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장흥 안양 기산마을
 
 
 
 
카페 게시글
일반 게시판 스크랩 기양사 자료차 가져온 블로그의 글
봉명제 추천 0 조회 230 24.10.10 10:47 댓글 7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작성자 24.10.10 11:15

    첫댓글
    08년 11월 5일 쓴 문학코너 9번창 182번글.
    프로그램이 바뀌어서 복사,,첨부가 안되는군요,
    기양사 향사축문 샤례예시문은 바로위의 422번글에
    별도로 올립니다. 제관출표 되시는분들 참고해 주십시오.

  • 작성자 24.10.10 14:51

    두번에 나누워서 축문을 올립니다.
    2024,기양사 享祀 祝文(예시)
    (기양사 향사축문, 예시)
    維 歲次 甲辰, 庚子朔 丁未일
    000 儒學 敢昭告于

    首陽全節, 圃翁同揆, 克扶天經, 用樹風聲 靜愼齋 位
    (수양전절, 포옹동규, 극부천경, 용수풍성 정신재 위)

    身全忠孝, 義重宗社, 進退得中, 崇報彌彰 貞海君 位
    (신전충효, 의중종사, 진퇴득중, 숭보미창 정해군 위)

    學識高明, 行義絶倫, 衿懷灑落, 誦慕尤著 思周堂 位
    (학식고명, 행의절륜, 금회쇄락, 송모우저 사주당 위)

    行與度合, 規矩己正, 炳然遺慕, 百代可尙 南溪 位
    (행여도합, 규구기정, 병연유모, 백대가상 남계 위)

    存心養性, 全吾所得, ?然其衷, 餘敎永式 書谷 位
    (존심양성, 전오소득, 애연기충, 여교영식 서곡 위)

    沂水高鳳, 洛波臥龍, 觀心止水, 希音洪種 竹谷 位
    (기수고봉, 낙파와룡, 관심지수, 희음홍종 죽곡 위)

    體用正學, 諸賢推?, 立朝正笏, 士類有仰 岐峯 位
    (체용정학, 제현추장, 입조정홀, 사류유앙 기봉 위)

    一以聽天, 浩然養靜, 任重斯道, 開來繼往 東溪 位
    (일이청천,호연양정,임중사도,개래계왕 동계 위)

  • 작성자 24.10.10 11:31


    篤信不疑, 勇於克復, 不出戶外, 敎成于國 風岑 位
    (독신불의, 용어극복, 불출호외, 교성우국 풍잠 위)

    雅度壺月, 淸修苦節, 潛心主敬, 內直外方 玉峯 位
    (아도호월, 청수고절, 잠심주경, 내직외방 옥봉 위)

    材器卓?, 文行夙成, 存養修省, 動遵禮方 芷川 位
    (재기탁락, 문행숙성, 존양수성, 동준예방 지천 위)

    進以敵愾, 爲國藎臣, 退而藏修, 爲世逸民 石潭 位
    (진이적개, 위국신신, 퇴이장수, 위세일민 석담 위)

    勵志戡亂, 忘身報國, 克壯厥猷, 永鎭南服 述古堂 位
    (여지감란, 망신보국, 극장궐유, 영진남복 술고당 위)

    今以 草木 歸根之時
    追惟報本 禮不敢忘

    瞻掃封塋 不勝感慕
    謹以 淸酌庶羞 祗薦歲事尙 饗

    금이초목 귀근지시
    추유보본 예불감망
    첨소봉영 불승감모
    근이 청작서수
    지천세사 상 향.~


    저작자 표시컨텐츠변경비영리

  • 작성자 24.10.12 03:27

    선시십권이 1664호로 선시보주,풍아익으로
    명명,국가보물로 지정이 되었던 이전에 썼던 원고라서 국가보물 지정소식도 올립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풍아익 風雅翼
    요약
    전라남도 장흥의 기양사(岐陽祠)에 소장되어 있는 『선시보주』등의 시집. 종가유물.
    시대조선저작자유리문화재 지정보물 제1664호창작/발표시기조선 중기성격시집,
    종가유물유형문헌권수/책수15권 10책분야언론·출판/출판소장/전승전라남도 장흥군 안양면 기산리 기양사

    개설
    기양사는 장흥군 안양면 기산리에 있는 사우로, 조선 중기의 문인 백광홍(白光弘, 1522∼1556)을 배향한 곳이다. 『선시(選詩)』는 중국 원나라의 유리(劉履, 1319∼1379)가 『문선(文選)』에서 뽑은 시에 일부의 시를 더하여 주석을 첨가하여 만든 책으로 『풍아익(風雅翼)』으로도 불린다. 크게 『선시보주』 8권 7책, 『선시보유(選詩補遺)』 2권 1책, 『선시속편(選詩續編)』 5권 2책 등 15권 10책이며, 420수의 시가 실려 있다. 1442(세종 24)에 처음 간행되었으며, 1553년(명종 8)경에 다시 간행하여 백광홍에게 하사한 책이다. 2010년 10월 25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서지적 사항
    기양사 소장본의 표지는

