郭說似是。未知何說爲得歟。第念諸卦通例。以上爻爲無用之位。五爻爲人君之位。而卦之所重。在於君爻。則履信思順尙賢之屬之六五。於義爲尤勝歟。翼晉對。爻有六位。而以五爲君。獨於上一爻屬之無位而尊。故諸家之說。或以賓師之義。休退之地爲言。如鴻漸于逵。不事王侯之類是也。此卦六五之君。下有羣賢之輔。而上九則以剛明之德。處大有之盛。無所作爲。而享其天祐之福。履信思順尙賢之事。特言其順理合道。獲助天人之慶也。傳義之訓。皆主是義。若如郭說則當初繫辭中何不及六五爻辭。而只擧自天祐以下。繼之以云云耶。此箇爻位。恐當以賓師休退之例推之矣。然而六十四卦。莫盛於大有。盛必有衰。固理之常也。故於九四爻辭。已有匪彭之戒。况居大有之極者。必有招損之慮。而只緣大有之終承之以謙。有大而不自有。居上而不自高。所謂履信思順。其實謙之爲也。非大有之爲也。又何獨以六五當之哉。陽爲富陰爲貧。陽爲大陰爲小。今此一陰在上卦之中而五陽宗之。則非謂大者有之。卽謂所有之大也。程傳以富有釋大有。而鄭氏則以爲直以大有。爲富有盛大。則失其義矣。然若以所有之大之義例之。則富有獨不可謂所有之富也歟。崑秀對。釋大有之義者。皆以爲大其有。而不以爲大且有。謹按王註曰不大通。何 由得大有乎。孔疏曰能大所有。故稱大有。本義曰大有。所有之大也。此皆大其有之謂也。獨程傳曰大有。盛大豐有也。又曰大有繁庶之義。又曰富有鮮不有害。則此乃大且有之謂也。鄭氏所云失其義者。以是故耳。雖然善於易者。玩其象而毋泥其辭可也。今夫大有一卦。一柔居尊。衆陽竝應。謂之大其有可也。謂之大且有亦可也。有何失其義之可論哉。若必以所有之富。釋所有之大。則亦恐非程傳之本旨也。以上大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