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글多글하게
시인 소설가 작가별 문학관 리스트 (24년 3월 기준)by 다하게 DaHaGe 2024. 3. 11.
문학관 리스트 제1탄. 작가별
<시인>,<소설가>,< 그 외 작가>로 분류합니다.
1 - 1. 시인 문학관 (작가 이름순)
문학관명 | 작가명 | 대표작 | 소재지 |
구상문학관 | 구상 | 시 「초토의 시」 | 경북 칠곡군 왜관읍 구상길 191 |
기형도문학관 | 기형도 | 시 「빈집」 | 경기 광명시 오리로 268 |
김달진문학관 | 김달진 | 시 「청시」 | 경남 창원시 진해구 소사로 59번길 13 |
김동명문학관 | 김동명 | 시 「내 마음은」 | 강원 강릉시 샛돌1길 30-2 |
김수영문학관 | 김수영 | 시 「풀」 산문 「시여, 침을 뱉어라」 | 서울 도봉구 해등로32길 80 |
임실김용택시인문학관 | 김용택 | 시 「참 좋은 당신」 | 전북 임실군 장암2길 16 |
김춘수유품전시관 | 김춘수 | 시 「꽃」 | 경남 통영시 해평5길 142-16 |
공주풀꽃문학관 | 나태주 | 시 「풀꽃」 | 충남 공주시 봉황로 85-12 |
박두진문학관 | 박두진 | 시 「해」 | 경기 안성시 보개면 남사당로 198-11 |
박목월관 | 박목월 | 시 「나그네」 | 경북 경주시 불국로 406-3, 동리목월문학관 |
박재삼문학관 | 박재삼 | 시 「울음이 타는 가을 강」 | 경남 사천시 박재삼길 27 |
수주문학관 | 변영로 | 시 「논개」 | 경기 부천시 오정구 고리울로8번길 77, 수주도서관 |
미당시문학관 | 서정주 | 시 「자화상」 | 전북 고창군 부안면 질마재로 2-8 |
신동엽문학관 | 신동엽 | 시 「껍데기는 가라」 | 충남 부여군 부여읍 신동엽길 12 |
석정문학관 | 신석정 | 시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 전북 부안군 부안읍 선은1길 10 |
오장환문학관 | 오장환 | 시 「병든 서울」 | 충남 보은군 회인면 회인로5길 12 |
원서문학관 | 오탁번 | | 충북 제천시 백운면 애련로 855 |
청마기념관 | 유치환 | 시 「깃발」 | 경남 거제시 둔덕면 방하2길 6 |
청마문학관 | 유치환 | | 경남 통영시 망일1길 82 |
윤동주문학관 | 윤동주 | 시 「별 헤는 밤」 | 서울 종로구 창의문로 119 |
이육사기념관 | 이육사 | 시 「광야」 | 대구 중구 남산동 652-3 |
이육사문학관 | 이육사 | | 경북 안동시 도산면 백운로 525 |
정지용문학관 | 정지용 | 시 「향수」 | 충북 옥천군 옥천읍 향수길 56 |
정호승문학관 | 정호승 | 시 「부치지 않은 편지」 | 대구 수성구 들안로 403-1 |
조병화문학관 | 조병화 | 시 「공존의 이유」 | 경기 안성시 양성면 난실길 14-1 |
지훈문학관 | 조지훈 | 시 「승무」 | 경북 영양군 일월면 주실길 55 |
조태일시문학기념관 | 조태일 | 시 「아침 선박」 | 전남 곡성군 죽곡면 태안로 622-38 |
만해기념관 | 한용운 | 시 「님의 침묵」 | 경기 광주시 남한산성면 남한산성로792번길 24-7 |
만해문학박물관 | 한용운 | | 강원 인제군 만해로 91 |
노작홍사용문학관 | 홍사용 | 시 「나는 왕이로소이다」 | 경기 화성시 노작로 206 |
1 - 2. 소설가 문학관 (작가 이름순)
문학관명 | 작가명 | 대표작 | 소재지 |
김동리관 | 김동리 | 소설 「무녀도」 | 경북 경주시 불국로 406-3, 동리목월문학관 |
김승옥문학관 | 김승옥 | 소설 「무진기행」 | 전남 순천시 무진길 130, 순천문학관 내 |
