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과 본문에서 환경보호를 위한 노력에 대해 배우면서 환경보호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조사를 시작함. 환경파괴와 지구온난회로 인한 기후위기에 대해 조사함. 기후위기를 막기 위한 생명공학적 노력에는 유전자 조작을 통해 광합성 효율이 높은 작물을 개발하여 더 많은 탄소를 흡수하도록 하거나 가축의 장기 내에서 발효에서 발생하는 메탄을 줄이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사료 첨가제 및 미생물을 개발하는 등 이산화탄소를 줄이고 온실가스 배출을 완화하는 방법이 있음. 또 폐기물 관리 및 자원 재활용을 위해 미생물을 이용해 자연에서 쉽게 분해되는 바이오플라스틱을 생산하거나 특정 미생물을 사용해 플라스틱, 석유 및 기타 화학물질 폐기물을 처리하는 기술이 개발하는 등에 노력과 바이오연료와 같은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 개발, 기후 변화로 인한 농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명공학은 가뭄, 고온, 염분 스트레스에 강한 작물을 개발하는 등도 있다는 것을 알게됨. 이런 방법뿐만 아니라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실현 가능한 방안들도 찾아봄.
7과에 베니스로 여행을 하는 본문 내용을 통해 그 이외에 다른 나라 중 일본에 대해 조사하게 됨. 여러 요소 중 맛집을 중심으로 일본에 대해 조사하여 수도인 도쿄와 국화인 벗꽃, 국조인 일본꿩, 국가인 기미가요에 대해 조사함. 이 중 일본에 수도와 관련하여 대내외적으로 일본의 수도를 도쿄라고 인식하고 있으나, 정작 '일본의 수도는 도쿄로 한다'라고 공식적으로 명시한 내용은 한 글자도 없지만 쇼와 31년(1956년) 법률 제83호 수도권정비법을 비롯한 여러 법 조항에서 '수도권이란 도쿄를 중심으로 한 지역으로 규정한다'라는 식으로 표현하고 있어, 도쿄를 수도로 본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정부가 교토에서 도쿄로 옮길 때 메이지 천황의 천도 칙령이 없었으니 여전히 교토가 수도라는 주장도 있지만 도쿄를 제도(帝都)라고 부르기도 하는 등, 도쿄가 명실상부한 수도라는 것이 정설이란 것에 대해 추가로 조사함.
8과 본문에서 나온 생체모방에 관심을 가져 생체모방에 대해 조사함. 우선 생체모방 단어는 생명을 뜻하는 'bios'와 모방이나 흉내를 의미하는 'mimesis' 이 두 개의 그리스 단어에서 따온 단어로 고통 없이 피를 빨아먹는 모기의 침같은 자연에 존재하는 생명체에 모습을 보고 모방해 기존 주삿바늘 보다 가는 무통주사 개발하는 것처럼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거나 혹등고래의 날개 지느러미에 구조를 풍력발전이 적용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것처럼 기존 기술을 개선해는 등 자연에서 배운 내용으로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란걸 조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