  • 작성자 24.10.12 03:30

    황갈색의 장지로 장책되어 있고, 책의 표제는 ‘選詩(선시)[序, 目錄幷(서, 목록병)]’라고 표기되어 있다. 중요한 서지적 특징은 판식(板式)이 사주쌍변(四周雙邊)으로 반곽 크기는 세로 27㎝, 가로 16.5㎝이며, 계선(界線)이 있다. 인면(印面)은 9행 18자이고, 판구(板口)는 백구(白口)이며, 상하하향(上下下向)의 흑어미(黑魚尾)로 되어 있다. 상어미하에는 ‘選詩卷第一(선시권제일)’의 간략한 서명과 권의 차례가 있고, 하어미하 바로 위에는 ‘一’이라는 장의 차례가 있다. 지질은 전형적인 닥나무[楮紙]이다. 권8의 말제(末題)는 ‘選詩補註卷叭(선시보주권팔)’로 되어 있어 권두제와는 상이하다. 면지(面紙)에는 “[嘉靖三]十二年十月日 [內賜弘文]正字白光弘選詩一件 [命除謝] [恩] 右承旨臣尹手決([가정삼]십이년십월일 [내사홍문]정자백광홍선시일건 [명제사] [은] 우승지신윤수결)”이라는 내사기(內賜記)가 보이고 있고, 이어 맨 앞장에는 ‘宣賜之記(선사지기)’라는 장서인이 날인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초주갑인자에 후대에 보주(補鑄)한 글자가 더러 보이고 있고, 또한 책머리에 날인되어 있는 내사인 ‘宣賜之記(선사지기)’의 크기가 세로·가로 각각 8㎝인 정방형(正方形

  • 작성자 24.10.12 04:00

    정방형(正方形)의 인장임을 발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1553년 무렵에 간행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내용
    조선시대에 금속활자인 초주갑인자본(初鑄甲寅字本)으로 찍은 책으로 『선시보주』는 『문선』에서 212수, 『도정절집(陶靖節集)』에서 29수, 『후한서(後漢書)』에서 2수, 『문장정종(文章正宗)』에서 1수, 『완사종집(阮嗣宗集)』에서 2수를 뽑아 246수의 시를 실었다. 『선시보유』는 당우(唐虞) 이래 진(晉)나라에 이르기까지 전기(傳記)와 제자집(諸子集)에 보이는 42수를 뽑아 엮었다. 『선시속편』은 당·송시대 시인들의 작품 112수와 주자(朱子)의 감흥시(感興詩) 20수를 뽑아 실었다.
    『선시』는 현재 활자본과 목판본이 전하는데, 활자본은 초주갑인자본으로 장흥수원백씨 종가에 전하는 백광홍 내사본(1553년)인 기양사 선시보주 15권 10책의 완질본, 일본 봉좌문고(蓬左文庫)의 안방경 내사본(內賜本, 1553년), 일본 내각문고(內閣文庫)의 14권 9책(권6 결), 통문관(通文館) 소장의 속편 5권 1책들이다. 목판본은 고려대학교(15권 9책)와 도산서원(陶山書院, 책수 미상)에 소장되어 있다. 이로 보아 초주갑인자본으로 국내 완질의 『선시』는 기양사

  • 작성자 24.10.12 04:01

    기양사 소장 『선시보주』가유일하다.

    백광홍 내사본의 간행연대는 끝에 “正統七年六月日印出(정통칠년육월일인출)”이라는 간기가 있어 1442년(세종 24)에 간행된 갑인자본을 저본으로 1553년경에 다시 인출한 것으로 보아 왔다. 반면에 『선시보유』의 “上虞劉履坦之輯選(상우유리탄지집선)”, “新安金德玹仁本校正(신안김덕현인본교정)”, “建陽縣知縣何景春捐俸刊(건양현지현하경춘연봉간)”의 기록을 중심으로 정통연간에 김덕현(金德玹) 등이 출간한 『선시』를 저본으로 홍치연간(1488∼1505년)에 하경춘(何景春)이 다시 간행했고, 이 책을 국내로 들여와 1553년경에 간행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갑인자본 완질 10책으로 국내에서 유일하게 모두 갖추어져 있다. 수록 시의 내용이나 서지적 측면에서 매우 귀중한 전적이다.

    참고문헌
    『기봉집(岐峰集)』
    『일본 봉좌문고 한국전적』(천혜봉, 지식산업사, 2003)
    「기양사 선시보주」(송일기, 『전남향토문화백과사전』, 전라남도·전남대학교호남문화연구소, 2002)
    「장흥 기양사 소장 문헌자료 지정 조사보고서」(송일기, 『지방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 전라남도, 1998)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