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0개 화력발전소의 현대화로 2022~2024년 동안 9억4000만 달러 투자 전망 -
- 터빈, 보일러, 발전기 등의 부품 현지화로 기술협력 투자진출 전망이 밝아 -
□ 러시아 전력 발전 현황
전력 발전량: 일정 기간 동안 전력을 생산하는 규모를 나타내며, 시간당 킬로와트(kilowatt-hour), 메가와트(megawatt-hour), 테라와트(terawatt-hour, 100만 메가와트) |
ㅇ 러시아 연방 에너지부에 따르면, 2018년 기준 러시아 발전소에서 화력발전소(연료 : 천연가스, 석유, 석탄)의 비중은 57.8%
- 화력발전 다음으로 비중이 큰 것은 원자력 발전로 18.7% 비중을 차지
- 수력발전은 원자력 발전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비중은 17.4%
- 나머지 발전은 태양광, 풍력 발전으로 6.1% 비중을 차지
자료: 러시아 에너지부(https://minenergo.go.ru)
ㅇ 2018년 기준 러시아 화력 발전량은 6307억 KW로 전년대비 1.3% 증가
- 2018년 기준 러시아 전체 전력발전량은 1조917억 KW이며 전년대비 1.7% 증가
러시아 전력발전 유형별 발전량 및 증감률(2017/2018)
지표 | 2017년 | 2018년 | 증감률(%) |
총 전력 발전량 | 1,073.7 | 1,091.7 | 1.7 |
아래 포함: | |||
TPP(화력 발전) | 622.4 | 630.7 | 1.3 |
NPP(원자력 발전) | 202.9 | 204.3 | 0.7 |
HPP(수력 발전) | 187.4 | 193.7 | 3.3 |
민간 기업 발전 | 60.3 | 62.0 | 2.9 |
신재생 에너지 발전 | 0.69 | 0.98 | 42.0 |
신재생 에너지 발전 아래 포함: | |||
¾ 태양광 발전(SPP) | 0.6 | 0.8 | 35.7 |
¾ 풍력 발전(WPP) | 0.1 | 0.2 | 69.2 |
자료: 러시아 에너지부(https://minenergo.go.ru)
ㅇ 2019년1월 기준, 러시아 화력 발전량의 전체 비중은 67.7%로 파악됨.
- 2019년 1월 기준, 러시아 화력 발전량은 10만 4586MW
- 화력 발전 다음으로 수력발전은 4만 8506MW로 19.9% 비중을 차지하고 원자력이 2만 9132MW로 3위를 차지
2019년 1월 기준 러시아 유형별 발전량 및 비중
(단위: 천 MW, %)
구분 | 총 계 | TPP(화력) | HPP(수력) | WPP(풍력) | SPP(태양광) | NPP(원자력) | ||||||
UPS | 243.2 | 100 | 164.5 | 67.7 | 48.5 | 19.9 | 0.18 | 0.08 | 0.83 | 0.3 | 29.1 | 12 |
사진 | - |
자료: 러시아 연방 에너지부(https://minenergo.gov.ru/node/532)
ㅇ 러시아는 '연합 발전 시스템(UPS: United Power System)'과 '독립 발전 시스템'으로 분류
- 연합 발전 시스템(UPS)은 서북부, 중부, 남부, 중앙볼가, 우랄, 시베리아, 동부를 각 UPG(United Power Grid)로 하분류된 시스템을 뜻함.
- UPS는 동기모드(Synchronous mode)로, 220-500kV(전압) 고압 시스템임.
- 독립 발전 시스템은 UPS와는 별도 시스템으로 주로 극동지역(사할린, 캄차트카, 마가단 등)에서 사용됨.
러시아 UPS(UPG) 및 독립(Isolated) 발전 시스템 위치 |
자료: https://www.so-ups.ru/?id=962 |
□ 러시아 화력 발전소 현황
ㅇ 러시아에는 UPS 기준 805개 발전소가 운영 중이며, 2018년 기준 352개 화력 발전소가 발전 중
- 24개 화력 발전소는 독립 발전 시스템이며, 이를 포함해 총 376개 화력 발전소가 운영 중
ㅇ 러시아 화력 발전소 유형은 크게 사용 연료 기준과 운영유형 기준으로 나뉨.
