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78장
天下柔弱莫過於水, 而攻堅强者, 莫之能勝, 其無以易之. 柔之勝剛, 弱之勝强, 天下莫不知, 莫能行. 是以聖人云, 受國之垢, 是謂社稷主, 受國之不祥, 是謂天下王. 正言若反.
천하의 (유위가) 부드럽고 연한 바는 물(의 유위가 부드럽고 연함)을 넘어서지 못하는데, 따라서 (천하의 유위가) 단단하고 굳센 바를 (찌르거나 베거나 태우거나) 치는 바, 그것은 (물을) 이길 수 없고, 그것은 (물을 부수거나 구멍 내거나 자르거나 태우는 바) 그것을 더할 수 없다. (이른바, 유위가) 부드러운 바는 (유위가) 단단한 바를 이기고, (유위가) 연한 바는 (유위가) 굳센 바를 이기는데, (그러나 지금의) 천하의 누구도 알아차리지 못하고, 일삼기를 잘하지 못한다. 따라서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일컬었다. “나라를 (건네) 받는 일은 (스스로) 티끌이 되어야 하는 일인데, (그렇게 해서 그렇게 된) 그가 이른바 사직社稷의 주인이고, 나라는 (건네) 받는 일은 (스스로) 아름답지 못하게 되어야 하는 일인데, (그렇게 해서 그렇게 된) 그가 바로 천하의 임금이다.” 바른 말인데, 그러나 (지금의 천하는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의 일컬음을 알아차리거나 일삼는 바를) 반대로 한다.
擊之不傷. 剌之不創. 利刃不能截. 大烈不能灼. 此, 所謂莫之能勝也.
(물은) 쳐도 부서지지 않는다. 찔러도 구멍 나지 않는다. 날카로운 칼로 베어도 잘리지 않는다. 태워도 타지 않는다. 이것이 이른바 막지능승(莫之能勝; 이길 수 없다)의 뜻이다.
無以易之, 猶言無以加之. 謂無他物, 可相伐也.
무이역지無以易之는 이른바 뜻한다. “(부수거나 구멍 내거나 자르거나 태우는 바) 그것을 더할 수 없다.” 이른바, (찌르거나 베거나 태우거나) 칠 수 있는 다른 사물을 가지는 바가 없다는 뜻이다.
不祥, 猶不美. 謂汚辱卑賤也.
불상不祥은 (스스로) 아름답지 못하게 되어야 하는 일이라는 말과 (더불어 뜻이) 같다. 이른바, (스스로) 더러워지고, 욕되며, 낮게 되고, 값싸게 되어야 하는 일이라는 뜻이다.
夫能濟天下之大事者, 必含垢忍辱, 自卑以下人. 繇世俗觀之, 則受國之, 垢與不祥.
이른바, 천하를 (무위無爲로) 건너가게 하고, (무위無爲가) 큰 일삼음을 일삼는 사람은 반드시 (스스로) 티끌이 되는 바를 머금고, (스스로) 욕되는 바를 참은 채, 스스로 낮추는 바로써, 세상 사람들의 아래가 된다. (유위有爲한) 세상의 풍속을 따라 그것을 살피면, 이른바 나라를 (건네) 받는 일은 (스스로) 티끌이 되어야 하는 일이자, (스스로) 아름답지 못하게 되어야 하는 일이다. 〔스스로 티끌이 되고, 스스로 아름답지 못하게 되어야, 천하를 무위無爲로 건너가게 하고, 무위無爲가 큰 일삼음을 일삼는 사람이 된다는 뜻이다〕
皆, 下流賤者之事也. 而乃謂之, 主與王.
(사직社稷의 주인이 되고, 천하의 임금이 되는 일은) 모두 (스스로 세상 사람들의) 아래로 흐르고, (세상 사람들보다) 값싸지게 되는 사람이 일삼게 되는 바이다. 따라서 이른바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은) 일컬었다. “(그렇게 해서 그렇게 된) 그가 (이른바 사직社稷의) 주인이고, 천하의 임금이다.”
爲是言者, 亦可謂反矣. 而不知其實天下之正理也.
(정언약반正言若反은 뜻한다) “(그러나) 그 (아주 먼 옛날의 성인의) 일컬음을 일삼는 (지금의) 세상 사람들은 이른바 (그것을 알아차리기를) 반대로 한다고 일컬어질 수 있다.” 이른바, (지금의 세상 사람들은 그것을 올바로) 알아차리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 정말로 천하가 일삼아야 할 참된 이치(理; 無爲)를.
老子之書, 八十一章, 言謙下柔弱者, 居其十七. 蓋其, 用專在是也.
노자가 쓴 (이) 책, 81개의 장, “(무위無爲를 자신의 위로 높인 채, 자신을 무위無爲의 아래로) 낮추고, (세상 사람들의) 아래가 되며, (유위有爲에 대해) 부드럽고 연해야 한다”라고 일컬은 것이 그 열 중의 일곱에 자리한다. 이른바, 그것들은 그것들에 일삼아져 있고, 오롯하며, 자리하는 것이다.
첫댓글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모두 저의 부족함 탓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