잔아박물관 | 김용만 | | 경기 양평군 서종면 사랑제길 9-9 |
김유정문학촌 | 김유정 | 소설 「동백꽃」 | 강원 춘천시 신동면 김유정로 1430-14 |
요산김정한문학관 | 김정한 | 소설 「사하촌」 | 부산 금정구 팔송로 60-6 |
객주문학관 | 김주영 | 소설 「객주」 | 경북 청송군 진보면 청송로 6359 |
김홍신문학관 | 김홍신 | 소설 「인간시장」 | 충남 논산시 중앙로 146 |
박경리문학공원 | 박경리 | 소설 「토지」 | 강원 원주시 토지길 1 |
박경리뮤지엄 | 박경리 | | 강원 원주시 흥업면 매지회촌길 79-1 |
토지문화관 | 박경리 | | 강원 원주시 흥업면 매지회촌길 79 |
평사리문학관 | 박경리 | | 경남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길 76-23 |
강경산소금문학관 | 박범신 | 소설 「소금」 | 충남 논산시 강경읍 강경포구길 38 |
박화성관 | 박화성 | 소설 「백화」 | 전남 목포시 남농로 105, 목포문학관 내 |
심훈기념관 | 심훈 | 소설 「상록수」 | 충남 당진시 송악읍 상록수길 105 |
오영수문학관 | 오영수 | 소설 「갯마을」 | 울산 울주군 언양읍 헌양길 280-12 |
이병주문학관 | 이병주 | 소설 「지리산」 | 경남 하동군 북천면 이명골길 14-28 |
이외수문학관 | 이외수 | 소설 「장외인간」 | 강원 화천군 감성마을길 157-18 |
이태원문학관 | 이태원 | 소설 「객사」 | 대구 북구 동천동 897-8 |
이효석문학관 | 이효석 | 소설 「메밀꽃 필 무렵」 | 강원 평창군 봉평면 효석문학길 73-25 |
포석조명희문학관 | 조명희 | 소설 「낙동강」 | 충북 진천군 진천읍 포석길 37-14 |
아리랑문학관 | 조정래 | 소설 「아리랑」 | 전북 김제시 부량면 용성1길 24 |
조종현조정래김초혜 가족문학관 | 조종현(부친) 조정래 김초혜(아내) | | 전남 고흥군 두원면 분청문화박물관길 88 |
태백산맥문학관 | 조정래 | 소설 「태백산맥」 | 전남 보성군 벌교읍 홍암로 89-19 |
채만식문학관 | 채만식 | 소설 「레디메이드 인생」 | 전북 군산시 강변로 449 |
혼불문학관 | 최명희 | 소설 「혼불」 | 전북 남원시 사매면 노봉안길 52 |
최명희문학관 | 최명희 | | 전북 전주시 완산구 최명희길 29 |
한무숙문학관 | 한무숙 | 소설 「역사는 흐른다」 | 서울 종로구 혜화로9길 20 |
황순원문학촌 | 황순원 | 소설 「소나기」 | 경기 양평군 서종면 소나기마을길 24 |
1 - 3. 그 외 작가 문학관
문학관명 | 작가명 | 대표작 | 소재지 |
김우진관 | 김우진 극작가 | 희곡 「이영녀」 | 전남 목포시 남농로 105, 목포문학관 내 |
차범석관 | 차범석 극작가 | 희곡 「산불」 | 전남 목포시 남농로 105, 목포문학관 내 |
금아피천득기념관 | 피천득 수필가, 시인 | 수필 「수필」, 「인연」 |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 3층 민속기념관 내 |
소월(김정식) 민족시인 문학예술기념관 경암(이철호) 문학종합예술기념관 | 김소월
이철호 한의사 | 시 「진달래꽃」
소설 「태양인 이제마」 | 충북 증평군 도안면 노암로 24 |
권정생어린이문학관 | 권정생 아동문학가 | 동화 「몽실언니」 | 경북 안동시 일직면 성남길 119 |
이오덕작은문학관 | 이오덕 아동문학가 | 교육서 「우리말 바로쓰기」 | 경북 청송군 현서면 구평길 7-3 |
이원수문학관 | 이원수 아동문학가 | 동시 「고향의 봄」 | 경남 창원시 의창구 평산로135번길 32 |