- 러시아 화력발전소의 71%가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27.5%가 석탄, 1%가 석유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등유 및 디젤유는 최근부터 사용되고 있고 목재 병합 사용 발전소도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2가지 이상의 복합 연료 사용 발전소는 약 25개인 것으로 파악됨.
ㅇ 러시아 화력 발전소 두 번째 유형인 운영기준 발전소는 크게 지역 발전소(Regional Power Plants)와 열병합 발전소(TETS: Heat/Power Plants)로 나뉨.
- 러시아에서는 열병합 발전소는 지역발전소보다는 열 위에 있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500MW 이하의 발전능력 때문임.
- 열병합 발전소는 시간당 1,000Gcal의 난방 발전량을 보유하고 있어 경제적 장점이 있기 때문에 10만 명 이상의 도시에서 주로 운영 중임.
자료: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편집
□ 러시아 화력 발전소 현대화 프로젝트
ㅇ 러시아 화력 발전소 현대화는 현지화(Localization)과 수입대체화(Substitution of Imports)와 동일 선에서 추진
- 러시아 화력 발전소 현대화 추진 기관은 연방 에너지부로 2009년에 승인된 2030 에너지전략(2030 Energy Strategy)가 2016년에 5년을 추가하면서 개정된 프로그램임.
ㅇ 러시아 화력 발전소 현대화 프로그램의 추진배경은 발전소 노후화와 발전소 설비 및 부품 현지생산 확대 필요성임.
- 러시아 화력 발전소의 대부분은 60-80년대 동안 지어짐.
- 러시아2035 에너지 전략의 마스터 플랜(2017년 6월 수립) 상으로는 2025년까지 터빈 생산력이 9000만 KW가 목표임.
러시아 ‘화력 발전소 설비 교체 2035’ 마스터 플랜의 배경
ㅇ 2016년 초 기준 러시아 UPS 기준 발전소 발전량은 2억4620만 KW
ㅇ 1961년 전부 지어진 발전소의 발전량
· 1961-1970년 지어진 발전소: 4,720만 KW(19.4%) · 1971-1980년 지어진 발전소: 6,110만 KW(25.1%) · 1081-1990년 지어진 발전소: 5,120만 KW(21.1%) · 1991-2014년 지어진 발전소: 6,330만 KW(26.0%) |
ㅇ 2019년 1월 25일, 러 연방 에너지부는 화력발전 개선 및 설비부품 교체 프로젝트(현대화 프로젝트)를 정부령 No.43에 의거한10년 프로그램을 발표
- 러시아는 지난 10년간 40개의 복합 사이클 발전 프로젝트(Combined cycle power generation)가 추진돼 왔음.
복합 사이클 발전(Combined cycle power generation): 증기 터빈과 가스 터빈을 복합적으로 설치한 발전방식. 천연가스(LNG)가 원 연료가 돼 터빈을 운전하고 가스 터빈에서 발생하는 고온가스를 회수장치로 유도하며, 증기 터빈을 운전하기 때문에 발전효율성이50% 향상됨. |
2019년(1월) 수립 화력발전 개선 및 설비부품 교체 프로그램
수행 과제 | 담당 기관 |
2019년 7월 1일부터 발효될 해당 프로그램에 의한 프로젝트 투자 보조 방안(현대화, 건설, 전력 FIT 등) | 연방 경제개발부와 연방 독점방지 위원회 지원, 연방 에너지부 추진 |
화력 발전소 설비 현대화 신청에 대한 정부 승인 방안 (3개월 이내) | 연방 경제개발부 지원 하 연방 에너지부 추진 |
2022-2024 러시아 화력발전소 현대화 프로젝트 결과 평가 방안(2019년 8월 1일부터) | 연방 경제개발부 지원 하 연방 에너지부 추진 |
환경 및 혁신 전력 발전설비 리스트 작성: 23MPa 증기 파라미터 석탄 전력 발전소, 65MW 능력 가스터빈 설치 등 | 연방 에너지부 지원 하 연방 산업통상부 추진 |
화력발전소 현대화 일환, 현지 생산 제품으로 대체(Localization) 및 현지 생산제품 리스트 업 | 연방 산업통상부 |
자료: http://static.government.ru/media/files/NKfJK1ZcqfJdHJdGQ5quCITXlJMReFAV.pdf
ㅇ 현대화 프로그램 추진 핵심 기관인 연방 에너지부의 추진 주요 골자는 아래와 같음.
