귤나무 귤(橘)자는 의부(義符)로 나무 목(木)자에 성부(聲符)로 송곳질할 율(矞)자를 했습니다. 송곳질할 율(矞)자는 송곳처럼 끝이 뾰족한 창 모(矛)자 아래에 구멍을 뚫어놓은 빛날 경(冏)자를 했습니다. 감귤(柑橘) 귤전(橘田) 귤화위지(橘化爲枳) 남귤북지(南橘北枳) 회귤(懷橘) 귤중지락(橘中之樂)
빠를 극(亟)자는 입 구(口)자도 있고 또 우(又)자도 있습니다. 말을 한 것은 입 구(口)자이고, 그 말을 행동에 옮긴 것은 또 우(又)자입니다. 또 우(又)자는 바로 손(手)을 그린 글자입니다. 말이 행동에 옮겨지기가 그리 쉽지 않습니다. 그러니 아이러니로 이렇게 글자를 구성한 듯합니다. 극탈(亟奪) 극의(亟宜) 극침(亟寢) 극대(亟待) 극반(亟盼) 극수(亟須) 순목불극(瞬目不亟)
죽일 극(殛)자는 의부(義符)로 부서진 뼈 알(歹)자에 성부(聲符)로 빠를 극(亟)자를 했습니다. 빠를 극(亟)자는 두 이(二)자를 상하(上下)로 벌리고 그 사이에 마칠 료(了)자로 칸을 구별하고 좌(左)에는 입 구(口) 우(右)에는 또 우(又)자를 한 글자입니다. 두 사람 사이는 말과 손놀림을 빠르게 해야 한다는 글자입니다. 인간들이 서로 경쟁하며 사는 사람을 잘 표현했습니다. 또는 빠를 극(亟)자는 입 구(口)자와 또 우(又)자 사이에 장인 공(工)자를 했습니다. 물건을 만들 때 말로 설명을 하고, 손으로 재주를 발휘하여, 빨리 만드는 표시를 한 글자입니다. 서극(鼠殛) 찬극(竄殛) 선극(先殛) 극아(殛我) 구극(九殛) 극곤(殛鯀)
옷깃 극(襋)자는 의부(義符)로 옷 의(衣,衤)자에 성부(聲符)로 가시 극(棘)자를 했습니다. 가시 자(朿)자를 좌우(左右)로 두 개 나란히 하면 가시 극(棘)자가 되고, 상하(上下)로 놓으면 대추나무 조(棗)자가 됩니다. 가시 자(朿)자는 나무에 가시가 돋은 가시를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요극(䙅襋) 요지극지(要之襋之) 조극(厝襋) 요극미료인선몰(要襋未了人先歿)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