이주홍문학관 | 이주홍 아동문학가 | 동화 「못난 돼지」 | 부산 동래구 금강로61번길 20-12 |
이주홍어린이문학관 | 이주홍 | | 경남 합천군 용주면 합천호수로 828-12 |
정채봉문학관 | 정채봉 아동문학가 | 동화 「오세암」 | 전남 순천시 무진길 130, 순천문학관 내 |
셋이서 문학관 | 이외수, 승려 중광, 천상병 | 시화집 『도적놈 셋이서』 | 서울 은평구 진관길 23 |
영인문학관 | 이어령 작가 | | 서울 종로구 평창30길 81 |
조경희수필문학관 | 조경희 수필가 | | 인천 강화군 강화읍 관청길 40, 강화문학관 2층 |
김현관 | 김현 문학평론가 | | 전남 목포시 남농로 105, 목포문학관 내 |
김환태문학관 | 김환태 문학평론가 | | 전북 무주군 무주읍 최북로 15 |
난고김삿갓문학관 | 김병연 (방랑시인) | | 강원 영월군 김삿갓면 김삿갓로 216-22 |
독서왕김득신문학관 | 김득신 조선문인 | | 충북 증평군 증평읍 인삼로 93 |
매월당김시습기념관 | 김시습 조선문인 | 소설 「금오신화」 | 강원 강릉시 운정길 85 |
노계문학관 | 박인로 조선문인 | | 경북 영천시 북안면 신평탑골길 93-33 |
백호문학관 | 임제 조선문인 | | 전남 나주시 다시면 회진길 8 |
최치원문학관 | 최치원 신라학자 | | 경북 의성군 단촌면 고운사길 241 |
허균허난설헌기념공원 | 허균 조선문인 허초희 조선문인 | 소설 「홍길동전」 산문 「광한전백옥루상량문」 | 강원 강릉시 난설헌로193번길 1-16 |
월하이태극문학관 | 이태극 시조시인 | | 강원 화천군 화천읍 동촌리 34 |
백수문학관 | 정완영 시조시인 | | 경북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길 118-18 |
우포시조문학관 | 이우걸 시조시인 | | 경남 창녕군 이방면 목포길 99 |
가람문학관 | 이병기 시조시인, 국문학자 | | 전북 익산시 여산면 가람1길 64-8 |
고하문학관 | 최승범 시조시인 | | 전북 전주시 완산구 향교길 28 |
김소월문학관이 없다고??2024년 3월 현재, 공식적인 <김소월문학관>은 없습니다.
검색해보면 충북 증평에 위치한 '김소월문학기념관'이라는 곳이 나옵니다. 정식명칭은 <소월(김정식) 민족시인 문학예술기념관 / 경암(이철호)문학종합예술기념관>입니다. 김소월문학기념사업회 이사장을 맡고 있는 이철호 한의사가 사비를 들여 건립했습니다.
이철호 이사장이 집필한 소설 '태양인 이제마'는 동명의 TV드라마로 제작방영되기도 했습니다.
김소월문학관은 남과 북, 양쪽 모두 없습니다. 대표작인 「진달래꽃」의 배경이 되는 '영변'은 북한의 지명이고, 작가는 평안북도 출신입니다. 문학관을 건립하지 않는 이유로, 남한에서는 연고지가 없다는 이유로, 북한에서는 혁명사상이 부족하다는 이유를 듭니다.
아무 연관도 없는 수원에서 고은 시인을 수원시민으로 만들어 문학관을 추진하려던 일과는 사뭇 대조적입니다. 고은 시인의 미투사건으로 추진계획은 무산되고 돈만 낭비한 셈이 되었지만, 분명 진지하게 고려해야 할 사안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선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어떤 지자체에서도 아직까지 나서지 않는 건 그저 명분이 부족해서만은 아니겠죠.
가장 사랑받는 작가 중에 한 명이라는 점과는 달리, 그를 기리는 공간이 없다는 사실이 참으로 씁쓸합니다. (친일작가는 대우해주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