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대청[大廳]마루 원문보기 글쓴이: 금향최세현[서울]
근거 | 분류 | 세부내용 |
악학궤범 (66종) | 아악기(46종) | 편종, 특종, 편경, 특경, 건고, 삭고, 응고, 뇌고, 영고, 노고, 뇌도, 영도, 노도, 도, 절고, 진고, 축, 어, 관, 약, 화, 생(笙), 우, 소, 적, 부, 훈, 지, 금, 슬, 둑, 정, 휘, 조촉, 순, 탁(鑛), 요, 탁(鐸), 음, 아, 상, 독(灌), 약, 적, 간, 척 |
당악기(13종) | 방향, 박, 교방고, 월금, 장구, 당비파, 해금, 아쟁, 대쟁, 당적, 당피리, 퉁소, 태평소 | |
향악기(7종) | 거문고, 향비파, 가야금, 대금, 소관자, 초적, 향피리 | |
증보문헌비고 (61종) | 금부(9) | 편종, 특종, 요, 순,탁(鐸), 탁(鑛), 방향, 향발, 동발 |
석부(1) | 경(편경) | |
사부(11) | 금, 슬, 현금(거문고), 가야금, 월금, 해금, 당비파, 향비파, 대쟁, 아쟁, 알쟁 | |
죽부(12) | 소, 약, 관, 적, 지, 당적, 대금, 중금, 소금, 퉁소, 당피리, 태평소(새납) | |
포부(3) | 생, 우, 황3종 | |
토부(4) | 훈, 상, 부, 토고4종 | |
혁부(15) | 진고, 뇌고, 영고, 노고, 뇌도, 영도, 노도, 건고, 삭고, 응고, 절고, 대고, 소고, 교방고, 장고 | |
목부(6) | 부, 축, 어, 응, 아, 독 | |
국악개론 (54종) | 현명(7) | 거문고, 가야금(가야고), 아쟁, 양금, 해금, 금, 슬 |
공명(15) | 대금, 당적, 단소, 퉁소, 향피리, 세피리, 당피리, 새납(태평소), 생황, 나발, 나각, 훈, 지, 약, 적 | |
체명(13) | 편종, 특종, 편경, 특경, 방향, 징, 바라(자바라), 꽹과리(소금), 박, 축, 어, 부, 운라 | |
피명(9) | 장구, 좌고, 소고, 용고, 교방고, 절고, 진고, 노고, 노도 |
국악기의 종류 및 분류방법
우리나라의 국악기를 분류하는 방법은 크게 첫째, 제작재료에 의한 분류, 둘째, 음악의 계통에 의한 분류, 셋째, 연주법에 의한 분류, 넷째, 물체 진동원리에 의한 분류의 4가지가 있다. 이 분류법 중 첫째와 둘째방법은 전통적인 분류방법에 들고 셋째와 넷째의 방법은 서양음악 또는 민족음악학계에서 쓰는 분류방법에 해당한다.
제작재료에 의한 분류방법
『증보문헌비고』에서 보여주고 있는 악기 분류방법으로서 악기를 이루고 있는 재료가 무엇인가를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금(金), 석(石), 사(絲), 죽(竹), 포(匏), 토(土), 혁(革), 목(木)의 8가지 재료별로 나누는 것이다. 이 8가지 재료를 지칭하는 '팔음(八音)'이라는 말은 중국 고대 순임금 때부터 사용된 것으로, 쇠, 돌, 실, 대나무 등의 8가지 재료를 우주만물의 생성원리인 음양오행과 건곤이감 등의 팔괘(八卦)와 관련지어 해석하고 있다. 먼저 이러한 8음에 의하여 악기를 분류하고 또 그것을 아부(雅部), 속부(俗部)로 세분하였는데 아부는 예를 들면 금, 슬과 같이 제례음악에 쓰이는 아악기를 말하고 속부는 거문고, 가야금 같이 기타의 궁중음악인 향악과 당악에 쓰이는 향악기, 당악기를 지칭한 것이다.
음악의 계통에 의한 분류방법
이 방법은 조선조 성종 때 편찬된 『악학궤범』에서 시도된 분류방법으로 국악기를 아부(雅部), 당부(唐部), 향부(鄕部)로 각각 나눈 것이다. 여기에서 '아부악기'란 중국 고대에서 발생한 악기로서 고려 예종 때 송나라로부터 수입한 '대성아악'(중국의 제례음악)에 쓰이는 악기를 말한다. 또 '당부악기'란 비단 당나라에서 비롯된 악기뿐만이 아니라 중국 중세의 속악기와 서역지방에서 발생하여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 수입된 악기를 일컫는 말이며, '향부악기'란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모든 악기를 말한다. 예를 들면 아부악기에는 편종, 편경 등, 당부악기에는 장구, 해금 등, 향부악기에는 거문고, 가야금 등이 해당한다.
연주법에 의한 분류
서양음악에 있어서는 악기를 그 음악상의 요소에 따라 선율악기, 화성악기, 절주악기 등으로 분류한 바 있는데 근세에 이르러서는 특히 악기의 음향학상 또는 연주법상 관악기, 현악기, 타악기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국악기를 이 방법에 의하여 분류한다면 대금, 피리 등의 악기는 관악기로, 해금, 가야금 등은 현악기로, 장구, 편경 등은 타악기로 각각 구분된다.