- 2019년 3월에 처음으로 선별된 프로젝트는 11GW 생산능력을 갖출 것
- 러시아 화력 발전소 현대화 프로젝트는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출 것
- 화력 발전소 현대화는 전력 생산의 효율화를 통해 전기료를 낮추어야 할 것
- 각 현대화 프로젝트는 최첨단 기술 도입과 함께 최대 효율성 솔루션을 갖춘 설비여야 함.
· 해당 프로그램에 따라 관련 설비 및 부품들의 현지화 및 수입대체화 추진 일정이 크게 앞당겨짐.
- 현지 생산 설비 및 부품 납품이 우선적으로 추진될 것이나 품질 하자에 따른 전력 생산성 저하는 정부 지원기관 판결 하에 납품 비용 지불이 유예 또는 배제될 수 있음.
ㅇ 2022-2024 러시아 화력발전소 현대화 프로젝트는 127개 프로젝트 중에서 30개로 선정
- 해당 프로젝트 완료 시점에서의 화력 발전량은 현 기준 336.8MW가 높아질 것임.
- 30개 프로젝트 완료 시점의 전체 발전량은 8,610MW임.
- 30개 프로젝트 중 가스 연료 발전소는 18개이며 석탄 발전소는 12개임.
- 총 투자자금은 615억 루블(약 9억4000만 달러)에 이를 것
2022-2024 러시아 화력발전소 현대화 주요 프로젝트(30개 중 주요 선정)
TPP 위치 | 운영회사 | 연료 종류 | 발전소명 (현대화) | 발전량 규모 MW1 | 추가 발전량MW2 | 현대화 대상 | 추진기한 | 공사 기간 (개월) | 투자 자금 (백만 루블) |
Khanty-Mansy (Yugra) | UNIPRO, Public JSC | 가스 | Surgutsky 지역발전소 Unit 1 (Turbine Generator 1) | 830 | 20 | - 터빈 고압 실린더 교체 - 터빈 중압 실린더 업그레이드 - 발전기 완전 교체 | 2022.3.1. | 7 | 3,808 |
Perm 지역 | InterRAO-Power Generation, JSC | 가스 | Perm 지역발전소 Unit 1 | 850 | 30 | - 스팀 터빈 교체 - 수퍼히터 보일러 교체 | 2022.12.1. | 12 | 4,645 |
Kostroma 지역 | InterRAO-Power Generation, JSC | 가스 | Kostroma 지역발전소, Unit 2 | 330 | 30 | - 스팀 터빈 교체 - 보일러-터빈 연결 스팀·재가열 - 급수 파이프 교체 | 2023.3.1. | 12 | 1,986 |
Bashkoptostan | BGC, LLC | 가스 | Karmanov 지역발전소 (Turbine Generator 3) | 316 | 12.8 | - 부품교체: 수퍼히터 보일러 - 보일러 퍼니스 수로 - 스팀 보일러 증기운반 조절 밸브 스팀 및 재가열 - 급수 파이프 - 고압실린더 | 2022.3.1. | 13 | 1,927 |
Khanty-Mansy (Yugra) | Nizhnevartovsk Regional Power Plant, JSC/ InterRAO-Power Generation, JSC | 가스 | Nizhnevartovsk지역발전소(Turbine Generator 1) | 800 | - | - 고압 실린더 교체 - 터빈 중압 실린더 업그레이드 - 수퍼히터 보일러 교체 | 2023.9.1. | 12 | 5,136 |
Kemerovo 지역 | Kuzbassenergo, JSC | 석탄 | Tom-Usinsk 지역발전 (Turbine Generator 7) | 200 | - | - 수퍼히터 보일러 교체 - 보일러 퍼니스 수로 교체 - 스팀 보일러 증기운반 조절 밸브 교체 - 보일러-터빈 연결 스팀·재가열 - 급수 파이프 교체 - 발전기 완전 교체 - 쿨링 타워 및 순환 펌프 스테이션 건설 - 집진기 장착 또는 화력 업그레이드 | 2022.1.1. | 18 | 4,147 |
