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레거시 레거시 하는데
그 때 그 때 다르더라
뉘앙스로는 꼰대 같은 느낌 이고 이 책에서는 경제 분야를 말하는 느낌
확실히 저자 3명이 쓴 느낌이 든다
문체로는 모르겠지만, 구성별, 장별로 구분이 된다
책 말미에
레거시에 고하는 편지가 있어 뭐지 싶기도 한 ..
경제, 투자를 위한 기본 개념들, 암호화폐 와 탈중앙 이슈들 을 소개하고 사례들을 보여준다
주역을 통해 변화 와 도서관 의 어원을 살펴보고 대학 을 언급한다
온고지신 을 모두 배울 수 있어 좋았다
레거시 시스템 legacy system 기존 방법과 유산
FAANG 페이스북, 아마존, 애플, 넷플릭스, 구글
MANTA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엔비디아, 테슬라, 알파벳
디지털 지갑은 1.근거리통신/QR코드 지불, 2.앱,문자,QR코드를 통한 P2P 트랜잭션, 3.앱에 은행계좌/직불카드 연동된 가치 저장, 4.암호화폐 보관 및 거래 접근 권한 제공의 용도로 분류
디지털 지갑 사용자 22년 34억명, 26년 52억명 예상 (by 주니퍼리서치)
디지털 지갑 : 보관용 지갑, 비보관용 지갑, 콜드 지갑 cold storage wallet
프랭크 도드법, 금융기관과 지급시스템에 제도적으로 리스크 관리 관점에서 중요한 사항을 새로 지정하고 강화된 건전성 기준을 적용할 수 있게 한다. 계속 개정중
분산 금융에서 관리하는 리스크 관리 : 시장 리스크, 유동성 리스크, 보안 리스크
크리에이터 경제, 유튜브, 서브스택 SubStack, 파트래온 Patreon
DAO 는 기존과 다른 차별화된 보상 구조, 개별 작업 또는 바운티 Bounties 에 참여할 수 있다
참여자들은 Work-to-Earn W2E 방식으로 네이티브 토큰 이나 명목화폐를 생성할 수 있다
영국은행은 CBDC 를 암호화폐와는 구별하고 있으며,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화폐의 디지털 버전으로 정의
AML 불법 자금 세탁 적발 및 예방을 위한 관리 체계
CPT 테러 자금 조달 방지
F2C Fiat to Crypto 현실 공간과 가상 공간 간의 통합성 부족으로 발생, 디지털 공간에서 당사자 간에 변동성 없이 교환할 수 있는 안정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스테이블 코인, 토큰화된 예금, CBDC
은행 업무에서 글로벌 결제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다. 결제 프로세스에서 막힌 부분을 확인하다 보면 트랜잭션의 많은 경우는 OFAC의 심사를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인 경우가 많다
OFAC 미국 재무부 소속 해외자산통제국 Office of Foreign Asset Control
암호화폐 믹싱 서비스 토네이도 캐시 사용을 금지, 암호화폐 믹싱은 거래 시 다른 거래 내역과 섞은 다음 시차를 두고 여러 디지털 지갑으로 쪼갰다가 다시 합치는 방식을 통해 오리지널 거래 내역을 추적하지 못하게 하는 기술
트래블룰 : 가상자산 서비스 제공자 Virtual Asset Service Provider VASP 가 100만원 이상의 거래가 발생할 때 디지털자산 거래의 송신인과 수신인의 신원 정보를 파악해 금융당국에 보고해야 하는 법적인 의무
크립토밸리, 스위스의 주크시
10억 달러 이상의 기업가치를 지닌 유니콘 기업 14개, 기억가치 1,000억 달러 이상인 헥토콘 기업 1개, 100억 달러 이상인 데카콘 기업 3개를 배출
리그 오브 레전드의 아케인 넷플릭스 시리즈
OpenSea 2017년 뉴욕에 본사를 둔 미국 온라인 대체 불가능 토큰 시장 Non-Fungible Token NFT
2021년 11월 싱가포르, 시드니, 한국의 멤버들이 DSV를 설립, 이후 PG DAO라는 신규 사업을 시작, 2022년 4월부터 실체가 보이기 시작했다
게임 생태계에 큰 역할을 하던 길드가 의미를 잃어 가면서 이를 대체할 2세대 길드, 즉 DAO를 만들기 시작한다. DSV 멤버 중 일부는 길드 중에 가장 좋은 성과를 보인 Avocado 길드의 투자자이다