물체 진동원리에 의한 분류방법
20세기에 들어와서 시도된 새로운 분류방법으로 북 종류의 악기를 피명악기(皮鳴樂器) 또는 막명악기(膜嗚樂器, membrane phones)로 분류하고 있다. 그것은 라틴어로 '가죽'을 뜻하는 membranum에서 유래한 명칭이다. 그리고 쇠, 돌, 나무, 흙으로 만든 타악기들은 체명악기(體鳴樂器, Idio phones), 줄을 울려 소리 내는 악기들은 현명악기(絃鳴樂器, Chordo phones), 대부분의 관악기들은 공명악기(空鳴樂器, Aero phones)로 각각 분류된다. 또 최근에는 전기를 이용한 악기들을 전명악기(電鳴樂諸), Electro phones)로 분류하기도 한다. 이러한 악기분류방법은 민족음악학자 커트 작스(Curt Sachs)와 호른보스텔(E.M.von Hornbostel )에 의하여 확산 되어 전세계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방법에 해당한다. 또 이외에도 기본음고가 黃=C인 악기와 黃=E♭인 악기로 분류하는 방법, 같은 관악기라도 가로로 부는 악기(횡취), 세로로 부는 악기(종취), 또 서(리드)가 홑서(단황), 겹서(복황)에 따라 세분할 수가 있다. 타악기는 일정한 음률이 있는가 없는가에 따라 유율(有律),무율(無律)로 나누고 현악기는 어떤 방법으로 현을 울리는가에 따라 찰현, 타현 등으로, 관악기는 고음, 중음, 저음, 목관, 금관, 죽관 등으로 세분할 수 있다. 그 예를 보면 다음과 같다.
黃 = C인 악기 : 편종, 편경, 당피리 등 / 黃 = Eb인 악기 : 대금, 향피리, 단소 등 / 종취악기 : 단소, 퉁소, 새납(태평소) 등 / 횡취악기 : 대금, 소금, 지 등 / 단황악기 : 생황 등 / 복황악기 : 피리, 새납(태평소) / 유율타악기 : 편종, 편경, 운라 등 / 무율타악기 : 바라(자바라), 징, 장구 등 / 찰현약기 : 아쟁, 해금 등 / 타현악기 : 양금 등 / 고음악기 : 소금, 단소 등 / 중음악기 : 대금, 피리 등 / 저음악기 : 아쟁, 거문고 등 / 목관악기 : 새납(태평소) 등 / 금관악기 : 나발 등
국악기 음향학 연구
카페 난계 국악연구소 | 2006년 4월 25일 르네상스 소리님의 글
□ 필요성
전통악기의 표준화 기반 마련
서양음악이 세계 음악의 주도권을 선점한 것은 일찍이 표준화를 통한 산업화에 착수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비추어 국악기 음향을 중심으로 재료 등 악기에 대한 세밀한 특성조사를 통해 표준화의 기초자료를 확보하는 일은 세계화를 향한 첫걸음이다.
전통악기의 음향특성 규명에 따른 전통악기의 문제점 개선과 신악기 개발
국악기 음향학 연구를 통해 전통 국악기의 문제점 개선이나 신악기를 개발할 때, 전통악기의 특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추진할 수 있다. 또한 악기 음향 시뮬레이션 등의 방법을 통해 악기의 개량 및 개발과정에서 악기 성능자체가 문제가 되어 인적, 물적 자원이 낭비되는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
국악공연의 음향수준 제고
국악관현악 등의 연주에서 소리의 방향성, 음색의 특징을 고려한 악기편성이 이루어지려면 국악기 음향학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공연, 녹음시의 음향적 기술에 대해 현재까지 이렇다할 모범적인 사례나 학문적 근거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공연과 음반의 질을 높이기 위해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현황
국악기 음향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 부족
서구에서는 여러 악기의 음향적 특징이 과학적이고 통계적인 방법으로 연구되어 오고 있으나, 국악계는 아직까지 기초 연구상태에 머물러있다. 우리 악기에 대한 음향학적 연구가 외국에서 먼저 진행될 경우 그 결과를 빌어다 써야하는 일이 발생할 수 도 있다. 이에 국립국악원에서는 1991년부터 2005년까지 국악기 기초연구를 통해 일부 국악기 음향에 대한 기초적 연구를 진행하여 왔으나 이를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 사업내용
전통악기 음향측정 및 분석
ㅇ 대금, 중금, 소금의 진동특성 및 대금의 청에 대한 연구
ㅇ 향피리, 당피리, 대피리의 진동특성 및 서에 대한 연구
ㅇ 관악기의 길이와 내경에 관한 연구
ㅇ 아쟁 진동특성 및 판재와 활대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ㅇ 해금의 진동특성 및 재질과 활대에 따른 음향학적 연구
ㅇ 거문고의 진동특성 및 괘와 안족의 상호 연관에 대한 음향학적 연구
ㅇ 타악기 진동특성 및 재질에 따른 음향학적 연구
ㅇ 현악기 장력 연구
ㅇ 공명통의 효과와 잔향
ㅇ 국악기 음향측정, 음향데이터 DB효과 (측정, 데이터수집, 입력, 자료공개)
ㅇ 국악기 방향성 연구를 통한 악기 분석 및 관현악 배치도 제시
ㅇ 국악기 심리 테스트
신악기 개발은 위한 연구
ㅇ 악기별 울림통의 재질에 대한 음향학적 연구
ㅇ 악기의 구조에 대한 음향학적 연구
ㅇ 공명공의 영향력을 높이고 잔향시간을 늘일 수 있는 방법 연구
고대악기, 개량악기, 교육용악기 음향측정 및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