Khanty-Mansy (Yugra) | UNIPRO, Public JSC | 가스 | Surgut 지역발전소-2, Unit 6 (Turbine Generator 6) | 830 | 20 | - 고압 실린더 교체 - 터빈 중압 실린더 업그레이드 - 발전기 완전 교체 | 2024.9.1. | 7 | 4,546 |
모스크바주 | Mosenergo, Public JSC | 가스 | Mosenergo 열병합발전소-22 (Turbine Generator 10) | 250 | 10 | - 고압 실린더 교체 - 터빈 중압 실린더 업그레이드 발전기 완전 교체 - 보일러-터빈 연결 스팀·재가열 - 급수 파이프 교체 - 보일러 퍼니스 수로 교체 | 2024.12.1. | 24 | 2,204 |
Bashkoptostan | NSHPP, LLC | 가스 | Novosalavatsky열병합발전소(Turbine Generator 7) | 135 | - | - 스팀 터빈 교체, - 발전기 교체, - 보일러-터빈 연결 스팀·재가열 - 급수 파이프 교체 | 2024.12.1. | 17 | 2,579 |
Khanty-Mansy (Yugra) | Nizhnevartovsk Regional Power Plant, JSC/InterRAO-Power Generation, JSC | 가스 | Nizhnevartovsk지역발전소(Turbine Generator 2) | 800 | - | - 스팀 터빈 교체 - 발전기 교체 - 보일러-터빈 연결 스팀·재가열 - 급수 파이프 교체 - 수퍼히터 보일러 교체 | 2024.12.1. | 12 | 7,357 |
총 계 (30개 프로젝트) | - | - | 8,610 | 336.8 | - | - | - | 61,589 |
자료: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정보 수집
□ 현지 진출 한국 기업 반응
ㅇ 현지 진출 D 기업에 따르면, 러시아 화력 발전소 현대화 프로그램은 2018년부터 파악하고 있었으나 정보 부족으로 구체적인 프로젝트 진출이 다소 어려운 상황
- 다만 발전소 터빈, 보일러 등의 진출 방안이 모색할 만 하며 대규모 발전소 투자자금과 러시아 정부 추진 프로젝트 전례를 참고한다면, 제품 수출보다는 설비 투자 진출이 매우 유리할 것으로 보임.
□ 시사점
ㅇ 러시아 화력발전소 비중이 큰 이유는 연료 자원이 풍부하기 때문이며, 천연가스 발전소에 집중되어 있음.
- 발전소 현대화 과정에서 조달 시장이 크게 확대될 전망이나 현지화 및 수입대체화에 대한 정부의 명확한 지침에 따라 대러 완제품 수출보다는 현지 진출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임.
ㅇ 2022-2024년 30개 발전소 현대화 프로젝트가 명확히 발표된 시점이라 진출 경쟁이 심화될 전망
- 수퍼히터 보일러, 발전기 부품, 고중압 실린더, 스팀 터빈 등 현지 생산동향 파악을 선행하여 현지 기업 기술협력 진출을 고려해봐야 할 것
자료: 러시아 연방 에너지부( https://minenergo.go.ru), 관련 뉴스 및 보고서(https://www.so-ups.ru/?id=962,http://static.government.ru/media/files/NKfJK1ZcqfJdHJdGQ5quCITXlJMReFAV.pdf), 인터뷰 및 정보 수집 등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