Avocado 길드는 싱가포르에 본부를 두고 있다. 블록체인 기반의 P2E 게이머에게 길드가 보유하고 있는 코인이나 대체 불가능 토큰 NFT 등을 빌려주고 이를 대가로 게임으로부터 얻은 수익의 일부를 수수료로 가져가는 스콜라십 Scholarship 서비스를 제공한다. 2022년초 기준으로 1만명 이상의 스콜러 Scholar 를 확보중으로 엑시 인피니티와 리그 오브 킹덤즈, 타이탄 아레나 등 다양한 블록체인 게임을 지원하고 있다. 동시에 다양한 동남아 국가로 확장 중이다. 2021년 기준 2,000억원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지만 길드의 한계로 더 이상 높이고 있지 못하고 있다
P2E 게임에서 게임이 진행되면서 게이머들도 늘고 발행되는 코인들도 많아지면서 코인 가치가 하락하자, 게이머들은 흥미를 잃고 만다. 이에 PG DAO는 게임 내 NFT에 다양한 유틸리티를 만들어 내는 전략을 수립하였다
게임 내에서 게이머와 게임 개발사, 퍼블리셔 사이의 경제 선순환을 만들고 NFT의 가치를 상승시키는 전략은 성공하고 있고 게임을 고도화 시키고 있다. PG DAO는 게임사와 게이머들의 생태계를 한단계 성숙시키고 흥미를 유지하게 한다
PG DAO는 게임 생태계 및 암호화폐, Macro에 대해 리서치를 정기적으로 한다. 투자 전 반드시 게임사와의 인터뷰를 심도있게 한다. DAO의 존속과 확장을 저해하는 게임을 지양하기 위해 ‘온보딩 컨디션’이라는 내부 평가를 진행한다. 이는 레거시의 투자 적격 심사와 같다
웹 3.0 + Gaming Asset NFT 투자 + Research 의 웹 3.0 게임 전문 자산 운용사를 목표로 한다
암호화폐의 평가 : 화폐수량설, 원가접근법, 현금흐름법
- 화폐수량설의 유통속도가 일정하다는 가정은 비현실적이고, 암호화폐는 실시간 측정이 가능하다
유통속도 이슈에도 국가 단위로 가치 평가를 하는 암호화폐에 있어서 화폐수량설은 가장 많이 이용된다
디지털자산 벤처캐피탈 DSV에서 실제 사용하는 디지털자산가치평가 : FDV, MC, TVL
FDV 완전희석시가총액 Fully Diluted Valuation
- 이론상 비트코인의 총수량 2,100만개 X 22년 11월 비트코인은 16,500달러 = 최종 시가총액 3,465억 달러
MC 시가총액 Market Cap : 현재 토큰 가격 X 현재 유통중인 총 토큰수
TVL 총 예치금액 Total Value Locked
메타 로 사명을 바꾸면서도 끝내 출시 못한 페이스북의 가상화폐 리브라, 디엠
주역 <계사전>에 나온 변화의 어원, 변 은 음에서 양으로 팽창하면서 바뀌는 힘, 화 는 양에서 음으로 수축하면서 바뀌는 것
주역 <개론>에 ‘하도’라는 그림과 ‘낙서’라는 글에서 만든 이름이 도서관
만원 지폐 뒷면의 천상열차분야지도 : 4계절 우주 입체지도, 천체를 4분면으로 나누고, 1분면을 7개 영역으로 나눠 천체를 28개 영역으로 보여주고 있다. 약 1,500개 별자리를 축약해 정가운데 북극성을 두고 주위 사분면에 4개의 북두칠성 별자리를 둔 그림도 있어, 별의 개수 29개, 이를 본뜬 북 현무, 남 주작, 좌 청룡, 우 백호와 윷놀이 윷판의 점의 개수 29개, 훈민정음 창제 당시 자음과 모음의 개수 28개
시가 총액이 동일한데 부채비율이 다른 두 개의 회사를 가정했을 때 경기 변동이나 시장 점유율 변동 등의 변화가 발생할 때 부채비율이 낮은 회사에 비해 부채비율이 높은 회사의 주가 변동성이 높다
50대 50 법칙의 자본 조달 기본 구조
건물 1조, 차입금 조달액 5,000억원 : 선순위 차입금 2,500억원, 후순위 차입금 2,500억원
자본성 조달액 5,000억원 : 메자닌 2,500억원, 자본 2,500억원
차입금 제공자는 건물 가격이 현재 시가의 50%까지 하락하지 않는 한 원금 손실 위험 없어, 이자율도 연 5% 정도를 요구한다. 이에 반해 자본성 자금 투자자들은 건물 가격이 현재 시가의 50%까지 하락하면 투자원금을 모두 잃게 된다. 하지만 건물 가격이 2배로 오르면 5천억원에 대한 연이자 5%만 부담하고, 나머지 시가 변동분의 이익을 모두 갖게 된다
선순위는 우선적으로 보장받기에 선순위 차입금은 위험이 낮아 이자율은 연 3%, 후순위는 연 7% 받는다
자본성 조달액 중 메자닌에는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 사채, 전환우선주, 전환상환우선주 등이 있다. 위험에서 차입금보다 후순위고, 자본보다는 선순위, 이익이 날 경우 수익 분배권은 자본과 유사
비상장기업의 가치를 분석하기 위한 상대 가치에는 유사기업비교법과 유사거래비교법이 사용된다
Co Co and Co Transaction Analysis (Comparable Company and Comparable Transaction Analysis)
유사기업비교법은 업종과 규모가 비슷한 상장회사와 비교하는 것, 유사거래비교법은 업종과 규모가 비슷한 M&A 사례와 비교하는 것, 비교하는 방식은 가격인 시가총액과 재무수치와의 비율, PER 시가총액/당기순이익, PBR 시가총액/순자산 이 있고, 이 외에는 EV/EBITDA, PSR 시가총액/매출총액 등
비상장기업의 시가총액은 상장 전에는 알 수 없는 숫자로, 유사한 업종, 자산이나 매출 규모 면에서 큰 차이가 없는 유사 상장기업 5개를 선정해, 이들 기업의 PER 시가총액/당기순이익 를 확인해 평균값을 구한다. 가치 분석 하려는 비상장기업의 당기순이익은 확인 가능하므로 유사 상장기업들의 평균값 PER 을 곱해 상대가치 분석에 의한 가치를 구해 상장 후 공모가에 의한 적정 시가총액 추정이 가능하다
PBR 은 수익성보다 재산 상태인 순자산이 중요한 금융업종 등에 주로 이용된다
유사거래비교법은 비교대상이 주로 대주주의 지분 매각 거래와 같은 유사 거래의 상대가치로 가치를 분석하는 것으로 일반 투자자들이 거래하는 가격 대비 대주주가 경영권 지분을 매각할 때는 경영권 프리미엄이 포함되어, 유사기업비교법의 숫자보다 크게 나온다
cf. LTV 40% 이상, DTI 50% 이하를 요구하는 대출 심사의 의미 : 은행 입장에서 담보물이 경매에 들어가더라도 시가의 40% 이상으로 낙찰되면 원금을 회수할 수 있다는 분석, 경매 등 절차들을 거치더라도 대출 받는 당사자의 연소득이 대출금과 이자 합계액의 50% 이상이면 이차연체나 원금 상환 불능의 가능성이 낮을 거라는 분석
PER 과 PBR 이 평균 보다 높다는 것은 성장성이 높아 미래 순자산과 당기순이익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반대로 낮은 것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회사의 순자산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됨
PER 과 PBR 이 높다는 것은 안전성 보다 성장성 에 편중하여 가격이 형성되었다는 것을 의미, 불확실성이 증가할 때 주가가 떨어지거나 자금사정이 나빠질 수도 있다. 이 때는 자금 유치 등으로 안전자산이 현금 확보가 유리할 수 있다
<대학> 이이와 이황이 강조한 공부 수련법, 거경, 궁리, 역행
거경 은 비움으로써 무언가를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를 이루어 무언가를 필요로 하는 것을 느끼는 것, 궁리 는 느끼면 궁리하는 것, 역행 은 궁리한 것을 실천하는 것
1944년 브레튼우즈 협정, 2차 세계대전 종전 후 44개국이 참가한 연합국 통화 금융 회의, 국제 무역에 미국 달러를 중간 매개 통화로 결정
2020년 주요 선진국의 현금 사용률은 계속 감소해 30.9% 를 기록, 디지털 통화로의 급속한 전환을 위한 토대 마련
23년 1월 암호화폐 일일 거래량은 96억 3천만 달러, 3대 거래소로는 Binance, GDAX, OKex
하드포크 : 블록의 규칙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업데이트, 이전 노드들과 호환되지 않는 전혀 다른 블록체인이 되어 합의에 도달하지 않고 서로 분리된 채 블록이 계속 쌓인다
분산형 자율조직인 주노 Juno 는 네트워크를 통해 무료 토큰을 기존 암호화폐 소유자들인 커뮤니티 회원들에게 나눠주는 에어드롭을 진행 – 무상증자와 유사 개념
7개월 이상의 투자 검토 기간에 검토 대상 중 2%만이 투자를 받는다
초기 사업계획서만으로 받는 초기 시드 투자, MVP Minimum Viable Product 초기 실행 가능 제품을 제작, 10~100억원 기업가치
시리즈 A 투자, MVP 를 거친 뒤 본 제품이 출시되는 시점에 받는 투자, 100~250억원 기업가치
시장에서 사업 모델이 검증되었고, 시장 확대를 위한 대규모 마케팅이 필요한 단계에서 받게 되는 시리즈 B, C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